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입전형유형별 입학생 특성 분석 = An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Enrolling Students by College Admission Tr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75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of enrolling students by college admission tract and give suggestions of polic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For the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187,631 enrolling students in 2015 and 2016 from 46 universities wer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of enrolling students by type and region of high school they graduated, whether or not they got national scholarship at university, whether or not dropouts, income bracket, and GPA were analyzed. There wer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of enrolling students by type and region of high school they graduated, whether or not they got national scholarship at university, whether or not dropouts, income bracket, and GPA.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high school grades focused selection system are favorable students who live in rural area and low in SES comparing to essayfocused selection system and SAT focused selection system. Students who entered university b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high school grades focused selection system show low rate of dropouts, high GPA comparing to essayfocused selection system The results suggest administering various curriculum, recording and administering student record objectively, considering the method to reducing teacher task, building fair evaluation system, simplifying college admission system and evaluation component, administering various college admiss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of enrolling students by college admission tract and give suggestions of polic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For the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187,631 enrolling stu...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of enrolling students by college admission tract and give suggestions of polic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For the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187,631 enrolling students in 2015 and 2016 from 46 universities wer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of enrolling students by type and region of high school they graduated, whether or not they got national scholarship at university, whether or not dropouts, income bracket, and GPA were analyzed. There wer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of enrolling students by type and region of high school they graduated, whether or not they got national scholarship at university, whether or not dropouts, income bracket, and GPA.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high school grades focused selection system are favorable students who live in rural area and low in SES comparing to essayfocused selection system and SAT focused selection system. Students who entered university b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high school grades focused selection system show low rate of dropouts, high GPA comparing to essayfocused selection system The results suggest administering various curriculum, recording and administering student record objectively, considering the method to reducing teacher task, building fair evaluation system, simplifying college admission system and evaluation component, administering various college admis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입전형유형별 입학생의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정책제언을 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사업에 참여하 고 있는 전국 46여개 대학의 2015년, 2016년 전체 입학생 187,631명을 대상으로 대입전 형유형별 특성을 전수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대입전형유형별 입학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입전형유형별 출신고교 유형, 출신고교 지역, 국가장학금 수혜여부, 중도탈락여부, 소득분 위, 학업성취도(GPA)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입전형유형별 출신고교 유형 간, 출신고교 지역 간에 차이가 있었다. 또 대입전 형유형별 중도탈락 여부, 국가장학금 수혜여부, 소득분위, 학업성취도(GPA)에도 차이가 있었 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학생부종합전형이나 학생부교과전형은 논술위주전형이나 수능 위주전형에 비하여 지역적, 경제적으로 취약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전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과 학생부교과전형은 대학 적응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중도탈락률이나 학업성취도에서 수능위주전형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에 근거한 정책제언으로 다양한 전형을 고려한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 공정 하고 객관적인 생활기록부의 기록과 관리, 교사의 업무 경감 방안 강구, 투명하고 공정한 평 가시스템 구축, 대입전형 평가요소의 간소화와 유형화, 다양한 대입전형 운영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대입전형유형별 입학생의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정책제언을 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사업에 참여하 고 ...

      이 연구는 대입전형유형별 입학생의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정책제언을 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사업에 참여하 고 있는 전국 46여개 대학의 2015년, 2016년 전체 입학생 187,631명을 대상으로 대입전 형유형별 특성을 전수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대입전형유형별 입학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입전형유형별 출신고교 유형, 출신고교 지역, 국가장학금 수혜여부, 중도탈락여부, 소득분 위, 학업성취도(GPA)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입전형유형별 출신고교 유형 간, 출신고교 지역 간에 차이가 있었다. 또 대입전 형유형별 중도탈락 여부, 국가장학금 수혜여부, 소득분위, 학업성취도(GPA)에도 차이가 있었 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학생부종합전형이나 학생부교과전형은 논술위주전형이나 수능 위주전형에 비하여 지역적, 경제적으로 취약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전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과 학생부교과전형은 대학 적응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중도탈락률이나 학업성취도에서 수능위주전형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에 근거한 정책제언으로 다양한 전형을 고려한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 공정 하고 객관적인 생활기록부의 기록과 관리, 교사의 업무 경감 방안 강구, 투명하고 공정한 평 가시스템 구축, 대입전형 평가요소의 간소화와 유형화, 다양한 대입전형 운영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원, "학생부종합전형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진학담당 교사들의 인식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 허정은, "학생부종합전형에 따른 고교 교육의 변화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7 (27): 804-812, 2015

