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중량 충격원의 실제 충격원 재현성에 대한 논란이 있음에도 현재 기준에서는 뱅머신 방식만 사용하고 있다. 현행 기준의 평가 방법 및 등급 기준이 충격원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21334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9-79(1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표준 중량 충격원의 실제 충격원 재현성에 대한 논란이 있음에도 현재 기준에서는 뱅머신 방식만 사용하고 있다. 현행 기준의 평가 방법 및 등급 기준이 충격원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
표준 중량 충격원의 실제 충격원 재현성에 대한 논란이 있음에도 현재 기준에서는 뱅머신 방식만 사용하고 있다. 현행 기준의 평가 방법 및 등급 기준이 충격원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충격원의 선택에 따라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 등급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충격원 특성 외에 바닥 진동 거동 특성을 함께 고려한 현행 기준의 바닥충격음 평가 방법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공동주택 mock-up 실험 동에서 표준 중량 충격원과 실충격원에 대하여 바닥충격음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외 평가 방법과 우리나라의 평가 방법을 비교 검토하 였다. 또한 현행 바닥충격음 평가 기준의 대상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는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은 네텔란드의 저주파 소음 인지 곡선과 국내 연구자가 제안한 저주파 소음 기준안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준 및 평가 산정 방법에 따라 성능 평가 결과가 상이하며, 바닥 진동의 지배 주파수 범위에서 모든 충격원에 대한 바닥충격음 가청 소음으로 인식하여 성가시게 느낄 가능성이 매우 크다. 현행 평가 기준의 단일수치 평가량 산정 방법은 충격원에 따라 상이한 음압레벨 스펙트럼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며, 바닥의 진동 거동 지배 주파수를 포함하는 저주 파수 대역의 음압레벨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바닥충격음에 대한 평가 결과와 사람의 인지 수준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원에 따른 음압레벨의 스펙트럼 특성과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을 반영할 수 있도록 현행 기준의 평가 방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rating method for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current criterion. Although there are some arguments about proper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with reproducibility of actual impact so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rating method for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current criterion. Although there are some arguments about proper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with reproducibility of actual impact source in residence building, bang machine is adopted as the only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in domestic criterion. To inspect the rating methods of evaluation criteria, this study conducted vibration test for both of standard heavy impact sources and actual impact sources. Using the test results,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levels were assessed by each of several criteria. In addition, low frequency noise beyond current criteria was evaluated. Consequently, the floor impact sound levels have different performance levels according to adopted criteria, and measured floor impact sounds are bound to annoy the neighbors in the low frequency range. Current criteria does not consider the spectrum characteristics of floor impact sound according to impact sources and low frequency noise. This may 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level and human perception. Thus current criterion needs to be complemented to reflect the spectrum characteristics of floor impact sound levels according to impact sources and sound pressure levels in low frequency range.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정호, "임팩트 볼을 활용한 바닥충격음 측정 및 차음평가"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5 (15): 1160-1168, 2005
2 김경우, "실충격원(어린이)의 충격 발생행위에 따른 충격력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5 (15): 542-549, 2005
3 박현구, "실생활 충격소음을 통한 표준 바닥충격원의 실효성 검증"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3 (23): 1117-1126, 2013
4 전진용, "바닥충격음 측정용 표준충격원과 실충격원의 특성 비교"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6 (16): 789-796, 2006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gulation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6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Rating of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for impact source in buildings and of building elements-Part 2 :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against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7 Lee, J., "Management of Low-Frequency Noise" KSNVE 806-807, 2011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loor Impact Noise Insulation Admission and Management Criteria for Apartment House"
9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Field measurements of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of buildings-Part 2: Method using standard heavy impact sources"
10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Acoustics-Rating Of Sound Insulation In Buildings And Of Building Elements – Part 2: Impact Sound Insulation"
1 정정호, "임팩트 볼을 활용한 바닥충격음 측정 및 차음평가"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5 (15): 1160-1168, 2005
2 김경우, "실충격원(어린이)의 충격 발생행위에 따른 충격력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5 (15): 542-549, 2005
3 박현구, "실생활 충격소음을 통한 표준 바닥충격원의 실효성 검증"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3 (23): 1117-1126, 2013
4 전진용, "바닥충격음 측정용 표준충격원과 실충격원의 특성 비교"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6 (16): 789-796, 2006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gulation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6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Rating of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for impact source in buildings and of building elements-Part 2 :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against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7 Lee, J., "Management of Low-Frequency Noise" KSNVE 806-807, 2011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loor Impact Noise Insulation Admission and Management Criteria for Apartment House"
9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Field measurements of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of buildings-Part 2: Method using standard heavy impact sources"
10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Acoustics-Rating Of Sound Insulation In Buildings And Of Building Elements – Part 2: Impact Sound Insulation"
11 Japanese Standard Association, "Acoustics-Rating Of Sound Insulation In Buildings And Of Building Elements -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휨을 받는 압축강도 80 MPa 수준의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구조거동 실험 연구
국가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한 거시적 관점의 미래 유지보수 투자규모에 관한 연구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2-01-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2012-01-1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구조물진단학회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8-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구조물진단학회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 ![]() |
2007-04-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한국구조물진단학회 -> 한국구조물진단학회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7 | 0.496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