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말선초 경남지역 와요 출토 평기와의 변천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23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말선초 기와는 평기와의 타날문양을 통해 총 4분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1분기는 이전과 비교해 기존 문양이 계속 사용되나, 집선문이 점점 증가하고, 단순·형식화되며 퇴보되는 양상을 ...

      여말선초 기와는 평기와의 타날문양을 통해 총 4분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1분기는 이전과 비교해 기존 문양이 계속 사용되나, 집선문이 점점 증가하고, 단순·형식화되며 퇴보되는 양상을 띠며, 문양구성은 일정한 틀 없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2분기는 평기와 단부에 종선문이 부가된 기와가 새롭게 등장하여 기존 기와와 공존하며, 고려시대 대표문양인 어골문이 일부 확인되나 이 분기 이후 대부분 사라지고 사선집선문·방곽집선문 등의 집선문 비율이 높아진다. 문양구성은 2·3단문이 확인된다. 3분기는 평기와의 단부 부가 종선문이 일반화되는 시기로, 직선계 능형집선문·방곽집선문·사선집선문·단사집선문이 유행하며 문양구성은 단독문이 주를 이룬다. 4분기에는 직선계 문양 외에 곡선계 문양도 유입되어 제작되기 시작하며, 조선시대 대표문양인 곡선계 호상집선문이 출현한다. 문양구성은 단독문~3단문까지 확인되나 단독문이 가장 많이 제작된다.
      여말선초 전환기의 변화는 단부 부가 종선문 채용, 어골문의 소멸과 신규 집선문의 등장, 단독문 문양구성의 유행, 지하식(터널식)의 기와가마 축조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상기 변화양상은 단순히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국가전환때문이 아니라 조선이 건국되면서 수공업체계 개편 및 정비가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of tile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could be divided into total four periods through the paddle-beat pattern of plain roof tile. In the first period, compared to the past, the existing pattern is continuously used, s...

      The roof tile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could be divided into total four periods through the paddle-beat pattern of plain roof tile. In the first period, compared to the past, the existing pattern is continuously used, simplified, and regressed while the multi-line converged pattern is gradually increased. The composition of pattern is variously shown without a certain frame. In the second period, the roof tile with vertical-lined pattern added to the end of plain roof tile newly appears while coexisting with the existing roof tiles. Even though there are some fish-bone patterns which is a representative pattern of the Goryeo Dynasty, most of them disappear after this period. Instead, the percentage of multi-line converged pattern such as multi-diagonal converged pattern and multi-square converged pattern increases. The composition of pattern shows the two/three-layered patterns. In the third period, the vertical-lined pattern added to the end of plain roof tile is generalized. The straight-line rhomboid multi-line converged pattern and mono-multi-line converged pattern are popular. The composition of pattern is dominated by the single pattern. In the fourth period, on top of the straight-line pattern, the curved-line pattern is also introduced and produced. The multi-curve converged arc patter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attern of the Joseon Dynasty appears. The composition of pattern shows all from single pattern to three-layered pattern while the single pattern is produced the most.
      Such changes in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could be summarized into four kinds such as introduction of vertical-lined pattern added to the end, extinction of fish-bone pattern and appearance of new multi-line converged pattern, popularity of single-pattern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of underground(tunnel-type) tile kin, which might be closely related to the handcraft system of the time. After the Joseon Dynasty is founded, the handcraft manufacturing system is reformed. The production of roof tile faces a new aspect when a new government office called ‘Waseo’ is formed and the factory system is modified. In other words, the factor of changes related to roof tile production must be related to the reform and modification of handcraft 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여말선초 경남지역 와요 출토 평기와 속성분석
      • Ⅲ. 형식분류 및 분기설정
      • Ⅳ. 여말선초 경남지역 평기와의 변천과 변화요인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여말선초 경남지역 와요 출토 평기와 속성분석
      • Ⅲ. 형식분류 및 분기설정
      • Ⅳ. 여말선초 경남지역 평기와의 변천과 변화요인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인국, "호남지역 고려시대 기와 가마 출토 평기와 연구" 중앙문화재연구원 (22) : 1-24, 2017

      2 김동철, "한국사 19" 국사편찬위원회 1996

      3 강경숙, "한국 도자사의 연구" 시공사 2000

      4 이인숙, "통일신라~조선전기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한국고고학회 54 : 63-103, 2004

