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방언 화자 분석을 위한 인구 관련 문헌 소개 -20세기 초 이전을 중심으로- = A Introduction to the Population Literature for Dialect Speaker Analysis -Focus on Before the 20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3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riefly introduce the population related documen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luidity and hometown of the speakers of the late modern Korean language and to suggest ways of using these data. If the temporal variation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riefly introduce the population related documen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luidity and hometown of the speakers of the late modern Korean language and to suggest ways of using these data. If the temporal variation and transitive changes can not be explained intonationally, they can be approached by extrinsic factors, such as the fluidity of the speaker. The remnant and extinction of the dialects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period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numerical increase or decrease of the corresponding speaker, which i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flow of language change. In order to analyze a dialect speaker, a speaker, in other words, a population-related document is needed. We have been having <HanseongbuHogudanja>, <GwangmuHojeok>, <Hogu Danja>, <ChosunMoongwabangmok>, <DaehanjeagukGwanwoniryekseo> etc since 14th century. These materials are population - related materials that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found in the information of the speaker as documents or documents published in the government or the government from 14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rough Joseon Dynasty. It is significant that the modern method of census can help analyze the speaker from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se materials and suggest ways and limits of their u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후기 근대국어 시기 방언 화자의 유동성과 출신지를 파악 하는데 필요한 관련 문헌을 소개하고 이들 자료의 활용 방안을 간략히 모 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언어공동체 내에...

      이 글은 후기 근대국어 시기 방언 화자의 유동성과 출신지를 파악 하는데 필요한 관련 문헌을 소개하고 이들 자료의 활용 방안을 간략히 모 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언어공동체 내에서 혼재하는 다양한 지역 방언 화자들은 지역 내의 언어 상황이나 변화에 영향을 주게 된다. 방언 의 공시적 변이나 통시적 변화를 언어내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경우, 언 어외적인 요인, 이를테면 화자의 유동성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근대국어 시기의 방언형들의 잔존과 소멸은 해당 방언 화자의 수적 증감을 통해 추 정할 수 있으며, 이는 언어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방언 화자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화자와 관련 있는 문헌, 다시 말 해 인구 관련 문헌이 필요하다. 20세기 초 이전 시기의 인구 관련 문헌으 로는 <호구총수>, <한성부호구단자>, <광무호적>, <조선문과방목>, <대한제국관원이력서> 등이 있다. 이 자료들은 14세기부터 20세기 초 사이에 관청에서 간행된 문서들로서 화자의 정보를 직 ‧간접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인구 관련 자료들이다. 이 자료들은 현대적 방식의 인구 조사가 시행되지 않았던 근대시기의 방언 화자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자료들을 소개하고 활용 방안과 한계를 제시하도록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白斗鉉, "嶺南 文獻語의 通時的 音韻 연구"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0

      2 이옥희, "후기 근대국어 이중모음 ‘ㅚ’와 ‘ㅟ’의 사회적 변이 연구" 부산대 2014

      3 "한성부호구단자(CD-ROM)"

      4 조성윤, "한말의 가족과 신분-서울 호적 분석" 한국사회사학회 96-133, 1996

      5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문과방목"

      6 "통계청 홈페이지"

      7 정치영, "조선후기 인구의 지역별 특성" 민족문화연구원 (40) : 27-50, 2004

      8 김혜정, "조선시대의 인구변동과 경제사-인구통계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17 : 75-107, 1989

      9 박노석, "조선시대 전주출신의 문과 급제자 현황" 전북사학회 (30) : 33-61, 2007

      10 조성윤, "조선 후기 서울의 인구증가와 공간구조의 변화" 한국사회사학회 43 : 102-130, 1994

      1 白斗鉉, "嶺南 文獻語의 通時的 音韻 연구"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0

      2 이옥희, "후기 근대국어 이중모음 ‘ㅚ’와 ‘ㅟ’의 사회적 변이 연구" 부산대 2014

      3 "한성부호구단자(CD-ROM)"

      4 조성윤, "한말의 가족과 신분-서울 호적 분석" 한국사회사학회 96-133, 1996

      5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문과방목"

      6 "통계청 홈페이지"

      7 정치영, "조선후기 인구의 지역별 특성" 민족문화연구원 (40) : 27-50, 2004

      8 김혜정, "조선시대의 인구변동과 경제사-인구통계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17 : 75-107, 1989

      9 박노석, "조선시대 전주출신의 문과 급제자 현황" 전북사학회 (30) : 33-61, 2007

      10 조성윤, "조선 후기 서울의 인구증가와 공간구조의 변화" 한국사회사학회 43 : 102-130, 1994

      11 김두섭, "조선 후기 도시에 대한 인구학적 접근" 한국사회학회 24 (24): 7-23, 1992

      12 林學成, "조선 후기 漢城府民의 戶籍자료에 보이는 ‘時入’의 성격 -漢城府 주민의 住居 양상을 究明하기 위한 一試論-" 한국고문서학회 24 : 309-341, 2004

      13 이기문, "신정판 국어사개설" 태학사 2005

      14 국립국어원, "서울토박이말 자료집(I-II)" 국립국어연구원 1998

      15 이현복, "서울말과 표준말의 음성학적 비교연구" 한국언어학회 2 : 167-184, 1977

      16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994

      17 최전승, "문헌자료에 반영된 음운론적 변이의 과정과, ‘하여(爲) > 해’의 음성변화" 한국국어교육연구회 96 : 339-358, 1998

      18 이옥희, "문헌 자료를 통한 방언 화자층의 출신지 분석 연구" 우리말학회 3-9, 2016

      19 이원명, "문과급제자거주지분석 : 주요 성관의 문과방목을 중심으로" 백산학회 70 : 673-712, 2004

      20 국사편찬위원회, "대한제국관원이력서" 탐구당 1971

      21 태학사, "국조문과방목(2)" 태학사 1998

      2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3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24 국립국어원, "경북지역조사보고서" 국립국어원 2010

      25 박창원, "경남방언의 모음변화와 상대적 연대순 : 필사본 <수겡옥낭좌전>을중심으로" 경남대가라문화연구소 9 : 43-76, 1992

      26 Hymes, D.H, "Foundations in Sociolinguistics : An Ethnographic Approach" University of Pensylvania Press 269-293, 1974

      27 Labov, W, "Directions in sociolinguistics" Holt 1972

      28 Chomsky, Noam, "Aspect of Theory of Syntax" MITPress 1965

      29 김주필, "18세기 왕실문헌의 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127-157,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KCI등재
      2013-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7 1.448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