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교직 희망 여부에 따라서 예비교사가 자신의 수업역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교원양성 과정에 있는 모든 예비교사들이 교직을 희망하는 것은 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77670
2019
-
KCI등재
학술저널
699-718(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교직 희망 여부에 따라서 예비교사가 자신의 수업역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교원양성 과정에 있는 모든 예비교사들이 교직을 희망하는 것은 아...
이 연구의 목적은 교직 희망 여부에 따라서 예비교사가 자신의 수업역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교원양성 과정에 있는 모든 예비교사들이 교직을 희망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교직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에는 교직을 희망하는 예비교사들과 비교했을 때, 교육실습이나 수업시연과 같은 수업활동에 대한 인식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교원양성 과정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수업경험을 하게 되는 교육실습 기간을 중심으로 교직희망 여부에 따라서 수업역량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다른가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수업역량 인식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확인한다면 유능한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소재 4년제 국립 대학교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10명(교직희망자: 5명, 비교직 희망자: 5명)으로 교육실습 이전에 대상자를 선정했다. 예비교사가 수업역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교육실습 전 ·중·후에 걸쳐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3회씩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은 녹취하여 전사하였으며, 이 자료를 바탕으로 수업경험 및 수업역량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한 것은 수집된 자료에 대한 주관적 해석을 배제하고 키워드 간의 관계와 구조적 특성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교직희망 여부에 따라 교육실습 전의 수업경험에 두는 의미를 달리하지만, 교육실습 경험은 교직희망 여부와 관계없이 수업의 실제적인 요인들에 대하여 파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교육실습의 결과는 교직희망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교직 희망자는 수업내용 전달을 강조한 반면에, 비교직 희망자는 재미있는 수업 구성과 학생과의 관계에 더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이런 결과를 통하여 교육실습 경험은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의 요인 파악과 수업역량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 differently their teaching competencies according to whether they want to be a teacher or not. Depending on their desire to be a teacher for future, their cognition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 differently their teaching competencies according to whether they want to be a teacher or not. Depending on their desire to be a teacher for future, their cognition on lesson experience and teaching practice could differ. Especially the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as real classroom experiences, could influence most powerfully on their concept formation on teaching competency. Thu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elps to develop various strategies for training competent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transition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was analyzed through three chronological periods: before, during, and after their teaching practice. A total of 10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before, during, and after teaching training programs (teaching profession in the future: 5, no teaching profession in the future: 5).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based on the keyword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and their percep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As a result, after teaching practice, all the participants could expand their percep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But there was a different perception on teaching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pursuit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e pre-service teacher focused on the content, student understanding, and methods of instructional delivery.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nts who do not want to work as a teacher in the future paid attention to the interests and interaction with stud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2 장경원, "학습자중심교육을 위한 교사역량요소 도출 및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285-310, 2012
3 이현우, "학교현장실습을 통한 예비교사의 역량향상도와 예비교사와 지도교사의 인식차이 분석" 교육연구원 33 (33): 147-164, 2017
4 김재철,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바람직한 교사 역량 구성요인의 가중치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231-260, 2011
5 정윤희,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좋은 교사’의 인식 탐색: 의미연결망 분석방법의 사용" 한국교육학회 57 (57): 175-196, 2019
6 이경진,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 및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준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19-240, 2009
7 윤근영, "초등교사의 수업 전문성 탐색을 위한 이론적 고찰" 14 (14): 81-97, 2007
8 강지민, "초등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좋은 수업 관점 비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8 (38): 31-42, 2019
9 백순근,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1-29, 2007
10 Meyer, H.,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삼우반 2011
1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2 장경원, "학습자중심교육을 위한 교사역량요소 도출 및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285-310, 2012
3 이현우, "학교현장실습을 통한 예비교사의 역량향상도와 예비교사와 지도교사의 인식차이 분석" 교육연구원 33 (33): 147-164, 2017
4 김재철,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바람직한 교사 역량 구성요인의 가중치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231-260, 2011
5 정윤희,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좋은 교사’의 인식 탐색: 의미연결망 분석방법의 사용" 한국교육학회 57 (57): 175-196, 2019
6 이경진,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 및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준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19-240, 2009
7 윤근영, "초등교사의 수업 전문성 탐색을 위한 이론적 고찰" 14 (14): 81-97, 2007
