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현대 중국 시민사회에 대한 시론 = Contemporary Opinion About Current Civil Society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04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중국 시민사회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중산계층의 성격과 역할 및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 시민사회의 발전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중국 시민사회는 국가에 의한 사회의 통제 및 관리자라는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국기구와 단체회원들 사이에 통신채널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시민단체들은 비조직화된 경제주체들을 결집시킴으로써 국가는 이들을 쉽게 관리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사회 및 경제 단체들은 이전에 국가기구가 전담하던 일들 가운데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넷째, 협회는 회원들의 이익을 위하여 서로 상관없어 보이는 정부 기관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중국 시민사회는 형성중에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당과 정부의 정책을 이념적으로 정당화하고 정책으로 지원하는 기능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개혁개방이후 중국사회에서 나타난 중요 현상 가운데 중산계층의 성장이다. 중산계층의 확대뿐만 아니라 중산계층이 분화도 보여주고 있다. 사회계층의 분화 및 유동성의 증가는 사회의 다원화를 촉진시키고 다양성을 증대시킴으로서 시민사회의 발전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중국 중산계층이 개혁개방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가의 개입이 차츰 약화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중산계층이 능동적이며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공간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사실 중국 시민사회 발전은 이러한 공간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에 상당부분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중국 시민사회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중산계층의 성격과 역할 및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 시민사회의 발전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중국 시민사회는 국가에 의한 사회의 ...

      이 글은 중국 시민사회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중산계층의 성격과 역할 및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 시민사회의 발전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중국 시민사회는 국가에 의한 사회의 통제 및 관리자라는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국기구와 단체회원들 사이에 통신채널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시민단체들은 비조직화된 경제주체들을 결집시킴으로써 국가는 이들을 쉽게 관리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사회 및 경제 단체들은 이전에 국가기구가 전담하던 일들 가운데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넷째, 협회는 회원들의 이익을 위하여 서로 상관없어 보이는 정부 기관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중국 시민사회는 형성중에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당과 정부의 정책을 이념적으로 정당화하고 정책으로 지원하는 기능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개혁개방이후 중국사회에서 나타난 중요 현상 가운데 중산계층의 성장이다. 중산계층의 확대뿐만 아니라 중산계층이 분화도 보여주고 있다. 사회계층의 분화 및 유동성의 증가는 사회의 다원화를 촉진시키고 다양성을 증대시킴으로서 시민사회의 발전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중국 중산계층이 개혁개방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가의 개입이 차츰 약화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중산계층이 능동적이며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공간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사실 중국 시민사회 발전은 이러한 공간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에 상당부분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civil society through an analysis of conceptual discussions about civil society and the rol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class.
      Civil society in China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supervision and social control imposed by government. First, civil society provide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government agencies and the communities' members. Second, government can control unorganized economic participants because civic groups bring them together. Third, social and economic communities are going to carry out some functions which government agencies normally take charge of As a result, government can expect a cost-saving effect. Fourth, for their members, the communities can take a role of government agencies that seem not to be related to them. That is to say that civil society in China is evolving.
      However it justifies and supports the policies of political parties and government ideology. These two functions are emphasized Following the Reform and Opening Up of China, one of the important changes was the growth of the middle class. This growth has brought differentiation as well as expansion of the middle class Liquidity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social strata operate as positive factors for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because they promote the pluralization and diversity of society.
      In today's China, the middle class is steadily increasing, intervention by government is declining, and the space in which this emerging middle class can be both active and effective is still evolving. The development of Chinese civil society depends on how well this space is defined and used.
      번역하기

      This thesis examines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civil society through an analysis of conceptual discussions about civil society and the rol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class. Civil society in China can be understood i...

      This thesis examines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civil society through an analysis of conceptual discussions about civil society and the rol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class.
      Civil society in China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supervision and social control imposed by government. First, civil society provide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government agencies and the communities' members. Second, government can control unorganized economic participants because civic groups bring them together. Third, social and economic communities are going to carry out some functions which government agencies normally take charge of As a result, government can expect a cost-saving effect. Fourth, for their members, the communities can take a role of government agencies that seem not to be related to them. That is to say that civil society in China is evolving.
      However it justifies and supports the policies of political parties and government ideology. These two functions are emphasized Following the Reform and Opening Up of China, one of the important changes was the growth of the middle class. This growth has brought differentiation as well as expansion of the middle class Liquidity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social strata operate as positive factors for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because they promote the pluralization and diversity of society.
      In today's China, the middle class is steadily increasing, intervention by government is declining, and the space in which this emerging middle class can be both active and effective is still evolving. The development of Chinese civil society depends on how well this space is defined and u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홍순, "지역과 시민사회의 창조성에 투자해야 한다: 시민사회단체장의 입장에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57 (57): 2008

