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피보험자의 정신질환 면책조항의 효력에 관한 고찰 - 대법원 2015.6.23. 선고 2015다5378 판결; 대법원 2015.10.15. 선고 2015다34956, 34963 판결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Validity of the Exemption Clause of the Insured`s Mental Illnes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약관의 해석이나 그 적용과 관련하여 분쟁이 늘고 있다. 점차 보 험상품의 구성이 복잡해지니 그에 따라 약관의 해석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졌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사건의 면책...

      최근 약관의 해석이나 그 적용과 관련하여 분쟁이 늘고 있다. 점차 보 험상품의 구성이 복잡해지니 그에 따라 약관의 해석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졌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사건의 면책약관에서는 피보험자의 정신질 환을 피보험자의 고의나 피보험자의 자살과 별도의 독립된 면책사유로 규 정하고 있다. 판례에 따르면 이러한 면책사유를 둔 취지는 피보험자의 정신 질환으로 인식능력이나 판단능력이 약화되어 상해의 위험이 현저히 증대된 경우 그 증대된 위험이 현실화되어 발생한 손해는 보험보호의 대상으로부 터 배제하려는 데에 있다고 한다. 또한 보험에서 인수하는 위험은 보험상품 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는 것이어서 이러한 면책사유를 규정한 약관조항 이 고객에게 부당하게 불리하여 공정성을 잃은 조항이라고 할 수 없다고 한 다. 그러므로 만일 피보험자가 정신질환에 의하여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고 이로 인하여 보험사고가 발생한 경우라면 위 면책 사유에 의하여 보험자의 보험금지급의무가 면제된다고 한다. 그러나 정신질환으로 인한 사고는 정신질환으로 인하여 그 어떤 상황 의 결과발생에 대한 확정적 인식을 하지 못하거나 할 수 없는 것을 포함하 는 것이므로 결국 정신질환이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원인을 의미 하므로 이는 고의가 아님을 의미한다. 상법 제732조의 2 제1항 및 제739조 의 취지에 따라 사망을 보험사고로 하는 보험계약에서 상해보험의 경우 중 과실로 인하여 보험사고가 발생하면 보험자는 면책되지 아니하고 보험자는 보험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동일한 취지로 심신상실로 인하여 자신을 해친 경우도 그러한 측면에서 고의성이 배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심신상실 및 정신질환으로 인하여` 피보험자가 자살을 한 경우는 보험금지급을 면한다는 면책약관은 상법 제663조 보험계약자 등의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에 반하 는 것으로 무효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dispute over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the clause is increasing. As the organization of the insurance product has become complex, interpretation of the clause has accordingly become necessary in many cases. The exemption claus...

      Recently, the dispute over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the clause is increasing. As the organization of the insurance product has become complex, interpretation of the clause has accordingly become necessary in many cases. The exemption clause of the case covered in this thesis stipulates the insured`s mental illness as an independent exemption grounds separated from the insured`s intention or suicide. According to the precedent, the purpose of this exemption grounds is to exclude the damage caused by the realization of the increased danger from the subject of insurance protection in case the danger of injury has notably increased by the weakening of the abilities of perception and judgment due to the insured`s mental illness. In addition, as the danger assumed by insurance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surance product, it is not possible to regard the clause regulating the exemption grounds as unfair and unjust to the customer. Therefore, if the insured finds him/herself in a state quite unable to make free decisions due to mental illness and an insurance accident has consequently occurred, the obligation of insurance payment is exempted based on the exemption grounds mentioned above. However, accidents caused by mental illness include the inability to clearly perceive the possible consequence of a situation, meaning that mental illness is the cause intervening free decision-making, and therefore, that it has not been intentional. Following the purpose of Commercial Act Article 732-2 section 1 and Article 739, in the insurance contract that treats death as an insurance accident in an accident insurance, in case an insurance accident has occurred due to negligence, the insurer is not exempted and must provide insurance benefit. In the same manner, in case of self-injury due to mental unsoundness, intention is excluded. Therefore, the exemption clause which exempts insurance benefit in case of the insured`s suicide `due to mental unsoundness or mental illness` is invalid, since it contradicts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against concluding special agreement which is disadvantageous to policy holders etc. in Commercial Act article 66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이수, "피보험자의 정신질환으로 초래된 자살행위로 인한 사망이 상해보험의 보험사고인지 여부 - 대법원 2015.6.23. 선고 2015다5378 판결 -" 법학연구소 5 (5): 183-207, 2015