8 강지민, "초등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좋은 수업 관점 비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8 (38): 31-42, 2019
9 백순근,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1-29, 2007
10 Meyer, H.,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삼우반 2011
11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65-187, 2004
12 최동연, "의미연결망분석을 통한 가상 환경 기반 대화 시뮬레이션에서의 학습경험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5 (35): 107-137, 2019
13 서현아, "유치원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과 갈등"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39-361, 2008
14 조부경, "유아교사 양성대학 전공 강좌에서 이론과 교수 경험의 통합운영에 대한 예비교사, 지도교사 및 담당교수의 반응 분석" 20 (20): 139-162, 2000
15 박희숙, "예비유아교사의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역량 탐색" 한국육아지원학회 13 (13): 227-250, 2018
16 박창현,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육 실습 역량 분석: 면담자료 및 개념 연결망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289-306, 2014
17 김현진,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2010
18 이선, "예비교사들의 모의수업시연 후 자기성찰을 위한 자기점검표 개발" 54 (54): 1-18, 2017
19 김정환,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교사 수업능력 자기평가 방략에 관한 논리적 고찰"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19-38, 2005
20 전현정, "수업 관심단계에 따른 수업설계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5 (25): 79-103, 2009
21 한관종,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 : 의미와 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중심으로" 10 (10): 219-235, 2003
22 이정우, "사범대생의 눈으로 본 사범대학 교육의 의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107-137, 2004
23 유기웅, "사범대생들의 진로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원 28 (28): 1-22, 2012
24 김병찬, "사범대생들의 사범대학 진학동기와 적응과정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57-83, 2003
25 송경애, "마이크로티칭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165-185, 2016
26 한수정, "마이크로티칭 경험에 따른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자기수업분석 연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8 (18): 137-156, 2014
27 권양이, "대학생들의 청소년지도사 실습업무경험과 중요성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75-99, 2012
28 김혜련, "대학 한국무용 교수자의 강의역량 탐색: 네트워크 기반 의미연결망 분석의 적용" 한국무용과학회 35 (35): 59-72, 2018
29 유병민, "대학 수업에서 개인적 성찰과 협력적 성찰이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837-859, 2013
30 김상배, "네트워크로 보는 중견국 외교전략: 구조적 공백과 위치권력 이론의 원용" 한국국제정치학회 51 (51): 51-77, 2011
31 노숙원, "국내 교육실습 연구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09-333, 2018
32 최진영, "교직경력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신념과 사회과 교수실제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313-335, 2007
33 허창수, "교육지식을 재구성하는 장으로서 교육실습: 다섯 교육실습생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95-127, 2007
34 정미재, "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역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63-83, 2012
35 안효진, "교육실습상황에서 실습교사들이 느끼는 갈등과 그 의미에 대한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89-309, 2005
36 김희경,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의 감정 경험과 감정 표현 규칙, 조절 전략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231-251, 2016
37 이은해, "교육실습, 이상과 현실의 괴리 - 사회과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159-184, 2016
38 김신영, "교육실습 전·후 그리고 초임교사로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11-234, 2005
39 엄미리, "교육실습 전.후 예비교사의 역량변화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91-508, 2009
40 이정림, "교육실습 기간 예비교사의 성찰활동이 교사효능감과 교육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6 (66): 281-305, 2018
41 박성혜, "교육 실습을 통한 중등 예비 교사들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결과기대감의 변화"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271-297, 2007
42 류보라, "교육 실습에서 국어과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 성장 연구" 국어교육학회 50 (50): 271-300, 2015
43 김도욱, "교수방법에 대한 예비교사의 창의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별협동 마이크로 티칭의 효과" 45 (45): 35-49, 2008
44 조대연, "교사 발달단계별 직무역량 요구분석 : 서울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365-385, 2009
45 이준,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예비교사의 중요도 인식" 교육연구원 27 (27): 41-59, 2011
46 엄미리,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 안암교육학회 15 (15): 107-132, 2009
47 권성연, "‘좋은 수업’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6 (26): 185-215, 2010
48 최윤정, "‘빅데이터’ 관련 신문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1 (31): 241-286, 2014
49 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Standar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50 Bransford, J.,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Jossey-Bass 40-87, 2005
51 Sharbain, I. H. A., "Pre-service teachers’ level of competence and their attitudes towards the teaching profession" 1 (1): 14-22, 2012
52 이수정,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의 수업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16, 2016
53 Sinclair, C., "Motivations to teach : Psychometric perspectives across the first semester of teacher education" 108 (108): 1132-1154, 2006
54 McGarvey, B., "Microteaching in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Taylor & Francis 1986
55 Borich, G. D., "Effective teaching methods" Merrill 2000
56 Freeman, L. C.,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II. Experimental results" 2 (2): 119-141, 1979
57 이홍민, "(역량평가와 역량개발 피드백을 위한)평가센터"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 환경, 그릿과 핵심역량과의 구조적 관계
초등학교 위(Wee) 클래스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담임교사와의 협력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학업가치, 낙관주의, 학업정서, 내재적 동기, 학업관여 간의 구조적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16 | 1.396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