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기점검법이 ADHD 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iveness of self-monitor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behavior in classroom for the children with ADH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364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관리 기법 중의 하나인 자기점검법을 적용하여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중재 이후에도 그 효과가 ...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관리 기법 중의 하나인 자기점검법을 적용하여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중재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단일 대상 연구로 2명의 ADHD 아동에 대해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법을 사용하여 문제행동 발생률과 학업관련 참여행동 발생률을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나누어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중재 프로그램은 아동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기점검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24회기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점검법은 대상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점검법은 대상아동의 학업관련 참여행동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점검법을 통해 나타난 학급 내에서의 문제행동 감소와 학업관련 참여행동의 증가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문제행동을 보이는 ADHD 아동의 학업관련 참여행동을 증가시키는데 자기점검법이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DHD 아동 개개인의 문제행동 특징을 잘 파악하여, 자기점검법 절차에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한 것이 ADHD 아동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과 중재에 따른 행동 변화가 가정에서도 일반화가 이루어진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who have ADHD and the maintenance. For this purpose, tw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ADHD were sel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who have ADHD and the maintenance.
      For this purpose, tw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ADHD were selected. The research design was applied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self-monitoring activity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problem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ubject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monitoring activity was effective on the decrease of the problem behavior of the students.
      Second, the self-monitoring activity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task engagement behavior.
      Third, the effect on the decrease of the problem behavior and the increase of the task engagement behavior were still maintained after intervention was ended.
      In conclusion, the self-monitoring activity was one of the effective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ADHD who has problem behavior. Therefore, this result implies that self-monitoring activity with visual materials can be a powerful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ADHD and the generalization toward the home can be a possibility of the behavior chang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