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라틴아메리카 사회정책과 기본소득의 정치사회적 함의 = Social Policy and Universal Basic Income in Latin Americ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81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an alternative social policy to overcome socioeconomic crisis caused by COVID-19 in Latin America.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universal basic income in Latin America as an alternative social welfare program. “Can a universal basic income be an alternative to Latin American social policy?" To inquire the answer for the question, the paper looks at the meaning and contents of extant literatures on universal basic income, the situation of poverty in Latin America, and reviews the history of social policies in Latin America. In conclusion, the study argues that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universal basic income policy in the context of current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s faced by Latin American countries. Furthermore, the research elucidates that the effectiveness of universal basic income in reducing poverty and closing the gap in wealth distribution among population in Latin America cannot be guaranteed without tax reform. However, universal basic income policy could be a meaningful instrument to strengthen key elements of social rights such as universality and indiscrimination and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urther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system in Latin America.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an alternative social policy to overcome socioeconomic crisis caused by COVID-19 in Latin America.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universal basic income in Latin America as a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an alternative social policy to overcome socioeconomic crisis caused by COVID-19 in Latin America.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universal basic income in Latin America as an alternative social welfare program. “Can a universal basic income be an alternative to Latin American social policy?" To inquire the answer for the question, the paper looks at the meaning and contents of extant literatures on universal basic income, the situation of poverty in Latin America, and reviews the history of social policies in Latin America. In conclusion, the study argues that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universal basic income policy in the context of current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s faced by Latin American countries. Furthermore, the research elucidates that the effectiveness of universal basic income in reducing poverty and closing the gap in wealth distribution among population in Latin America cannot be guaranteed without tax reform. However, universal basic income policy could be a meaningful instrument to strengthen key elements of social rights such as universality and indiscrimination and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urther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system in Latin Americ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라틴아메리카 사회경제적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의 대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세계 각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기본소득제(Universal Basic Income)의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과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라틴아메리카 사회정책의 대안은 무엇이며, 기본소득제는 라틴아메리카 사회정책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본소득의 의미와 내용, 라틴아메리카 빈곤 추이, 그리고 빈곤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정책의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기본소득의 라틴아메리카 적용가능성을 역사적 사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라틴아메리카에서 기본소득제는 현재 라틴아메리카의 정치·경제·사회 상황에서 즉각적인 도입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울 뿐만 아니라 조세제도 등의 개혁 없이는 빈곤 감소와 빈부 격차 해소를 위한 실효성마저도 보장할 수 없는 제도라고 주장한다. 한편 보편성과 무차별성이라는 사회권 확립을 위한 핵심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기본소득제는 향후 라틴아메리카 사회보장제도 논의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라틴아메리카 사회경제적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의 대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세계 각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기본소득제(Universal Basic Income)의 라틴아메...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라틴아메리카 사회경제적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의 대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세계 각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기본소득제(Universal Basic Income)의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과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라틴아메리카 사회정책의 대안은 무엇이며, 기본소득제는 라틴아메리카 사회정책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본소득의 의미와 내용, 라틴아메리카 빈곤 추이, 그리고 빈곤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정책의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기본소득의 라틴아메리카 적용가능성을 역사적 사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라틴아메리카에서 기본소득제는 현재 라틴아메리카의 정치·경제·사회 상황에서 즉각적인 도입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울 뿐만 아니라 조세제도 등의 개혁 없이는 빈곤 감소와 빈부 격차 해소를 위한 실효성마저도 보장할 수 없는 제도라고 주장한다. 한편 보편성과 무차별성이라는 사회권 확립을 위한 핵심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기본소득제는 향후 라틴아메리카 사회보장제도 논의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란, "코로나19가 브라질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과 정부의 대응" 94-106, 2020

      2 이상현, "중남미 사회보장제도 개혁에 관한 연구" 중남미지역원 7 (7): 85-110, 2005

      3 임태균, "신자유주의와 복지 패러다임: 베네수엘라 복지정책의 탈보편주의화"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30 (30): 37-61, 2017

      4 안효상, "서양의 기본소득 논의 궤적과 국내 전망" 역사문제연구소 (120) : 220-249, 2017

      5 김이배, "브라질 볼사 파밀리아(Bolsa Familia) 정책의 한국 사회복지정책에의 함의"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209-245, 2015

      6 곽재성, "볼사 파밀리아(Bolsa Familia)를 중심으로 본 룰라의 사회정책"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8 (8): 5-28, 2011

      7 김태일, "복지국가연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정부학연구소 22 (22): 29-66, 2016

      8 박윤주, "라틴아메리카의 의료개혁을 통해 본 신자유주의적 국가개혁의 패턴- 멕시코, 아르헨티나, 칠레의 사례를 중심으로" 중남미지역원 16 (16): 35-64, 2014

      9 강정원, "라틴아메리카 사회보장제도 개혁과 조건부현금이전(Conditional Cash Transfer): 불확실성의 확산과 분배정치" 중남미연구소 38 (38): 95-132, 2019

