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5개 OECD 국가에서 제도적 조건과 문화적 이데올로기, 그리고 개인의 특성 간의 어떠한 결합 형태가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 비중을 설명하는 원인조건이 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02668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5-92(4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5개 OECD 국가에서 제도적 조건과 문화적 이데올로기, 그리고 개인의 특성 간의 어떠한 결합 형태가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 비중을 설명하는 원인조건이 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본 연구는 15개 OECD 국가에서 제도적 조건과 문화적 이데올로기, 그리고 개인의 특성 간의 어떠한 결합 형태가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 비중을 설명하는 원인조건이 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전통적 남성생계 부양자 모델이 약화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 전반에서의 성별 격차 현상은 좀처럼 완화되지 않는 상황에서 일가족양립정책의 일부로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나라마다 다양한 제도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각 국가의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왜 일부 국가에서는 높은 남성 수급률을 보였으나 또 다른 국가에서는 여성의 사용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결과를 산출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퍼지셋질적비교분석(fuzzy-set/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방법론을 사용하여 높은 남성 수급률에 기여한 다섯 가지 차원의 조건들 간 결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수급권이 개인 단위로 부여되고 소득대체율이 높게 설계되었을 경우, 2) 소득대체율이 높은 정책 설계와 양성 평등적인 사회 규범이 존재하는 사회에서, 3) 사회규범 혹은 개인의 의식이 양성 평등적이며 공공고용비중이 높은 사회에서 남성의 수급률이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남성 육아휴직 사용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설계와 노동시장 변화 노력은 성평등한 규범을 가진 사회에서 비로소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제도와 문화의 동시적인 변화 노력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ich combination of institutions, social cultures, micro-level characteristics explains the men"s use of parental leave in 15 OECD countries. Despite the weakening of the traditional male-breadwinner model and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ich combination of institutions, social cultures, micro-level characteristics explains the men"s use of parental leave in 15 OECD countries. Despite the weakening of the traditional male-breadwinner model and the increasing participation of women in labour market, the overall gender disparity has rarely been alleviated in Korea. The various institutional efforts have been made to encourage men to use parental leave as part of the work-life reconciliation policy. Nevertheless, women"s use of parental leave is still overwhelmingly high. The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combined patterns of seven conditions that are contributed to the high rate of male use. As a result, 1) in a society where there is a combination of individual non-transferable parental leave rights with a high payment rate, 2) in a society with high payment rates and equal gender norms, 3) in a society where social norms/individual consciousness are gender-equal and the public employment proportion is high, the male usage rate of parental leave is high. These analyses show that the efforts of policy design reform and change in labor market structure to enhance the use of men"s parental leave can be more likely to achieved in a society with equal gender ideolog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춘순,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활용한 의회예산제도 영향요인의 탐색: 주요 60개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9 (19): 87-111, 2015
2 이은미, "지방정부의 규제 채택요인에 관한 퍼지셋 분석: 대형마트・SSM 영업규제 조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8 (48): 349-373, 2014
3 김원정, "젠더 관점에서 본 한국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서울대학교 2018
4 김경희, "입법과정에 나타난 일 - 가족 양립 문제의 프레임(frame)에 관한 연구 - 2000~2006년 국회회의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3 (13): 71-101, 2010
5 박은미, "유아기 자녀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239-262, 2016
6 신경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여덟 가지 질문" 한국여성연구소 16 (16): 321-359, 2016
7 김희정, "여성고용률과 아동빈곤율의 관계: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활용한 OECD 34개국의 탐색적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31 (31): 75-91, 2015
8 정성미, "여성고용과 사회서비스업" 32 (32): 58-73, 2012
9 김영옥, "여성 경력단절 예방 강화를 위한 법, 제도 개선방안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10 김진욱,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경험에 관한질적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2 (22): 265-302, 2015
1 김춘순,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활용한 의회예산제도 영향요인의 탐색: 주요 60개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9 (19): 87-111, 2015
