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게오르크 하만, "하만 사상 선집" 인터북스 163-222, 2012
2 박정훈, "칸트의 초월론적 취미론 – 취미의 반성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87 (87): 1-36, 2021
3 박정훈, "칸트의 초월론적 취미론 – 취미의 미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84 (84): 147-193, 2018
4 최준호, "칸트의 심미적 경험과 미학의 역할" 한국미학예술학회 24 : 75-105, 2006
5 임성훈, "칸트의 『판단력비판』에 나타난 생명의 미학적, 목적론적 함의에 관하여" 한국미학예술학회 60 : 3-24, 2020
6 박배형, "칸트 미학에서 미와 도덕성의 관계에 대하여" 한국미학회 (77) : 1-29, 2014
7 박배형, "칸트 미학에서 미감적 이념의 문제" 한국미학회 81 (81): 137-167, 2015
8 박배형, "칸트 미학에서 ‘취미의 자율성’ 문제 - 칸트의 수사적 예술 비판을 중심으로 -" 한국미학회 83 (83): 51-79, 2017
9 권정임, "칸트 미 규정에 대한 헤겔의 수용과 비판: 취미판단의 네 계기를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64 : 120-151, 2021
10 데이비드 흄, "취미의 기준에 대하여/비극에 대하여 외" 마티 21-62, 2019
1 게오르크 하만, "하만 사상 선집" 인터북스 163-222, 2012
2 박정훈, "칸트의 초월론적 취미론 – 취미의 반성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87 (87): 1-36, 2021
3 박정훈, "칸트의 초월론적 취미론 – 취미의 미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84 (84): 147-193, 2018
4 최준호, "칸트의 심미적 경험과 미학의 역할" 한국미학예술학회 24 : 75-105, 2006
5 임성훈, "칸트의 『판단력비판』에 나타난 생명의 미학적, 목적론적 함의에 관하여" 한국미학예술학회 60 : 3-24, 2020
6 박배형, "칸트 미학에서 미와 도덕성의 관계에 대하여" 한국미학회 (77) : 1-29, 2014
7 박배형, "칸트 미학에서 미감적 이념의 문제" 한국미학회 81 (81): 137-167, 2015
8 박배형, "칸트 미학에서 ‘취미의 자율성’ 문제 - 칸트의 수사적 예술 비판을 중심으로 -" 한국미학회 83 (83): 51-79, 2017
9 권정임, "칸트 미 규정에 대한 헤겔의 수용과 비판: 취미판단의 네 계기를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64 : 120-151, 2021
10 데이비드 흄, "취미의 기준에 대하여/비극에 대하여 외" 마티 21-62, 2019
11 하선규, "철학방법론에 대한 칸트의 반성-순수이성비판은 어떤 ‘방법에관한 논구’인가" 9 : 39-68, 2000
12 박배형, "인식능력들의 자유로운 유희 - 칸트미학의 한 문제" 한국미학회 (53) : 27-60, 2008
13 하선규, "의미있는 형식(구조)의 상호주관적 지평 -반성적 판단력의 현대적 의의에 대한 시론(試論) Ⅰ" 한국칸트학회 (14) : 169-204, 2004
14 게오르크 헤겔, "예술철학 강의" 미술문화 2005
15 백승영, "예술생리학의 미학적 의미 - 도취(Rausch)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니체학회 (27) : 91-123, 2015
16 에른스트 곰브리치, "예술과 환영" 열화당 2003
17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색채론/자연과학론" 민음사 333-350, 2005
18 에른스트 카시러, "상징형식의 철학" 아카넷 2019
19 프리드리히 니체, "비극의 탄생" 아카넷 2007
20 발터 벤야민, "벤야민 선집 제6권: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번역가의 과제 외" 도서출판 길 2008
21 발터 벤야민, "벤야민 선집 제5권: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폭력비판을 위하여․초현실주의 외" 도서출판 길 2008
22 발터 벤야민, "벤야민 선집 제2권: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사진의 작은역사 외" 도서출판 길 2007
