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하근찬의 작품 두 편을 대상으로 중학교 소설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학습목표, 전시학습, 학습활동의 측면에서 그 대안을 탐색해 보았다. 하근찬의 「수난이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33165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15. 8
2015
한국어
서울
ii, 47장 ; 26 cm
지도교수: 이남호
참고문헌: 장 46-4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하근찬의 작품 두 편을 대상으로 중학교 소설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학습목표, 전시학습, 학습활동의 측면에서 그 대안을 탐색해 보았다. 하근찬의 「수난이대...
본고에서는 하근찬의 작품 두 편을 대상으로 중학교 소설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학습목표, 전시학습, 학습활동의 측면에서 그 대안을 탐색해 보았다.
하근찬의 「수난이대」는 전쟁의 상처와 흔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을 이뤄 5, 60년대 한국 문단에 의미 있는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교수 학습 제재로써 학생들에게 전쟁의 의미를 생각해보게 하는 계기를 제공하면서도 그 폭력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있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적절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2절에서는 하근찬 소설의 교육적 의의를 알아보고 중학교 교과서 수록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수난이대」는 7종의 교과서에, 「흰 종이수염」은 1종의 교과서에 본문 제재로 실려 있다. 「수난이대」가 주로 8학년과 9학년 교과서에 선정되었음에 반해 「흰 종이수염」은 7학년에 실려 있는데 이는 학습자들의 수준을 고려한 것이다.
3절에서는 각 교과서의 학습 목표, 전시 학습, 학습 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해당 작품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교과서의 교수 학습 방안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대안을 제시해보았다.
하근찬 소설을 대상으로 한 중학교 소설의 교수 학습에 관한 본 연구가 소설 교육 방법을 위한 하나의 지침으로써 활용되기를 바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