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에 고도의 경제성장과 국민의식 수준의 변화와 고도산업화 과정에서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서울시의 높은 주택가격과 수도권지역의 집중적인 인구유입에 따른 주택가격의 상승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779831
성남 : 가천대학교, 2021
학위논문(석사) -- 가천대학교 , 행정학과 부동산정책 , 2021. 2
2021
한국어
경기도
1-75 ; 26 cm
지도교수: 김성용
I804:41005-2000003741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80년대에 고도의 경제성장과 국민의식 수준의 변화와 고도산업화 과정에서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서울시의 높은 주택가격과 수도권지역의 집중적인 인구유입에 따른 주택가격의 상승을...
1980년대에 고도의 경제성장과 국민의식 수준의 변화와 고도산업화 과정에서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서울시의 높은 주택가격과 수도권지역의 집중적인 인구유입에 따른 주택가격의 상승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탄천이 흐르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일대 556만평을 주택건설부지에 포함되었다.
탄천은 개발의 편리성과 경제논리로 토지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구거와 소하천은 매립으로 폐지되고, 도로와 녹지 공간 등으로 활용하였고, 탄천도 치수와 이수측면만 고려되어 직강화하천으로 변하였으며, 시민들의 이용에 편리한 체육시설을 설치하는 등 환경과 생태측면은 고려되지 않은 하천정비를 실시하여 탄천 주변의 쾌적성과 주변 환경에 대한 경관 개선을 위한 사업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탄천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수도권의 도심하천의 분석을 통하여, 정비의 문제점과 친수하천으로의 변화와 도시주거생활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친환경적 개선방향과 함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도시민의 여가와 휴식공간을 위하여 여울로 정비하고 수질을 개선하여 도시민들에게 아름다운 자연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시공원으로 지정을 추진해야 한다. 또한 양질의 피톤치드가 발생되는 수종의 나무를 식재하여 바람길을 조성하고, 생태습지를 조성하여 생태가 살아있는 자연형태의 정비와 함께 주변 지역명소와 연계한 개발로 지역균형발전을 유도해야 한다.
도심하천이 자연으로 돌아오는 것은 시민의 발걸음이 감소하고 자연으로의 상태가 지속될 때 가능하다. 탄천을 자연생태지역으로 지정하고 자연성을 증대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하면 푸르고 아름다운 명소로 지역사회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