2 이은미, "지방정부의 규제 채택요인에 관한 퍼지셋 분석: 대형마트・SSM 영업규제 조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8 (48): 349-373, 2014
3 김원정, "젠더 관점에서 본 한국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서울대학교 2018
4 김경희, "입법과정에 나타난 일 - 가족 양립 문제의 프레임(frame)에 관한 연구 - 2000~2006년 국회회의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3 (13): 71-101, 2010
5 박은미, "유아기 자녀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239-262, 2016
6 신경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여덟 가지 질문" 한국여성연구소 16 (16): 321-359, 2016
7 김희정, "여성고용률과 아동빈곤율의 관계: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활용한 OECD 34개국의 탐색적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31 (31): 75-91, 2015
8 정성미, "여성고용과 사회서비스업" 32 (32): 58-73, 2012
9 김영옥, "여성 경력단절 예방 강화를 위한 법, 제도 개선방안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10 김진욱,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경험에 관한질적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2 (22): 265-302, 2015
11 김영미, "스웨덴의 시간제근로: 유연성과 성평등의 긴장 속 공존" 한국산업노동학회 17 (17): 297-323, 2011
12 박미진, "성평등 인센티브의 남성 육아휴직 사용 확대효과: 민간부문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4 (94): 37-78, 2017
13 최영준, "사회과학에서 퍼지셋 활용의 모색: 퍼지 이상형 분석과 결합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15 (15): 307-336, 2009
14 윤승희, "북유럽 국가들의 돌봄의 가족화 정책 : 부모휴가와 아동가정양육수당정책에 나타나는 아 버지 상(像)의 상이성"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30) : 125-162, 2010
15 이승윤, "복지국가의 필요조건으로서의 ‘정부의 질’: 퍼지셋 질적비교연구를 활용한 OECD국가 비교연구" 정부학연구소 21 (21): 1-39, 2015
16 김진욱, "미취학자녀를 둔 기혼 남성의 일-가정 균형이 자녀관계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양육참여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5 (25): 211-236, 2018
17 최영준, "노동시장과 연금제도의 구조가 노인소득안정에 미치는 결합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36 : 141-177, 2013
18 한승헌, "내전 후 평화의 달성을 위한 정부의 질(quality of government): 질적비교연구방법론(QCA)의 적용"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8 (18): 21-58, 2015
19 김연진, "남성의 육아휴직 경험에 대한 연구 : 이분법적 젠더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285-319, 2015
20 손윤진, "남성의 육아휴직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2011년 정률제 도입의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6
21 홍승아, "남성의 육아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22 최숙희, "남성육아휴직제도 활성화에 대한 고찰 : 해외사례 중심으로" 18 : 37-62, 2016
23 성민정, "가족친화제도 디커플링 인식과 영향요인: 출산육아 및 근로시간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1 (51): 185-215, 2017
24 Almqvist, A. L., "Why most Swedish fathers and few French fathers use paid parental leave : An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 of parents" 6 (6): 192-200, 2008
25 Norman, H., "Which fathers are the most involved in taking care of their toddlers in the UK? An investigation of the predictors of paternal involvement" 17 (17): 163-180, 2014
26 Duvander, A. Z., "What are the effects of reforms promoting fathers’ parental leave use?" 22 (22): 319-330, 2012
27 Eydal, G. B., "Trends in parental leave in the Nordic countries : has the forward march of gender equality halted?" 18 (18): 167-181, 2015
28 Thor Arnarson, B., "The paternity leave act in iceland:Implications for gender equality in the labour market" 17 (17): 677-680, 2010
29 Haas, L., "The impact of taking parental leave o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and relationships with children:Lessons from Sweden" 11 (11): 85-104, 2008
30 Noonan, M., "The impact of social policy on the gendered division of housework" 5 (5): 124-134, 2013
31 Haas, L.,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men's use of parental leave in Sweden" 5 (5): 319-342, 2002
32 Klinth, R., "The best of both worlds? fatherhood and gender equality in Swedish paternity leave campaigns 1976-2006" 6 (6): 20-38, 2008
33 Hochschild, A. R., "The Time Bind : When Work Becomes Home and Home Becomes Work" Macmillan 2001
34 Schultz, T. W., "The Economic Value of Educ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3
35 Ragin, C., "The Comparative Political Economy of the Welfare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9-319, 1994
36 Schneider, C. Q., "Standards of good practice in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QCA)and fuzzy-sets" 9 (9): 397-418, 2010
37 Mischke, M., "Public Attitudes toward Family Policies in Europe : Linking Institutional Context and Public Opinio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38 Salmi, M., "Perhevapaat, talous ja sukupuolten tasa-arvo" 28 (28): 34-38, 2015
39 Boll, C., "Paternal childcare and parental leave policies : evidence from industrialized countries" 12 (12): 129-158, 2014
