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극 <아란의 욕조>의 장애재현 연구 육체성과 기호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n the <Aran's Bathtub> : Focusing on Physicality and Semio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21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장애연극에 대한 담론적 접근을 넘어, 연극 <아란의 욕조>*의 장애재현 방식을 에리카 피셔-리히테의 『수행성의 미학』에서 설명하는 육체성과 기호성 관점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시대 이슈를 주제로 한 연극에서의 수행 방식과 창작 관점을 연구한다. 동시대 연극에서 주목할 점은 창작자들이 주제의 운동성을 추동한다는 것이다. 특히 서벌턴인 당사자의 문제를 다루는 예술은 억압과 차별에 대한 대항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동시대 장애연극의 관점과 맞닿아 있다고 사료한다. 비장애인이 발달장애인 인물 ‘아란’을 연기한 <아란의 욕조>의 사례는 창작이라는 여과를 거치기 때문에 온전히 당사자성을 전달할 수 없다는 한계 속에서, 타자화를 경계하는 자기반영적 실천을 통해 장애의 독특하고 고유한 예술성을 드러내려는 실천이라고 보았다. ‘아란’의 수행이 장애의 물질성 묘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이에 육체성을 대입하여 어떠한 특성이 드러나는지에 대해 주목하였다. 본문에서는 창작 과정의 기록을 바탕으로 극 설정, 말하기, 다른 인물과의 소통을 중심으로분석하고, 그로 인해 드러나는 기호적 존재로서의 인물을 고찰하였다. 이 글이 크리핑업의 기준이 아닌, 분명한 한계가 존재하는 현실 속에서 자기반영성의 필요성과, 새로운 방향을 상상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장애연극에 대한 담론적 접근을 넘어, 연극 <아란의 욕조>*의 장애재현 방식을 에리카 피셔-리히테의 『수행성의 미학』에서 설명하는 육체성과 기호성 관점으로 분석하고, ...

      본 논문은 장애연극에 대한 담론적 접근을 넘어, 연극 <아란의 욕조>*의 장애재현 방식을 에리카 피셔-리히테의 『수행성의 미학』에서 설명하는 육체성과 기호성 관점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시대 이슈를 주제로 한 연극에서의 수행 방식과 창작 관점을 연구한다. 동시대 연극에서 주목할 점은 창작자들이 주제의 운동성을 추동한다는 것이다. 특히 서벌턴인 당사자의 문제를 다루는 예술은 억압과 차별에 대한 대항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동시대 장애연극의 관점과 맞닿아 있다고 사료한다. 비장애인이 발달장애인 인물 ‘아란’을 연기한 <아란의 욕조>의 사례는 창작이라는 여과를 거치기 때문에 온전히 당사자성을 전달할 수 없다는 한계 속에서, 타자화를 경계하는 자기반영적 실천을 통해 장애의 독특하고 고유한 예술성을 드러내려는 실천이라고 보았다. ‘아란’의 수행이 장애의 물질성 묘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이에 육체성을 대입하여 어떠한 특성이 드러나는지에 대해 주목하였다. 본문에서는 창작 과정의 기록을 바탕으로 극 설정, 말하기, 다른 인물과의 소통을 중심으로분석하고, 그로 인해 드러나는 기호적 존재로서의 인물을 고찰하였다. 이 글이 크리핑업의 기준이 아닌, 분명한 한계가 존재하는 현실 속에서 자기반영성의 필요성과, 새로운 방향을 상상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goes beyond a discursive approach to disability theater and analyzes the methods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n the <Aran's Bathtub>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eality and semiotics, as explained in Erika Fischer-Lichte's The Aesthetics of Performativity. Based on this analysis, it explores the performance methods and creative perspectives in contemporary plays that deal with current issues. One noteworthy aspect of contemporary theater is that creators drive the dynamism of the themes. In particular, art that addresses the issues of subaltern subjects intersects with contemporary disability theater in that it contains resistance to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The case of <Aran's Bathtub>, where a non- disabled actor plays the role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character, Aran, shows the limitations of not being able to fully convey the subjectivity of the disabled person due to the mediation of creation. However, through self-reflective practices that resist objectification, the play attempts to reveal the unique and inherent artistic nature of disability. Aran's performance is distinct in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depiction of the materiality of disability. This study focuses on what characteristics emerge when corporeality is introduced. The main text analyzes the character by examining the setting of the play, dialogue,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characters, based on the documentation of the creative process, and considers the character as a symbolic being. I hope this paper leads to a new perspective, not one based on the standards of "cripping up," but one that acknowledges the clear limitations of reality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self-reflexivity while imagining new directions.
      번역하기

      This paper goes beyond a discursive approach to disability theater and analyzes the methods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n the <Aran's Bathtub>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eality and semiotics, as explained in Erika Fischer-Lichte's The Aesth...

      This paper goes beyond a discursive approach to disability theater and analyzes the methods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n the <Aran's Bathtub>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eality and semiotics, as explained in Erika Fischer-Lichte's The Aesthetics of Performativity. Based on this analysis, it explores the performance methods and creative perspectives in contemporary plays that deal with current issues. One noteworthy aspect of contemporary theater is that creators drive the dynamism of the themes. In particular, art that addresses the issues of subaltern subjects intersects with contemporary disability theater in that it contains resistance to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The case of <Aran's Bathtub>, where a non- disabled actor plays the role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character, Aran, shows the limitations of not being able to fully convey the subjectivity of the disabled person due to the mediation of creation. However, through self-reflective practices that resist objectification, the play attempts to reveal the unique and inherent artistic nature of disability. Aran's performance is distinct in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depiction of the materiality of disability. This study focuses on what characteristics emerge when corporeality is introduced. The main text analyzes the character by examining the setting of the play, dialogue,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characters, based on the documentation of the creative process, and considers the character as a symbolic being. I hope this paper leads to a new perspective, not one based on the standards of "cripping up," but one that acknowledges the clear limitations of reality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self-reflexivity while imagining new direc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