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경기도의 에코뮤지엄 수용이 어떠한 관점에서 이루어졌는가와 진행 과정,그리고 지속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경기도는 경기만지역의 환경파괴와 무분별한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경기도의 에코뮤지엄 수용이 어떠한 관점에서 이루어졌는가와 진행 과정,그리고 지속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경기도는 경기만지역의 환경파괴와 무분별한 개...
본고는 경기도의 에코뮤지엄 수용이 어떠한 관점에서 이루어졌는가와 진행 과정,그리고 지속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경기도는 경기만지역의 환경파괴와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공동체의 파괴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한다. 하여 연안문화자원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으로서 2016년 경기만 에코뮤지엄을 출범한다. 최근에는 경기도 전체로 확대하려는 시도를 이어가면서 경기만 에코뮤지엄은 경기 에코뮤지엄으로 명칭이 수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런데 경기만 에코뮤지엄에서 경기에코뮤지엄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은 에코뮤지엄의 개념과 철학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의문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에코뮤지엄학의 관점에서 경기만 에코뮤지엄과 경기 에코뮤지엄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경기만에코뮤지엄이 기획, 실행 단계에서 발행된 다수의 연구보고서를 바탕으로 에코뮤지엄의 개념과 철학에 대한 해석을 어떻게 하였는가를 면밀히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경기만 에코뮤지엄에서 경기 에코뮤지엄으로 확대되는 과정에 발행된 경기만 에코뮤지엄 성과 평가에 담긴 메시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경기 에코뮤지엄의 사이트를 방문하여 현장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경기 에코뮤지엄이 지속가능하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를 고민하였다.
에코뮤지엄은 국가별, 지역별로 각기 다른 상황에 맞추어 적용되어왔다. 에코뮤지엄의 생성과정에는 지역의 정체성이 강하게 반영되고 주민공동체의 개성이 작용하여 운영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렇다면 경기도의 에코뮤지엄 수용은 경기도의 정체성이 투영된 살아있는 공동체 운동인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본고는 경기 에코뮤지엄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 선결되어야 하는 문제는 무엇이며, 서로 연대하기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를 고민하면서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perspective ecomuseums of Gyeonggi-do has been accommodated from, its process and sustainability. Raising issues about environmental destruction in the Gyeonggi Bay area and the destruction of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perspective ecomuseums of Gyeonggi-do has been accommodated from, its process and sustainability. Raising issues about environmental destruction in the Gyeonggi Bay area and the destruction of the community caused by indiscriminate development, Gyeonggi-do launched the Gyeonggi Bay Ecomuseum in 2016 as a measure of having interest in coastal cultural resources to make use of them. Recently, the Gyeonggi Bay Ecomuseum has been renamed to the Gyeonggi Ecomuseum with the attempt to expand its scope to the entire Gyeonggi Province. However, a series of procedure from the Gyeonggi Bay Ecomuseum to the Gyeonggi Ecomuseum includes a range of questions in the process of adopting the concept and philosophy of the ecomuseum.
In accorda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yeonggi Bay Ecomuseum and the Gyeonggi Ecomuseum from the viewpoint of ecomuseology. The research method involves a thorough examination of numerous research reports produced during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stages of the Gyeonggi Bay Ecomuseum to understand how the concept and philosophy of the ecomuseum have been interpreted. Subsequently, reviewed are the messages contained in the Gyeonggi Bay Ecomuseum performance evaluation created in the course of expanding it to the Gyeonggi Ecomuseum. In addition, based on field investigations conducted by visiting the site of the Gyeonggi Ecomuseum which is currently being managed, it has been considered what and how the Gyeonggi Ecomuseum should do to be sustainable.
