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형태소 습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2232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2014. 8. 졸업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90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 119 p. .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선희
        참고문헌: p. 98-100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quisition of Korean tense morphemes of Thai learners. Various contrastive analysis studies on tense in Korean and tense in Thai have been conducted steadily; however, only some of them target Thai 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quisition of Korean tense morphemes of Thai learners. Various contrastive analysis studies on tense in Korean and tense in Thai have been conducted steadily; however, only some of them target Thai learners of Korean. More importantly, the study on Korean tense morphemes with Thai learners as the subjects has yet to be executed.
      Thai as an isolated language is different from Korean in term of word order, resulting in different range of tense morphemes. Therefore, it is easy for Thai learners of Korean to face difficulty in learning Korean tense morphemes. And the lack of the understanding in tense can cause trouble in communication. In order to find an effective way to educate Thai learners on tense morphemes, we need to understand the learners’ acquisition aspect of Korean tense morphem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ai learners acquire Korean tense morphemes.
      Chapter I explai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advanced research on tense in Korean and tense in Thai. The research problem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ai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in using tense in Korean? Second, does proficiency level of Thai learners of Korean have an influence on the acquisition of tense in Korean?
      Chapter II sugges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Here,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ense in Korean and tense in Thai, in addition to the comparison of tense systems of the two languages, are brought into consideration.
      Consequently, chapter III explains the tool used in this research. A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was developed as a measure to examine the acquisition aspect of tense in Korean of Thai learners.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100 participants: 25 beginning Thai-speaking learners, 25 intermediate Thai-speaking learners, and 50 Korean native speakers.
      Chapter IV describ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using the tool suggested in Chapter III. The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 first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ai learners of Korean’s and Korean native speakers’ aspects of tense use in almost all semantic functions. The results of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show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the lowest in this order: ‘simultaneous indication of present point of time and past point of time’, ‘planned action in the future’, ‘future action’, ‘action that took place at a point of time in the past’, ‘an attribute of thing or personality of a person’, ‘general fact’, ‘situation that progressed i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past’, ‘supposition of conditional future situation’, ‘intention’, ‘action that took place repeatedly in the past’, ‘present state of things, feelings’, ‘situation that was completed in a particular point of time’, ‘present progressive’, ‘a habit in the present, repetition’, ‘past condition or feelings’, ‘supposition or prediction’, ‘a situation that is completed in the present’, ‘present condition’, ‘action that took place in the past and has progressed up to the present’, and ‘action that takes place in the present or to be completed soon’. Excluding ‘simultaneous indication of present point of time and past point of time’, the rest of the list display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ai learners of Korean and native Korean speakers.
      Secondly, when Thai speaking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more advanced learners and beginning learners, both groups of learner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using Korean tense according to semantic characteristics in five semantic functions, which were ‘past condition or feelings’, ‘situation that is completed in the present’, ‘situation that was completed in a particular point of time’, ‘supposition or prediction’, and ‘supposition of conditional future situ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level of proficiency is one of the factors of these differences.
      The average scores of the advanced learners for each semantic function turned out high. However, the average scores of both groups of learners in terms of three following semantic functions: ‘action that takes place in the present or to be completed soon’, ‘present condition’, and ‘action that took place in the past and has progressed up to the present’, turned out low. The reason is that the usages of these three semantic functions are classified differently in Thai. Moreover, the fact that one’s tongue has an influence on the acquisition of tense in Korean has been assured.
      Last but not least,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s well as its limitations are shown in Chapter V. In this chapter, an analysis of Thai learners of Korean’s acquisition of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ense in Korean is demonstrated. However, up to the presen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e acquisition of tense in Korean that targets Thai learners of Korean. Therefore, this research can be counted as a significant one as it is the first on this topic. Through this research, the difficulty that Thai learners of Korean face in acquiring tense in Korean was revealed. There is a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in educating Thai learners on Korean tense.
      One of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test failed to include questions of various forms. Through the questionnaire, present tense, past tense, and future tense can be defined totally 20 semantic functions only according to semantic characteristics. However, an excessive amount of questions in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can impair the concentration of the learners. Thus, only 3 questions of each function were carried into the test. And because this research focuses on only ‘-eoyo’, ‘-eoseoyo’, and ‘-eu geoyeyo’ forms,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more various for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시제 형태소 습득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한국어 시제와 태국어 시제의 대조 분석 연구가 있으나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시제 형태소 습득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한국어 시제와 태국어 시제의 대조 분석 연구가 있으나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상당히 적다. 특히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시제 형태소 습득 연구는 전무하다.
