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아지각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내 어린이집 4곳과 유치원 1곳의 만 4세 유아 101명(남아 5...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30650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15. 2
2015
한국어
서울
The relationship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children's self-perception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v, 77장 ; 26 cm
지도교수: 유영미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아지각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내 어린이집 4곳과 유치원 1곳의 만 4세 유아 101명(남아 5...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아지각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내 어린이집 4곳과 유치원 1곳의 만 4세 유아 101명(남아 52명, 여아 49명)이었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aFreniere와 Dumas(1996)의 사회적 유능성과 행동 평정(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 SCBE) 간편형을 번역한 권연희(2002)와 김선영(2008)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Rohner(1991)의 부모 수용-거부 질문지(Parental Acceptance Rejection Questionnaire: PARQ)를 번안한 황혜정(1998)과 김정혜(2001)의 도구를, 유아의 자아지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Cassidy(1986)의 인형놀이 면접법(Puppet Interview)을 번안한 윤진영(2000)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각 측정 변인들의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성에 따른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본 연구대상 유아는 남아와 여아 모두 사회적 유능성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남아보다 여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온정-애정적 양육태도는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보통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유아의 자아지각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남아보다 여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둘째, 남아의 경우 어머니가 공격성/적대적의 양육태도를 많이 보일수록 교사로부터 분노-공격적 행동을 많이 한다고 평가받았으며, 어머니가 무시/무관심, 모호한 거부의 양육태도를 많이 보일수록 교사로부터 불안-위축 행동을 많이 한다고 평가받았다. 또한 유아의 자아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로부터 불안-위축 행동을 적게 보인다고 평가받았다.여아의 경우는 어머니가 공격성/적대감, 모호한 거부의 양육태도를 많이 보일수록 교사로부터 분노-공격적 행동을 많이 한다고 평가받았다.결론적으로 만 4세 남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아지각과 관련이 있으며, 만 4세 여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