The ecomuseum has been adapted to different situations by country and region. The local identity is strongly mirrored in the process of their establishment and they have the characteristic of being operated by the individuality of the local community which comes into play. Then, it is essential to explore whether the accommodation of the ecomuseum in Gyeonggi Province is a living community movement that projects the identity of Gyeonggi-do. This paper discusses in depth what the issues must be addressed first in order for the Gyeonggi Ecomuseum to be sustainable, and what should be done to stand in solidarity each other.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은석, "한국에서 에코뮤지엄의 수용과 적용 과정: 철암빌리지움에서 철암탄광역사촌까지"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56) : 35-56, 2023
2 이한주, "한․중 광역 에코뮤지엄의 비교 연구-경기만․광시 에코뮤지엄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12
3 이재영, "프랑스 에코뮤지엄 사례 연구: 부르고뉴 지방을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8) : 191-218, 2012
4 이재영, "프랑스 에코뮤지엄 개념의 형성과 발전과정 연구" EU연구소 (28) : 229-248, 2011
5 이종오, "포르투갈에서의 에코뮤지엄 개발과 사례 연구"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9 (9): 27-46, 2012
6 김성균, "펼쳐진 날개 또 다른 비상-경기만 에코뮤지엄 디렉토리" 협동조합 커뮤니티플랫폼 2020
7 배은석, "코냑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을 통한 전통식품 에코뮤지엄 조성 방안연구" 한국박물관학회 (30) : 23-40, 2016
8 이민경, "지역활성화를 위한 농촌마을간 네트워크방안 연구 - 일본 아산라이브뮤지엄을 대상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6 (6): 2004
9 이소연, "지역 활성화를 위한 에코뮤지엄 활용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경기 에코뮤지엄 경기만 권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3
10 윤동희 ; 김연희, "지역 에코뮤지엄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연구" 한국지역문화학회 6 (6): 49-76, 2019
1 배은석, "한국에서 에코뮤지엄의 수용과 적용 과정: 철암빌리지움에서 철암탄광역사촌까지"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56) : 35-56, 2023
2 이한주, "한․중 광역 에코뮤지엄의 비교 연구-경기만․광시 에코뮤지엄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12
3 이재영, "프랑스 에코뮤지엄 사례 연구: 부르고뉴 지방을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8) : 191-218, 2012
4 이재영, "프랑스 에코뮤지엄 개념의 형성과 발전과정 연구" EU연구소 (28) : 229-248, 2011
5 이종오, "포르투갈에서의 에코뮤지엄 개발과 사례 연구"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9 (9): 27-46, 2012
6 김성균, "펼쳐진 날개 또 다른 비상-경기만 에코뮤지엄 디렉토리" 협동조합 커뮤니티플랫폼 2020
7 배은석, "코냑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을 통한 전통식품 에코뮤지엄 조성 방안연구" 한국박물관학회 (30) : 23-40, 2016
8 이민경, "지역활성화를 위한 농촌마을간 네트워크방안 연구 - 일본 아산라이브뮤지엄을 대상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6 (6): 2004
9 이소연, "지역 활성화를 위한 에코뮤지엄 활용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경기 에코뮤지엄 경기만 권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3
10 윤동희 ; 김연희, "지역 에코뮤지엄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연구" 한국지역문화학회 6 (6): 49-76, 2019
11 김봉채 ; 이병민,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에코뮤지엄 모델 적용 연구 - 장수마을과 북정마을의 커뮤니티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45) : 127-148, 2017
12 배은석, "지속가능한 농촌 발전을 위한 에코뮤지엄 모델 연구 : 이천 율면 부래미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13 맹지은 ; 최정아, "장소마케팅관점에서의 에코뮤지엄 공간디자인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423-436, 2015