      2 김선정, "피보험자의 정신질환에 기한 상해사고를 면책사유로 한 약관조항의 해석"

      3 유관우, "조문별 인보험 약관해설" 도서출판 앨림지앤피 2006

      4 김은경, "정신질환자 보험가입 관련 해외 법제도의 고찰" 법학연구소 16 (16): 533-564, 2015

      5 김선정, "약관의 소급적용 요건 및 약관조항이 고객에게 부당하게 불리하여 공정성을 잃은 조항인지 여부-대법원 2015.10.15.선고 2015다34956, 2015다34963판결"

      6 조규성, "손해보험사의 상해보험 약관에서 규정하고 있는 ‘피보험자의 정신질환’ 면책조항의 효력에 관한 판례 고찰 - 대법원 2015. 6. 23. 선고 2015다5378 판결 -" 법학연구소 56 (56): 193-221, 2015

      7 윤은경, "생명보험계약상 면책기간 내 피보험자의 정신질환으로 인한 자살에 대한 보험자의 재해사망보험금 지급의무 - 대법원 2016. 5. 12. 선고 2015다243347 판결, 대법원 2006. 3. 10. 선고 2005다49713 판결 -" 법학연구소 57 (57): 207-238, 2016

      8 정희철, "상법학(하)" 박영사 1990

      9 정찬형, "상법강의(하)" 박영사 2009

      10 김은경, "보험약관 내용구성의 책임 - 자살면책제한조항과 재해사망의 이해 -" 법학연구소 10 (10): 97-121, 2016

      1 김이수, "피보험자의 정신질환으로 초래된 자살행위로 인한 사망이 상해보험의 보험사고인지 여부 - 대법원 2015.6.23. 선고 2015다5378 판결 -" 법학연구소 5 (5): 183-207, 2015

      2 김선정, "피보험자의 정신질환에 기한 상해사고를 면책사유로 한 약관조항의 해석"

      3 유관우, "조문별 인보험 약관해설" 도서출판 앨림지앤피 2006

      4 김은경, "정신질환자 보험가입 관련 해외 법제도의 고찰" 법학연구소 16 (16): 533-564, 2015

      5 김선정, "약관의 소급적용 요건 및 약관조항이 고객에게 부당하게 불리하여 공정성을 잃은 조항인지 여부-대법원 2015.10.15.선고 2015다34956, 2015다34963판결"

      6 조규성, "손해보험사의 상해보험 약관에서 규정하고 있는 ‘피보험자의 정신질환’ 면책조항의 효력에 관한 판례 고찰 - 대법원 2015. 6. 23. 선고 2015다5378 판결 -" 법학연구소 56 (56): 193-221, 2015

      7 윤은경, "생명보험계약상 면책기간 내 피보험자의 정신질환으로 인한 자살에 대한 보험자의 재해사망보험금 지급의무 - 대법원 2016. 5. 12. 선고 2015다243347 판결, 대법원 2006. 3. 10. 선고 2005다49713 판결 -" 법학연구소 57 (57): 207-238, 2016

      8 정희철, "상법학(하)" 박영사 1990

      9 정찬형, "상법강의(하)" 박영사 2009

      10 김은경, "보험약관 내용구성의 책임 - 자살면책제한조항과 재해사망의 이해 -" 법학연구소 10 (10): 97-121, 2016

      11 박세민, "보험법" 박영사 2015

      12 김은경, "보험계약법"

      13 Beckmann, "Versicherungsrechtshandbuch" C.H.Beck 2015

      14 Halm, "Versicherungsrecht" Luchterhand Verl 2015

      15 Looschelders, "VVG Carl Heymanns"

      16 Bruck, "VVG" De Gryuter 2015

      17 Dreher, "Kartell- und Wettbewerbsrecht der Versicherungsunternehmen"

      18 Dreher, "Die Versicherung als Rechtsprodukt" Mohr Siebeck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Law Review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2 1.42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05 1.166 0.8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