      10 황인성, "기본소득지급 사례연구를 통한 ODA 적용 방안 논의" (36) : 2017

      1 김경란, "코로나19가 브라질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과 정부의 대응" 94-106, 2020

      2 이상현, "중남미 사회보장제도 개혁에 관한 연구" 중남미지역원 7 (7): 85-110, 2005

      3 임태균, "신자유주의와 복지 패러다임: 베네수엘라 복지정책의 탈보편주의화"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30 (30): 37-61, 2017

      4 안효상, "서양의 기본소득 논의 궤적과 국내 전망" 역사문제연구소 (120) : 220-249, 2017

      5 김이배, "브라질 볼사 파밀리아(Bolsa Familia) 정책의 한국 사회복지정책에의 함의"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209-245, 2015

      6 곽재성, "볼사 파밀리아(Bolsa Familia)를 중심으로 본 룰라의 사회정책"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8 (8): 5-28, 2011

      7 김태일, "복지국가연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정부학연구소 22 (22): 29-66, 2016

      8 박윤주, "라틴아메리카의 의료개혁을 통해 본 신자유주의적 국가개혁의 패턴- 멕시코, 아르헨티나, 칠레의 사례를 중심으로" 중남미지역원 16 (16): 35-64, 2014

      9 강정원, "라틴아메리카 사회보장제도 개혁과 조건부현금이전(Conditional Cash Transfer): 불확실성의 확산과 분배정치" 중남미연구소 38 (38): 95-132, 2019

      10 황인성, "기본소득지급 사례연구를 통한 ODA 적용 방안 논의" (36) : 2017

      11 신재성, "기본소득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 박종철출판사 218-238, 2014

      12 양재진, "기본소득은 미래 사회보장의 대안인가?"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45-70, 2018

      13 윤홍식, "기본소득, 복지국가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기초연금, 사회수당, 그리고 기본소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54) : 81-119, 2017

      14 김교성, "기본소득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3-57, 2009

      15 백승호, "기본소득 논쟁 제대로 하기"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37-71, 2018

      16 김민수, "국가 간 기본소득 사례 비교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97-112, 2018

      17 Cruz-Martínez, "Welfare and Social Protection in Contemporary Latin America" Routledge 2019

      18 Saucedo Delgado, "Universal basic income in the Mexican labour market: Financial sustainability in a context of flexibility, high informality and low-income tax"

      19 Gutiérrez, Javier, "Universal basic Income: An Alternative path to development"

      20 McDonough, Brian, "Universal Basic Income" Routledge 2020

      21 ECLAC, "The social challenge in times of COVID-19" (3) : 2020

      22 Matt, Sedlar, "The UN’s Anti-Poverty Proposal for Latin America: A “Basic Emergency Income,”" The Americas Blog 2020

      23 Silva, Maria Ozanira da Silvae, "The Palgrave International Handbook of Basic Income" Palgrave Macmillan 2019

      24 Torry, Malcolm, "The Palgrave International Handbook of Basic Income" Palgrave Macmillan 2019

      25 World Bank, "The Cost of Staying Healthy" 2020

      26 Molina, George Gray, "Temporary Basic Income: Protecting Poor and Vulnerable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UNDP 2020

      27 Bartorano, Bruno, "Taxation and Inequ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Lessons from the Recent Experience of Latin America" (30) : 256-273, 2018

      28 Arza, Camila,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Poverty" Routledge 2020

      29 LoVuolo, Rubén, "Prospects and Challenges for the Basic Income Proposal in Latin America" 7 (7): 2012

      30 Borges, Fabián, "Neoliberalism with a Human Face? Ideology and the Diffusion of Latin America’s Conditional Cash Transfers" 50 (50): 2018

      31 Bartorano, Bruno, "International Budget Partnership" 2018

      32 Cecchini, Simone, "Inclusive Social Protection in Latin America: A Comprehensive, Rights-based Approach" ECLAC 2012

      33 Suplicy, Eduardo M, "How and when will the Brazilian Law that institutes a Citizen's Basic Income really be fully implemented?"

      34 Margolis, Mac, "Helicopter money won’t ease Latin America’s pandemic pain"

      35 Eslava, Marcela, "Four Steps to Making Guaranteed Income a Reality in Latin America" 2020-, 2020

      36 Gentilini, Ugo, "Exploring Universal Basic Income: A Guide to Navigating Concepts, Evidence, and Practices" World Bank Groups 2020

      37 Carbonell Peláez, Mercedes, "Es posible un ingreso único vital?" 2020

      38 Widerquist, K, "Basic income’s third wave"

      39 Brancaglio, M. V, "Analytic report on guaranteed basic income in Quatinga Velho"

      40 Bardhan, P, "An Indian social democracy" Academic Foundation 2013

      41 Widerquist, Karl, "A Critical Analysis of Basic Income Experiments for Researchers"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지역학센터 -> 국제지역연구센터 KCI등재
      2009-03-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국제지역학센터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2 0.8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