      3 김수연, "학생부종합전형 도입에 따른 대학 전공선택과 고교 진로선택간의관계" 4 : 155-174, 2015

      4 김상유, "학생부위주전형의 대학별 운영 방식과 유형에 관한 연구" 5 : 1-28, 2016

      5 김이지, "학과별 수월성 인재상과 재학 중 성과 분석 :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을 중점으로" 4 : 123-153, 2015

      6 "특집-학종 바로 알기"

      7 구본창, "전국 학생, 학부모, 교사 대학입학전형 인식 실태 조사결과"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 2017

      8 윤형식,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전형요소 및 신입생 특성 분석 - 2015학년도 D 대학 입학전형을 중심으로 -"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2483-2493, 2015

      9 임진택, "입학전형별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3 : 91-110, 2014

      10 권승아, "입학사정관 제도 운영 실태와 입학사정관의 인식" 한국교육학회 47 (47): 95-118, 2009

      1 김혜원, "학생부종합전형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진학담당 교사들의 인식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 허정은, "학생부종합전형에 따른 고교 교육의 변화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7 (27): 804-812, 2015

      3 김수연, "학생부종합전형 도입에 따른 대학 전공선택과 고교 진로선택간의관계" 4 : 155-174, 2015

      4 김상유, "학생부위주전형의 대학별 운영 방식과 유형에 관한 연구" 5 : 1-28, 2016

      5 김이지, "학과별 수월성 인재상과 재학 중 성과 분석 :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을 중점으로" 4 : 123-153, 2015

      6 "특집-학종 바로 알기"

      7 구본창, "전국 학생, 학부모, 교사 대학입학전형 인식 실태 조사결과"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 2017

      8 윤형식,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전형요소 및 신입생 특성 분석 - 2015학년도 D 대학 입학전형을 중심으로 -"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2483-2493, 2015

      9 임진택, "입학전형별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3 : 91-110, 2014

      10 권승아, "입학사정관 제도 운영 실태와 입학사정관의 인식" 한국교육학회 47 (47): 95-118, 2009

      11 김이지, "우리나라 입학사정관제 관련 연구동향 분석" 1 : 1-34, 2012

      12 임진택, "대학입학전형에서 입학생의 다양성 연구" 4 : 23-56, 2015

      13 남궁경현, "대학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 K대학 2009~2014학년도 입학생을 중심으로" 4 : 57-91, 2015

      14 이기혜, "대학입학전형 선발 결정요인 분석: 가정배경 및 학교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2 (22): 135-163, 2016

      15 윤서현,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18 (18): 1-24, 2015

      16 오성배, "대학생의 입학전형별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57-175, 2016

      17 송기석, "대입제도에 대한 국민(학부모) 여론조사 결과 및 대입제도 개선 방향" 2016

      18 김보경, "대입전형이 고등학교 교육과정 정상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소 13 (13): 93-119, 2015

      19 안선회,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 정책주장의 실제적 타당성 분석 - 대학입학전형제도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1 (21): 39-69, 2015

      20 강기수,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성과분석 연구"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7

      21 김미란,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입전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22 권오현, "고교 교육과 대학 입학 연계 방안에 대한 연구" 교육부 2011

      23 강기수, "2020년 이후 수능 및 대학입학제도 개혁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5

      24 교육부, "2016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60개교 선정 - 고교교육 중심 대입전형 내실화, 대입전형 운영 역량 강화 등 지원 -"

      25 안수진, "2015학년도 대입전형간소화정책의 효과성과 타당성 평가: 학생ㆍ학부모ㆍ교사의 효과성 인식에 근거한 인과가설 평가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28 (28): 233-269, 2015

      26 강태중, "2015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정책 설계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5 1.96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