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면접조사를 통해 본 평양시민의 가처분소득과 소비행태: 종합시장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 Disposable Income and Consumption Behavior of Pyongyang Citizens through Interview with North Korean defectors: Focusing on Economic Activities in the general Mark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49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working principle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North Korean econom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come and consumption of the people in the general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isposable inco...

      In order to understand the working principle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North Korean econom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come and consumption of the people in the general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isposable income by conducting in - depth interviews with citizens living in North Korea 's capital Pyongyang and compare the consump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to understand the marketization trend in the general market of North Korea . In addition, I examined the micro-economy of North Korea's market economy by illuminating the micro-life scene in which the actual people live and understood the reality of the hybrid economy in which North Korea's socialist plan and market coexist. As a result, the majority of Pyongyang citizens earn income and spend through economic activities centered on comprehensive markets.
      This marketization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The socialist planned economy and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are mixed in the North Korean economy, but the market economy is meaningful because it is spontaneously expanded by the needs of the people, overwhelming the socialist planned econom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경제의 작동원리와 실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종합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주민들의 소득과 소비를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양에 살았던 북한이탈주민과 현 평양시민을 대상...

      북한경제의 작동원리와 실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종합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주민들의 소득과 소비를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양에 살았던 북한이탈주민과 현 평양시민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해 가처분소득(disposable income)을 추정하고 소득 수준에 따른 소비행태를 비교해 북한의종합시장에서 진행되는 시장화 추세를 파악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실제인민들이 살아가는 미시적인 삶의 현장을 조명해 북한의 시장경제라는 거시경제를 입체적으로 조망하여 북한의 사회주의 계획과 시장이 병행하는 혼합경제(hybrid economy)의 실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평양시민의 대부분은시장중심의 경제활동을 통해 소득을 얻고 소비를 하고 있으며 중산층은한 달 300달러의 벌이를 목표로 시장에서 상행위를 하면서 전투적으로 살아가고 있었다. 또 평양시민의 모든 계층은 식비에 가장 많은 소비를 하고있어 엥겔지수가 높았다. 2015년 이후 시장의 개수는 더 늘어나고 있어 시장화 추세는 최근 더 뚜렷해지고 있다. 사회주의 계획경제와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북한경제에 혼재되어 있으나 시장경제는 인민의 필요에 의해 자생적으로 확대되어 사회주의계획경제를 압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인옥, "평양 시장경제 실태와 특징에 대한 연구" 2016

      2 김병로, "탈북자 면접조사를 통해 본 북한사회의 변화 - 2008~2011" 심연북한연구소 15 (15): 39-84, 2012

      3 연합뉴스, "전주명 탈북자협회장-탈북민도 정치참여에 나서야"

      4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장마당"

      5 두산백과, "엥겔지수"

      6 MBN, "서울에는 강남, 북한에는 서평양 아파트"

      7 김수암, "북한주민의 삶의 질 : 실태와인식" 통일연구원 2011

      8 민영기, "북한의 경제질서 재편과 ‘관료적 시장’의 형성: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20 (20): 181-208, 2016

      9 이 석, "북한의 가구경제 실태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2015

      10 국가정보원, "북한법령집" 국가정보원 2006

      1 곽인옥, "평양 시장경제 실태와 특징에 대한 연구" 2016

      2 김병로, "탈북자 면접조사를 통해 본 북한사회의 변화 - 2008~2011" 심연북한연구소 15 (15): 39-84, 2012

      3 연합뉴스, "전주명 탈북자협회장-탈북민도 정치참여에 나서야"

      4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장마당"

      5 두산백과, "엥겔지수"

      6 MBN, "서울에는 강남, 북한에는 서평양 아파트"

      7 김수암, "북한주민의 삶의 질 : 실태와인식" 통일연구원 2011

      8 민영기, "북한의 경제질서 재편과 ‘관료적 시장’의 형성: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20 (20): 181-208, 2016

      9 이 석, "북한의 가구경제 실태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2015

      10 국가정보원, "북한법령집" 국가정보원 2006

      11 양문수, "북한경제의 시장화" 한울 2010

      12 조정아,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 통일연구원 2008

      13 홍민, "북한 전국 시장 정보 : 공식시장 현황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16

      14 이애란, "북한 배급제도의 특징과 변화: 경제난 악화와 장마당 성행으로 유용성이 약화된 배급제도" 446 : 2009

      15 연합뉴스, "늘어나는 장바구니 부담…엥겔계수, 17년 만에 최고"

      16 한겨레, "김정은 집권 첫날..아버지 교시 폐기하고 경제 살리라"

      17 임을출, "김정은 집권 이후 시장경제 변화실태와 전망" (244) : 2017

      18 김영윤,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 상업유통 분야의 변화동향과 전망" 통일연구원 12 (12): 217-240, 2003

      19 Konai. János, "The Socialist System: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20 The New York Times, "Shopping in Pyongyang, and Other Adventures in North Korean Capitalism"

      21 N. Gregory, "Principles of Economics" CENGAGE Learning Korea 2015

      22 한국개발연구원, "KDI 북한경제리뷰 : 북한의 휴대전화사용실태" 한국개발연구원 2014

      23 통계청, "2018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24 남성욱, "2002년 북한의 임금과 물가인상에 따른 주민 생산?소비행태의 변화에 관한 연구" 평화문제연구소 40 : 101-129,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