      5 박종진, "충청지역의 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6 이혜옥, "조선전기 수공업체제의 정비" 한국역사연구회 33 : 1999

      7 이충선, "조선전기 관영수공업 체제의 재건과 운영"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1

      8 김성진, "조선전기 경남지역 와요 및 평기와의 전개양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5

      9 황창한, "조선시대 평기와의 편년검토:경주,울산을 중심으로" 7 : 2005

      10 김성진, "조선시대 평기와의 변천양상" 주류성출판사 (42) : 2019

      1 차인국, "호남지역 고려시대 기와 가마 출토 평기와 연구" 중앙문화재연구원 (22) : 1-24, 2017

      2 김동철, "한국사 19" 국사편찬위원회 1996

      3 강경숙, "한국 도자사의 연구" 시공사 2000

      4 이인숙, "통일신라~조선전기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한국고고학회 54 : 63-103, 2004

      5 박종진, "충청지역의 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6 이혜옥, "조선전기 수공업체제의 정비" 한국역사연구회 33 : 1999

      7 이충선, "조선전기 관영수공업 체제의 재건과 운영"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1

      8 김성진, "조선전기 경남지역 와요 및 평기와의 전개양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5

      9 황창한, "조선시대 평기와의 편년검토:경주,울산을 중심으로" 7 : 2005

      10 김성진, "조선시대 평기와의 변천양상" 주류성출판사 (42) : 2019

      11 김성진, "조선시대 영남지역 와요의 전개양상과 변화요인" 한국기와학회 2011

      12 강만길, "조선시대 상공업사 연구" 창비 2018

      13 홍희유, "조선 중세 수공업사 연구" 지양사 1989

      14 김성진, "제주목기 기와의 제 양상과 특징" 한국기와학회 (2) : 2020

      15 국립문화재연구소, "제와장"

      16 차인국, "전북지역 통일신라~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 : 39-72, 2014

      17 이정민, "전남지역 우상문 평기와의 변천양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18 김지윤, "원주지역 고려·조선시대 평기와 연구" 13 : 2008

      19 이수경, "영산강유역 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20 윤여훈, "양주 회암사지 출토 조선시대 와당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21 엄기표, "양주 회암사지 출토 범자 진언명(眞言銘) 기와의 특징과 의의" 국립문화재연구소 50 (50): 4-25, 2017

      22 김성진, "부산지역 기와가마의 구조변천 및 운영방식, 부산기와"

      23 김지연, "부산·경남지역 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24 윤용희, "남한강유역 출토 고려전기 평기와 고찰 : 여주 원향사지 출토기와의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25 이동준, "남양주 와요지 출토 조선시대 평기와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26 송성안, "고려후기의 사원수공업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0

      27 최정혜, "고려시대의 수막새에 대한 검토" 2 : 1993

      28 이정신, "고려시대 기와생산체제와 그 변화" 고려사학회 (29) : 71-98, 2007

      29 서창호, "고려말 조선시대 암막새의 변천과정" 중부고고학회 9 (9): 145-184, 2010

      30 고재용, "고려~조선시대 평기와의 변형과정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4

      31 이상규, "고려~조선시대 범자문 와당의 형식과 제작특성 고찰" 한국고대학회 (38) : 365-400, 2013

      32 이재명, "경남지역 삼국~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33 김성진, "경남지역 고려 와요(瓦窯)의 성립과 변천" 한국중세고고학회 (7) : 5-42, 2020

      34 이상규, "강화도 출토 고려 후기~조선 전기 막새의 성격" 한국고대학회 (63) : 199-227, 2020

      35 최영희, "강원지방 고려시대 평기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36 崔晶惠, "高麗時代 평기와의 編年硏究 : 紋樣形態를 中心으로" 慶星大學校 大學院 1996

      37 徐聖鎬, "高麗前期 手工業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38 徐五善, "韓國 平瓦紋樣의 時代的 變遷에 대한 硏究" 충남대학교 대학원 1985

      39 김기민, "慶南地方 高麗기와 成立期의 樣相과 그 特徵" 동아시아문물연구소 14 (14): 63-102, 2008

      40 崔兌先, "平瓦製作法의 變遷에 대한 硏究"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3

      41 김한상, "嶺南地方朝鮮時代평기와에 대한 一考察 -段階設定및 地域分化를 中心으로-" 한국문화사학회 (32) : 143-17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