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달의 운동’ 단원을 위한 디지털교재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Digital Teaching Material for ‘Motions of the Moon’ Un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49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이해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달의 운동’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개념의 이해를 돕는 디지털 교재를 개발하였다. 학생들로 하여금 달을 직접 관찰하는 활동을 유도하고 태양, 지구와 달의 시스템적 공간적 배치변화에 따른 현상을 기반으로 디지털 교재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개발 초기 단계에서 관련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제언을 토대로 오개념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콘텐츠를 찾아 선별하고, 과학적 사고과정의 배열을 정했다. 저작도구는 SDF Studio 2를 사용하였으며, 스마트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교재를 제작했다. 개발 진행 각 단계에서 과학 교육 전문가 3인에게 타당성 검토를 받아 수정하였고, 학생 및 교사 평가, 동료 교사 피드백 자료를 토대로 교재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최종 보완하였다. 개발된 교재를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44명 학생을 대상으로 총 4차시에 걸쳐 적용한 결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고, 학생과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만족도 조사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이해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달의 운동’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개념의 이해를 돕는 디지털 교재를 개발하였다. 학생들로 하여금 달을 직접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이해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달의 운동’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개념의 이해를 돕는 디지털 교재를 개발하였다. 학생들로 하여금 달을 직접 관찰하는 활동을 유도하고 태양, 지구와 달의 시스템적 공간적 배치변화에 따른 현상을 기반으로 디지털 교재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개발 초기 단계에서 관련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제언을 토대로 오개념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콘텐츠를 찾아 선별하고, 과학적 사고과정의 배열을 정했다. 저작도구는 SDF Studio 2를 사용하였으며, 스마트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교재를 제작했다. 개발 진행 각 단계에서 과학 교육 전문가 3인에게 타당성 검토를 받아 수정하였고, 학생 및 교사 평가, 동료 교사 피드백 자료를 토대로 교재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최종 보완하였다. 개발된 교재를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44명 학생을 대상으로 총 4차시에 걸쳐 적용한 결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고, 학생과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만족도 조사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igital teaching material that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s related to ‘Motion of the Moon’ unit, which is reported to be difficult for elementary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digital textbook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phenomenon according to the systematic spatial arrangement of the Sun, the Earth and the Moon.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relevant previous studies, we analyzed the misconceptions, sorted out effective contents, and arranged the scientific thinking process. SDF Studio 2 was used as the authoring tool and textbooks were created by applying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smart education. At each stage of the development process, three science education experts were revised with feasibility study, and the problems of the textbooks were diagnosed and finally supplemented based on student and teacher evaluation and peer teacher feedback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tudents ‘and teachers’ satisfaction scores were evaluated positively by the students ‘and teachers’ satisfaction survey.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igital teaching material that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s related to ‘Motion of the Moon’ unit, which is reported to be difficult for elementary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digital textbook...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igital teaching material that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s related to ‘Motion of the Moon’ unit, which is reported to be difficult for elementary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digital textbook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phenomenon according to the systematic spatial arrangement of the Sun, the Earth and the Moon.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relevant previous studies, we analyzed the misconceptions, sorted out effective contents, and arranged the scientific thinking process. SDF Studio 2 was used as the authoring tool and textbooks were created by applying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smart education. At each stage of the development process, three science education experts were revised with feasibility study, and the problems of the textbooks were diagnosed and finally supplemented based on student and teacher evaluation and peer teacher feedback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tudents ‘and teachers’ satisfaction scores were evaluated positively by the students ‘and teachers’ satisfaction surve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여미, "초등학생들의 자연 현상 관찰 경험이 지구와 달의 운동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음"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1998

      2 이용복, "초등학교 아동의 천문분야 관심도" 11 (11): 159-172, 1992

      3 류지헌, "초등학교 디지털교과서의 과목별 적용효과와 성별에 따른 차이효과에 대한 잠재평균비교"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617-636, 2012

      4 손정주,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스마트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지구와 달의 운동’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9 (9): 1-10, 2015

      5 최선영, "초등과학 디지털 교과서 활용이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8 (28): 132-141, 2009

      6 천세영, "스마트교육기반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137-161, 2014

      7 김미용,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3 (13): 77-92, 2012

      8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9 임정훈, "모바일 학습(Mobile Learning)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 탐색"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101-124, 2009

      10 최미애, "디지털교과서 지속 활용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 연구학교 교사와 학생 인식 조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1 최여미, "초등학생들의 자연 현상 관찰 경험이 지구와 달의 운동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음"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1998

      2 이용복, "초등학교 아동의 천문분야 관심도" 11 (11): 159-172, 1992

      3 류지헌, "초등학교 디지털교과서의 과목별 적용효과와 성별에 따른 차이효과에 대한 잠재평균비교"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617-636, 2012

      4 손정주,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스마트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지구와 달의 운동’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9 (9): 1-10, 2015

      5 최선영, "초등과학 디지털 교과서 활용이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8 (28): 132-141, 2009

      6 천세영, "스마트교육기반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137-161, 2014

      7 김미용,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3 (13): 77-92, 2012

      8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9 임정훈, "모바일 학습(Mobile Learning)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 탐색"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101-124, 2009

      10 최미애, "디지털교과서 지속 활용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 연구학교 교사와 학생 인식 조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11 김성숙, "디지털교과서 적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21 (21): 1-10, 2015

      12 정영식, "디지털 교과서의 평가 준거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1 (11): 13-20, 2008

      13 박상우, "과학과 디지털교과서 적용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4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과 교육과정"

      15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ic Press 262-, 1996

      16 Schoon KJ, "Misconceptions in the earth science" Loyola University of Chicago 1989

      17 Driver R,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23 (23): 5-12, 1994

      18 교육과학기술부, "5~6학년군 ③ 과학 6-1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5

      19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디지털교과서국·검정 구분 고시"

      20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2

      21 노경희,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22 남정철, "'달의 운동'에 대한 관찰 및 해석의 문제점과 선지식 :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신규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28 0.64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