      한편 태국어는 고립어로 한국어와 어순이 다르고, 시제 형태소의 범주 또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태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시제 형태소 학습에 어려움을 겪기 쉬우며, 시제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의사소통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태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시제 형태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교수하기 위해서는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시제 형태소 습득 양상이 어떠한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시제 형태소 습득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 고찰하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며 한국어 시제나 태국어 시제를 연구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본고의 연구문제는 첫째,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시제 형태소 사용 양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시제 사용 양상과 비교했을 때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한국어 시제 형태소를 습득하는 데 있어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다음으로는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시제와 태국어 시제의 의미적 특성을 고찰하며, 두 언어의 시제의 체계를 비교하였다.
      이어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도구를 제시하였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시제 형태소 습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발한 도구는 문법성 판단 테스트이다. 실험 참여자는 태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초급 25명, 중급 25명, 한국어 모어화자 50명으로 총 100명이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개발한 도구로 실시한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시제 사용 양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시제 형태소 사용 양상과 비교했을 때 한 의미를 제외한 나머지 의미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의 정답률은 ‘현재 시점과 과거 시점을 동시에 지시’ > ‘계획된 미래’ > ‘앞으로 일어날 일’ > ‘과거시점에 발생한 행위’ > ‘사물의 속성이나 사람의 성격’ > ‘일반적 사실’ > ‘과거에 일정기간 진행된 상황이나 행동’ > ‘미래의 가정된 상황에서 추측’ > ‘의도’ > ‘과거 반복된 일이나 습관’ > ‘현재의 상태나 느낌’ > ‘과거특정 시점에 완결된 상황이나 행동’ > ‘현재의 진행’ > ‘현재의 습관이나 반복’ > ‘과거 상태나 느낌’ > ‘미래의 추측’ > ‘현재에 완결된 상황이나 행동’ > ‘현재의 상태’ > ‘과거부터 현재까지 진행’ > ‘확실성이 있는 앞으로 일어날 일’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시점과 과거 시점을 동시에 지시’의 의미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태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숙달도별로 태국인 학습자를 하위 집단과 상위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두 집단은 한국어 시제 형태소의 의미적 특성에 따른 ‘과거 상태, 느낌’, ‘현재에 완결된 상황’, ‘과거 특정 시점에 완결된 상황’, ‘미래의 추측’, 그리고 ‘미래의 가정된 상황에서 추측’ 의미, 이상 총 5가지 의미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숙달도 변인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의미에서 학습자 상위 집단의 점수 평균이 높게 나타났는데 ‘확실성이 있는 앞으로 일어날 일’, ‘현재의 상태’, ‘과거부터 현재까지 진행’, 이상 3가지 의미에서는 하위 집단도 물론이고 상위 집단도 점수 평균이 낮게 나타났는데 그 까닭은 각 3가지 용법에서의 한국어 시제 형태소는 태국어 시제 분류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국어가 한국어 시제 형태소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고의 결론과 의의, 또는 한계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시제 형태소의 의미적 특성에 따른 습득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런데 지금까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시제 형태소 습득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해당 영역의 최초 연구로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연구를 통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시제 형태소의 어떤 부분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 시제 형태소를 교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희망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다양한 형식의 문항을 포함하지 못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문항지를 통해 한국어의 현재시제, 과거시제, 미래시제의 각 의미적 특성에 따른 총 20가지 의미를 살펴보았는데,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많은 문항을 실시하면 학습자의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각 의미에서 3가지 문항만 실시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어요’, ‘­었어요’, ‘­(으)ㄹ 거예요’ 형식으로만 연구하였기 때문에 더 다양한 형식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선행 연구 3
      • C. 연구문제 7
      • Ⅱ. 이론적 배경 9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선행 연구 3
      • C. 연구문제 7
      • Ⅱ. 이론적 배경 9
      • A. 한국어 시제 형태소 체계 9
      • 1. 한국어 현재시제 종결형 : '-어요' 11
      • 2. 한국어 과거시제 종결형 : '-었어요' 13
      • 3. 한국어 미래시제 종결형 : '-(으)ㄹ 거예요' 15
      • B. 태국어 시제 체계 20
      • 1. 태국어 현재시제 23
      • 2. 태국어 과거시제 25
      • 3. 태국어 미래시제 28
      • Ⅲ. 연구 방법 39
      • A. 실험 참여자 39
      • B. 실험 도구 40
      • 1. 숙달도 검사 도구 40
      • 2. 한국어 시제 형태소 습득 양상 측정 도구 42
      • C. 분석 방법 49
      • D. 연구 절차 50
      • Ⅳ. 연구 결과 52
      • A. 의미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 시제 형태소 습득 양상 52
      • B.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시제 형태소 습득 양상 80
      • Ⅴ. 결론 및 논의 94
      • 참고문헌 98
      • 부록 101
      • ABSTRACT 1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