23 발터 벤야민, "벤야민 선집 제1권: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도서출판 길 2007
24 최준호, "바움가르텐 미학과 행복한 미학적 인간" 중앙철학연구소 40 : 95-125, 2015
25 최준호, "미학적인 것과 인간적 삶 - 니체 미학의 선구자로서의 칸트? 탈 칸트 미학의 완성자로서의 니체?" 한국니체학회 (24) : 185-223, 2013
26 백승영, "미적 쾌감의 정체-칸트와 니체-" 한국미학회 81 (81): 169-198, 2015
27 드니 디드로, "미의 기원과 본성" 도서출판b 7-76, 2012
28 박기순, "랑시에르의 로댕 ― 미학적 사건으로서의 로댕과 그 정치성" 한국미학회 (76) : 105-140, 2013
29 박기순, "랑시에르에서 미학과 정치" 한국미학회 (61) : 59-100, 2010
30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 "라오콘" 나남 2008
31 이상엽, "니체의 인식과 자유" 대동철학회 (45) : 269-291, 2008
32 이상엽, "니체의 ‘예술가-형이상학’의 의미와 문제" 한국니체학회 (25) : 223-258, 2014
33 이상엽, "니체, 인식의 한계 내에서의 진리에 대하여" 한국니체학회 (34) : 7-44, 2018
34 프리드리히 니체, "니체 전집 3: 유고(1870년-1873년). 디오니소스적 세계관․비극적 사유의 탄생 외" 책세상 2001
35 프리드리히 니체, "니체 전집 15: 바그너의 경우․우상의 황혼․안티크리스트 외" 책세상 2002
36 정낙림, "놀이에 대한 철학적 연구 -니체의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니체학회 (14) : 159-189, 2008
37 정낙림, "놀이사유의 근대적 유형과 니체의 비판 - 쉴러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니체학회 (26) : 7-49, 2014
38 Schlegel, F., "Über das Studium der Griechischen Poesie: 1795-1797" Schöningh 1981
39 Adorno, T., "Ästhetische Theorie" Suhrkamp 1986
40 Früchtl, J., "Ästhetische Grundbegriffe, Bd. 5" 365-390, 2010
41 Bubner, R., "Ästhetische Erfahrung" Suhrkamp 1989
42 Baumgarten, A. G., "Ästhetik, Übersetzt, mit einer Einführung, Anmerkungen und Registern, Bd. 1" Meiner 2007
43 Nietzsche, F., "Werke, Kritische Gesamtausgabe" De Gruyter 1967
44 Kant, I., "Werkausgabe in 12 Bänden" Suhrkamp 1957
45 Steiner, U., "Walter Benjamin" Metzler 2004
46 Schelling, F. W. J., "Sämtliche Werke, Bd. V, Bd. I-XIV" Cotta’scher Verlag 354-736, 1861
47 Schelling, F. W. J., "System des transzendentalen Idealismus" Meiner 2000
48 Nietzsche, F., "Kritische Studienausgabe in 15 Bänden" De Gruyter 1980
49 하선규, "J. G. 하만의 신학적 미학에 대한 연구 - 감성적 차원에 대한 이론과 초기 저작들을 중심으로" 한국칸트학회 (40) : 113-144, 2017
50 Fichte, J. G., "Gesamtausgabe, Bd. I/2" Frommann 353-371, 1962
51 Benjamin, W., "Gesammelten Schriften" Suhrkamp 1999
52 Kant, I., "Bemerkungen in den “Beobachtungen über das Gefühl des Schönen und Erhabenen”" Meiner 1991
53 Kant, I., "Akademie-Textausgabe, hg. v. Königl. Preuß. Akademie der Wissenschaften, ab Bd. 23 Deutsche Akad. d. Wiss. zu Berl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