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 ‘국가’의 특성과 번영 가능성: 인민반 사례 =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for Prosperity of the North Korean ‘State’ since the Arduous March: The Case of Inminb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448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이라는 ‘국가’가 정치공동체로서 경제성장(발전)에 제약을 가지고 있는 요소를 탐구했으며 고난의 행군 이전과 이후 ‘인민반’이라는 행정제도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미시적 상호작용과 거시적 국가 시스템의 문제를 함께 조명하여 분석했다. 국가 성패(빈곤과 번영)를 좌우하는 포용적 제도의 핵심요소인 중앙집권화, 개인의 자유(혹은 개인주의 출현), 사유재산제도, 시장경제를 분석틀로 해서, 상부구조인 국가가 최말단 행정제도의 그물망인 인민반을 통해 개인(주체)과 어떻게 상호 작동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9명의 북한이탈주민들과 심층면접을 진행했으며,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에서 개인주의적이고 시장적인 주체가 만들어지고 있는 번영의 가능성과, 동시에 제도적 모순에 따른 번영의 장애 요소를 혼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북한이라는 ‘국가’가 정치공동체로서 경제성장(발전)에 제약을 가지고 있는 요소를 탐구했으며 고난의 행군 이전과 이후 ‘인민반’이라는 행정제도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미...

      본 연구는 북한이라는 ‘국가’가 정치공동체로서 경제성장(발전)에 제약을 가지고 있는 요소를 탐구했으며 고난의 행군 이전과 이후 ‘인민반’이라는 행정제도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미시적 상호작용과 거시적 국가 시스템의 문제를 함께 조명하여 분석했다. 국가 성패(빈곤과 번영)를 좌우하는 포용적 제도의 핵심요소인 중앙집권화, 개인의 자유(혹은 개인주의 출현), 사유재산제도, 시장경제를 분석틀로 해서, 상부구조인 국가가 최말단 행정제도의 그물망인 인민반을 통해 개인(주체)과 어떻게 상호 작동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9명의 북한이탈주민들과 심층면접을 진행했으며,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에서 개인주의적이고 시장적인 주체가 만들어지고 있는 번영의 가능성과, 동시에 제도적 모순에 따른 번영의 장애 요소를 혼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that constrain economic growth (development) in North Korea as a political community. Focusing on the ‘Inminban’ administrative system before and after the Arduous March, the research examines both micro-level interactions and macro-level state system issues. Using an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key elements of inclusive institutions that determine national success or failure (poverty and prosperity)—centralization, individual freedom (or the emergence of individualism), private property rights, and the market economy—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state, as a superstructure, interacts with individuals (subjects) through the intricate network of the lowest-level administrative unit, the Inminban.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North Korean defectors. The study finds both the potential for prosperity emerging from the rise of individualistic and market-oriented subjects in North Korea since the Arduous March and the institutional contradictions that hinder such prosperity.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that constrain economic growth (development) in North Korea as a political community. Focusing on the ‘Inminban’ administrative system before and after the Arduous March, the research examines both micro-level inter...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that constrain economic growth (development) in North Korea as a political community. Focusing on the ‘Inminban’ administrative system before and after the Arduous March, the research examines both micro-level interactions and macro-level state system issues. Using an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key elements of inclusive institutions that determine national success or failure (poverty and prosperity)—centralization, individual freedom (or the emergence of individualism), private property rights, and the market economy—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state, as a superstructure, interacts with individuals (subjects) through the intricate network of the lowest-level administrative unit, the Inminban.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North Korean defectors. The study finds both the potential for prosperity emerging from the rise of individualistic and market-oriented subjects in North Korea since the Arduous March and the institutional contradictions that hinder such prosper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