      2 김영진, "중국의 시장화와 노동정치" 오름출판사 1998

      3 하도형, "중국의 시장전환기 사회단체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모델의 모색: 중국기업연합회/중국기업가협회를 사례로" 한국정치학회 2003

      4 이민자, "중국의 시민권 제한정책과 농민공의 동화: 북경과 주강삼각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5 (35): 2001

      5 백승욱, "중국의 노동자와 노동정책: ‘단위체제’의 해체" 문학과 지성사 2001

      6 이정남, "중국의 기층선거와 정치적 시민권의 형성"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227-254, 2005

      7 전성흥, "중국의 국가-사회관계 연구 in: 중국 정치 연구론" 나남출판 2000

      8 김도희, "중국에서의 시민사회 논의의 쟁점과 합의" 아태지역연구센터 26 (26): 45-59, 2002

      9 박광득, "중국 촌민자치의 현황과 문제점" 대한정치학회 11 (11): 193-212, 2004

      10 이동진, "중국 체제 개혁과 변호사직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 박홍순, "지역과 시민사회의 창조성에 투자해야 한다: 시민사회단체장의 입장에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57 (57): 2008

      2 김영진, "중국의 시장화와 노동정치" 오름출판사 1998

      3 하도형, "중국의 시장전환기 사회단체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모델의 모색: 중국기업연합회/중국기업가협회를 사례로" 한국정치학회 2003

      4 이민자, "중국의 시민권 제한정책과 농민공의 동화: 북경과 주강삼각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5 (35): 2001

      5 백승욱, "중국의 노동자와 노동정책: ‘단위체제’의 해체" 문학과 지성사 2001

      6 이정남, "중국의 기층선거와 정치적 시민권의 형성"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227-254, 2005

      7 전성흥, "중국의 국가-사회관계 연구 in: 중국 정치 연구론" 나남출판 2000

      8 김도희, "중국에서의 시민사회 논의의 쟁점과 합의" 아태지역연구센터 26 (26): 45-59, 2002

      9 박광득, "중국 촌민자치의 현황과 문제점" 대한정치학회 11 (11): 193-212, 2004

      10 이동진, "중국 체제 개혁과 변호사직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1 리 단, "중국 기층조직 정치참여와 전개와 발전」,『21세기 사회과학의 이슈: 동북아 신국제질서 중국 발전 패러다임 코리안 디아스포라" 2006

      12 박윤철, "중국 개혁개방 후 국가와 사회의 재구조화: 사회조직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아태연구센타 24 (24): 2000

      13 정종호, "중국 ‘流動人口’와 국가-사회 관계 변화" 6 (6): 2000

      14 조수성, "정치변동 하의 베이징 후통 지역사회: ‘주민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5 (35): 2001

      15 Popper, Karl R, "열린 사회와 그 적들 II" 民音社 1983

      16 이민자, "밑으로부터의 저항과 ‘중국특색의 시민사회’" 아태지역연구센터 32 (32): 13-42, 2009

      17 백영서, "동아시아의 근대화와 시민문화 변동: 전통사회의 해체와 시민사회의 성장" 동아연구소 46 (46): 111-138, 2004

      18 백영서, "동아시아의 귀환" 창작과 비평 2000

      19 이남주, "개혁개방 이후 중국 시민사회의 발전추세와 전망: 중국 민간조직 발전을 중심으로"

      20 朱 英, "關于中國市民社會的幾点商榷意見"