40 Anxo, D., "Part Time Work in European Companies" Eurofound 2007
41 Bygren, M., "Parents’ workplace situation and fathers’ parental leave use" 68 (68): 363-372, 2006
42 Pragg, B., "Parental leave use among disadvantaged fathers" 38 (38): 1157-1185, 2017
43 Gíslason, I. V., "Parental Leave, Childcare and Gender Equality in the Nordic Countries" Nordic Council of Ministers 2011
44 Bianchi, S. M., "Is anyone doing the housework? Trends i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79 (79): 191-228, 2000
45 Greenstein, T. N., "Husbands' participation in domestic labor:Interactive effects of wives' and husbands' gender ideologies" 58 (58): 585-595, 1996
46 Blood, R. O., "Husbands & Wives: The Dynamics of Married Living" The Free Press 1960
47 Sen, A., "Human rights and capabilities" 6 (6): 151-166, 2005
48 Duvander, A. Z., "How long should parental leave be? Attitudes to gender equality, family, and work as determinants of women’s and men’s parental leave in Sweden" 35 (35): 909-926, 2014
49 Geisler, E., "How Policy Matters: Germany’s Parental Leave Benefit Reform and Fathers’ Behavior 1999-2009" MPIDR 2012
50 Rao, A., "Gender at Work: Theory and Practice for 21st Century Organizations" Routledge 2015
51 Chronholm, A., "Fathers’experience of shared parental leave in Sweden" 38 (38): 9-25, 2007
52 Whitehouse, G., "Fathers’ use of leave in Australia" 10 (10): 387-407, 2007
53 Escot, L., "Fathers’ use of childbirth leave in Spain. The effects of the 13-day paternity leave" 33 (33): 419-453, 2014
54 Haas, L., "Fathers' rights to paid parental leave in the Nordic countries : consequences for the gendered division of leave" 14 (14): 177-195, 2011
55 Seward, R. R., "Fathers taking parental leave and their involvement with children : An exploratory study" 9 (9): 1-9, 2006
56 Gornick, J., "Fatherhood in the Nordic Welfare States: Comparing Care Policies and Practice" Bristol University Press 373-384, 2015
57 Conner, M., "Extend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A review and avenues for further research" 28 (28): 1429-1464, 1998
58 Bardasi, E., "Explaining cross-national variation in part-time/full-time wage differentials among women" 2002
59 Sen, A., "Equality of what?" 1 : 197-220, 1980
60 Williams, J. C., "Cultural schemas, social class, and the flexibility stigma" 69 (69): 209-234, 2013
61 Hobson, B., "Competing scenarios for European fathers : Applying Sen's capabilities and agency framework to work—family balance" 624 (624): 214-233, 2009
62 Lappegard, T., "Changing the gender balance in caring : Fatherhood and the division of parental leave in Norway" 27 (27): 139-159, 2008
63 Brewster, K. L., "Change in gender‐ideology, 1977–1996 : The contributions of intracohort change and population turnover" 62 (62): 477-487, 2000
64 Cools, S., "Causal effects of paternity leave on parents and children" Statistisk Sentralbyrå 2011
65 Pylkkänen, E., "Career Interruptions due to Parental Leave" OECD 2003
66 Hook, J. L., "Care in context : Men’s unpaid work in 20 countries, 1965–2003" 71 (71): 639-660, 2006
67 Capuozzo, R. M., "Boot camp for new dads : The importance of infant-father attachment" 65 (65): 24-, 2010
68 Ferree, M. M., "Beyond separate spheres : Feminism and family research" 52 (52): 866-, 1990
69 Grofman, B., "An introduction to crisp set QCA, with a comparison to binary logistic regression" 62 (62): 662-672, 2009
70 Salancik, G. R.,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to job attitudes and task design" 23 (23): 224-253, 1978
71 Hakim, C., "A new approach to explaining fertility patterns : Preference theory" 29 (29): 349-374, 2003
72 Becker, G. S., "A 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73 Becker, G. S.,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75 : 493-517, 1965
복지국가의 활성화와 사회적 시민권의 재구성 : 사회부조 개혁을 중심으로
모자보건법 제14조(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의 역사 : 인구정책변화에 따른 의미 변화와 ‘사회경제적 이유’ 포함 논쟁을 중심으로
문재인 정부 2년 반, 한국 복지체제 : 개발국가 복지체제의 해체와 과제
성역할에 대한 여성의 태도와 사회적 규범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영문명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Academy of Critical Health Policy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20-03-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1-11-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
2011-10-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상황과복지 -> 비판사회정책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35 | 1.677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