14 정진주 ; 최효승 ; 심현요, "이탈리아지역의 에코뮤지엄 사례와 발전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6 (6): 54-63, 2004
15 배은석, "에코뮤지엄학의 관점에서 돈의문박물관마을에 대한 연구" 한국박물관학회 (44) : 1-26, 2022
16 김성균, "에코뮤지엄의 활동에 관한 연구: 경기만에코뮤지엄을 중심으로" 한국NGO학회 14 (14): 105-128, 2019
17 신현요, "에코뮤지엄의 발전과정에 대한 연구" 28 : 2006
18 배은석,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활용한 지역의 유산보존과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 익선동 도시형한옥밀집지구를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5) : 103-135, 2014
19 배은석, "에코뮤지엄을 표방한 마을박물관의 실험적 시도 - 서울《익선동 마을 박물관》을 중심으로 -" 한국박물관학회 28 : 2015
20 허지연, "에코뮤지엄을 도입한 초등 사회과 지역학습 방안 연구-경기도 광주 시의 사례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21 윤재웅, "에코뮤지엄으로서의 미당시문학관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고찰" 한국문학연구소 (36) : 437-459, 2009
22 최효승, "에코뮤지엄개념의 농촌계획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24 (24): 2007
23 최재희, "에코뮤지엄(ecomuseum) 개념을 도입한 공예박물관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2
24 배은석, "에코뮤지엄 지속가능한 농촌 희망 프로젝트" 북코리아 2012
25 허보경 ; 이민, "에코뮤지엄 연구동향에서 나타난 융·복합적 특성"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9 (39): 467-478, 2021
26 김수미 외 공저, "에코뮤지엄 실현을 위한 청주시민의 지역유산에 대한 보전 의식 고찰" 대한건축학회 21 (21): 2005
27 배은석, "알자스 에코뮤지엄에 투영된 알자스인의 삶과 문화" 인문콘텐츠학회 (26) : 149-171, 2012
28 "아사히마치 에코뮤지엄"
29 김연희,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박물관 전시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박물관학회 (21) : 2011
30 "스칸센야외박물관"
31 최효준, "서양미술제도사에서 ‘에코뮤지엄’ 개념의 전개와 그 현재적 의미" 예술경영학회 1 : 2001
32 경기문화재단 경기창작센터, "상생공생 경기만 에코뮤지엄 스토리텔링북" 경기문화재단 경기창작센터 2016
33 경기문화재단 경기창작센터, "상생공생 : 경기만 에코뮤지엄 스토리텔링북" 경기문화재단 경기창작센터 2016
34 전홍규, "산업유산을 활용한 지역개발운동 - 에코뮤지엄(Ecomuseum)만들기 외국사례룰중심으로 -" 한국도시연구소 1998
35 배은석, "방데의 페모로 광산 센터를 통해 본 에코뮤지엄의 현재적 의미"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 : 73-98, 2015
36 배은석, "박물관 고을 영월의 지역자원 현황과영월 에코뮤지엄 가능성"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3) : 91-116, 2013
37 오하라 가즈오키, "마을은 보물로 가득차 있다" 아르케 2008
38 조성실, "농촌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에코뮤지엄 조성 가능성 연구 - 전북 신태인읍 ‘화호리(禾湖里)’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박물관학회 (30) : 65-89, 2016
39 "국제박물관협의회"
40 경기창작센터, "경기만 에코뮤지엄 평화생태기행" 인천일보 2016
41 김성하, "경기만 에코뮤지엄 성과평가(2016-2020)" 경기문화재단․경기연구원 2021
42 경기창작센터, "경기만 에코뮤지엄 민관협치 기반조성 위한 기초연구" ㈜도시와 사람 2017
43 경기창작센터, "경기만 에코뮤지엄 마스터플랜 수립" ㈜ 쥬스컴퍼니 2017
44 김성균, "경기만 날개를 펴다: 경기만 에코뮤지엄 기본구상" 사단법인 지역사회연구원․경기창작센터 2016
45 김성균, "경기만 날개를 펴다: 경기만 에코뮤지엄 기본구상" 사단법인 지역사회연구원․경기창작센터 2016
46 "경기 에코뮤지엄"
47 원기준, "‘끝나지 않은 실험’ 탄광촌 주민운동" 한국도시연구소 (35) : 66-71, 1998
48 Rivière, G.H., "Role of Museums of Art and of Human and Social Sciences" 25 (25): 26-44, 1973
49 Davis, Peter, "Ecomuseums A Sense of Place" Continuum International Pub. Group 2011
50 김연희, "3D 플레이스 브랜딩을 통한 에코뮤지엄의 발전방안"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4 (4): 95-102, 2017
51 경기문화재단, "2022 경기에코뮤지엄 결과자료집" 경기문화재단 2022
52 안산문화재단, "2019 경기만 에코뮤지엄 대부도 예술섬 누에" 2019
MZ 포스트메모리 세대의 문화적 기억과 기념관에서 일제강점기 역사의 재현: ‘아는 지식’을 넘어 ‘삶에 대한 통찰’로 안내
디지털 시대 박물관의 전시연출과 관람양상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을 중심으로-
한국 가톨릭 미술품 사례 연구 -명동대성당과 혜화동성당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