      21 鄧小平, "鄧小平文選 第三卷" 人民出版社 1993

      22 李 强, "轉形時期中國社會分層" 療寧敎育出版社 2004

      23 胡錦濤, "繼續把改革開放偉大事業推向前進" 1 : 3-5, 2008

      24 江 流, "社會藍皮書 1994-1995年中國社會形勢分析與豫測" 1996

      25 孫炳耀, "社會中間層: 改革與中國的社團組織" 中國發展出版社 1993

      26 王 穎, "社會中間層: 改革與中國的社團組織" 中國發展出版社 1993

      27 王 潁, "社會中間層 in 中國單位制度" 中國發展出版社 1993

      28 何淸漣, "現代化的陷穽: 當代中國的經濟社會問題" 今日中國出版社 1998

      29 徐貴權, "改革開放以來中國社會價値觀變化之硏究透視" 6 : 2007

      30 鄧正來, "國家與社會: 中國市民社會硏究" 四川人民出版社 1997

      31 韓健鵬, "全球化條件下中國改革開放的反思" 7 : 1999

      32 兪可平, "全球化与中國政治發展" 44 : 2003

      33 戴茂堂, "傳統價値觀与當代中國" 湖北人民出版社 2001

      34 王 名, "中國社團改革-從政府選擇到社會選擇"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1

      35 錢健軍, "中國大陸的 ‘第三勢力’"

      36 周翼虎, "中國單位制度" 中國經濟出版社 1999

      37 兪可平, "中國公民社會的興起與治理的變遷"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2

      38 Martin K. Whyte, "Urban China: A Civil Society in the Making?"

      39 Habermas, Juergen,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geois Society" MIT Press 1989

      40 Jüergen Habermas,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geois Society" MIT Press 1989

      41 Oi, Jean C, "The Role of the Local State in China's Transitional Economy" (144) : 1132-1150, 1995

      42 He, Baogang, "The Idea of Civil Society in Mainland China and Taiwan, 1986-1992" 1995

      43 Pye, Lucian, "The Dynamics of Chinese Politics" Oelgeschlager, Gunn and Hain 1981

      44 He, Baogang, "The Democratic Implications of Civil Society in China" St. Martin's Press 1997

      45 Shimitter, Philippe C, "Still the century of coporatism? in The New Coporatism: Social-Political Structures in the Iberian World"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74

      46 Rosenbaum, Athur Lewis, "State and Society in China, Boulder, Sanfrancisco" Westview Press 1992

      47 Oi, Jean C, "State and Peasant in Contemporary China: The Political Economy of Village Govern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48 Goldman, Merle, "Sowing the Seeds of Democracy in Chin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4

      49 Yiwei Wang, "Seeking China’s New Identity : the Myth of Chinese Nationalism" 비교문화연구소 11 (11): 79-106, 2007

      50 Jeong, Jong-Ho, "Renegotiation with the State: The Challenge of Floati Population and the Emergence of New Urban Space in Contemporary China" Yale University 2000

      51 Huang, Philip C, "Public Sphere / Civil Society in China?: The Third Realm between State and Society" 19 (19): 1993

      52 조효제, "NGO의 시대" 창작과비평사 2000

      53 Putnam, Robert,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54 Grieder, Jerome, "Intellectuals and the State in Modern Chin" Free Press 1981

      55 White, Gorden, "In Search of Civil Society: Market Reform and Social Change in Contemporary in Prospects for civil society: a case study of Xiaoshan city" Charendon Press, St. Martin's Press 1996

      56 Goodwin, Robert, "Green political Theory" Polity Press 1992

      57 Evans, Peter, "Embedded Autonomy: States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58 Du, Weiming, "Confucian Traditions in East Asian Moderni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59 Brook, Timothy, "Civil Society in China" M.E. Sharpe 1997

      60 Pei, Minxin, "Chinese Civil Society: An Empirical Analysis" 24 (24): 1998

      61 Unger, Jonathan, "China, Coporatism, and the East Asian Model" 1995

      62 Goodman, David S.G, "China's Quiet Revolution: New Interatcions Between State and Society" St. Martin's Press 1994

      63 Pearson, Margaret M, "China's New Business Elit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64 Goldman, Merle, "China's Intellectuals: Advise and Diss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65 Hamrin, C, "China's Establishment Intellectuals, Armonk" M.E, Sharpe 1986

      66 Perry, E, "Casting a Chinese 'democracy' movement: the roles of students, workers and entrepreneurs in Popular Protest & Political Culture in Modern China: Learing form 1989" Westview 146-164, 1992

      67 Zhang, Yunqiu, "An Intermediary: the Chinese Perception of Trade Union since 1980s" 14 (14): 1997

      68 胡錦濤, "'在三个代表’重要思想理論硏討會上的講話" 4 : 4-8,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4 0.83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