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연형하천복원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성남시 탄천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natural river : restoration in SeongNam Tancheon cree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79831

      • 저자
      • 발행사항

        성남 : 가천대학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가천대학교 , 행정학과 부동산정책 , 2021. 2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1-75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성용

      • UCI식별코드

        I804:41005-200000374110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0년대에 고도의 경제성장과 국민의식 수준의 변화와 고도산업화 과정에서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서울시의 높은 주택가격과 수도권지역의 집중적인 인구유입에 따른 주택가격의 상승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탄천이 흐르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일대 556만평을 주택건설부지에 포함되었다.
      탄천은 개발의 편리성과 경제논리로 토지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구거와 소하천은 매립으로 폐지되고, 도로와 녹지 공간 등으로 활용하였고, 탄천도 치수와 이수측면만 고려되어 직강화하천으로 변하였으며, 시민들의 이용에 편리한 체육시설을 설치하는 등 환경과 생태측면은 고려되지 않은 하천정비를 실시하여 탄천 주변의 쾌적성과 주변 환경에 대한 경관 개선을 위한 사업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탄천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수도권의 도심하천의 분석을 통하여, 정비의 문제점과 친수하천으로의 변화와 도시주거생활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친환경적 개선방향과 함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도시민의 여가와 휴식공간을 위하여 여울로 정비하고 수질을 개선하여 도시민들에게 아름다운 자연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시공원으로 지정을 추진해야 한다. 또한 양질의 피톤치드가 발생되는 수종의 나무를 식재하여 바람길을 조성하고, 생태습지를 조성하여 생태가 살아있는 자연형태의 정비와 함께 주변 지역명소와 연계한 개발로 지역균형발전을 유도해야 한다.
      도심하천이 자연으로 돌아오는 것은 시민의 발걸음이 감소하고 자연으로의 상태가 지속될 때 가능하다. 탄천을 자연생태지역으로 지정하고 자연성을 증대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하면 푸르고 아름다운 명소로 지역사회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번역하기

      1980년대에 고도의 경제성장과 국민의식 수준의 변화와 고도산업화 과정에서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서울시의 높은 주택가격과 수도권지역의 집중적인 인구유입에 따른 주택가격의 상승을...


      1980년대에 고도의 경제성장과 국민의식 수준의 변화와 고도산업화 과정에서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서울시의 높은 주택가격과 수도권지역의 집중적인 인구유입에 따른 주택가격의 상승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탄천이 흐르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일대 556만평을 주택건설부지에 포함되었다.
      탄천은 개발의 편리성과 경제논리로 토지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구거와 소하천은 매립으로 폐지되고, 도로와 녹지 공간 등으로 활용하였고, 탄천도 치수와 이수측면만 고려되어 직강화하천으로 변하였으며, 시민들의 이용에 편리한 체육시설을 설치하는 등 환경과 생태측면은 고려되지 않은 하천정비를 실시하여 탄천 주변의 쾌적성과 주변 환경에 대한 경관 개선을 위한 사업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탄천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수도권의 도심하천의 분석을 통하여, 정비의 문제점과 친수하천으로의 변화와 도시주거생활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친환경적 개선방향과 함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도시민의 여가와 휴식공간을 위하여 여울로 정비하고 수질을 개선하여 도시민들에게 아름다운 자연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시공원으로 지정을 추진해야 한다. 또한 양질의 피톤치드가 발생되는 수종의 나무를 식재하여 바람길을 조성하고, 생태습지를 조성하여 생태가 살아있는 자연형태의 정비와 함께 주변 지역명소와 연계한 개발로 지역균형발전을 유도해야 한다.
      도심하천이 자연으로 돌아오는 것은 시민의 발걸음이 감소하고 자연으로의 상태가 지속될 때 가능하다. 탄천을 자연생태지역으로 지정하고 자연성을 증대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하면 푸르고 아름다운 명소로 지역사회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3
      • 2.1. 연구범위………………………………………………………………… 3
      • 2.2. 연구방법………………………………………………………………… 3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3
      • 2.1. 연구범위………………………………………………………………… 3
      • 2.2. 연구방법………………………………………………………………… 3
      • 제2장 이론적 고찰…………………………………………………‥…… 5
      • 제1절 성남시 현황……………………………………………………………… 5
      • 1.1. 성남시 연혁……………………………………………………………… 5
      • 1.2. 분당신도시 ……………………………………………………………… 6
      • 1.3. 판교신도시 ……………………………………………………………… 7
      • 제2절 탄천의 유래와 시대적 현황…………………………………………… 9
      • 2.1. 탄천의 유래……………………………………………………………… 9
      • 2.2. 하천의 정의……………………………………………………………… 10
      • 2.3. 하천의 세부기준………………………………………………………… 10
      • 2.4. 탄천관련 법령상 하천별 분류………………………………………… 12
      • 2.5. 탄천 현황………………………………………………………………… 13
      • 2.6. 탄천의 지정……………………………………………………………… 16
      • 2.7. 지방하천 현황…………………………………………………………… 17
      • 2.8. 소하천 현황……………………………………………………………… 18
      • 2.9. 탄천의 하도선형 분석 ………………………………………………… 19
      • 제3절 탄천 생태하천복원사업………………………………………………… 21
      • 3.1. 탄천 생태하천 복원 …………………………………………………… 21
      • 3.2. 탄천 생태하천 변화전경 ……………………………………………… 26
      • 3.3. 탄천 교각환경 개선사업 시민참여 사례 …………………………… 29
      • 3.4. 탄천 수질관리…………………………………………………………… 30
      • 3.5. 모니터링 조사…………………………………………………………… 30
      • 3.6. 자연형하천 관리………………………………………………………… 31
      • 제4절 관련법 검토……………………………………………………………… 35
      • 4.1. 도시공원 및 녹지등에 관한 법률 …………………………………… 35
      • 4.2. 하천법 …………………………………………………………………… 38
      • 4.3. 부동산 가격 공시에 관한 법률 ……………………………………… 39
      • 4.4. 소 결……………………………………………………………………… 39
      • 제5절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의 차별성 …………………………………… 40
      • 5.1. 선행연구 고찰…………………………………………………………… 40
      • 5.2. 연구의 차별성…………………………………………………………… 48
      • 제3장 사례분석……………………………………………………………… 49
      • 제1절 수도권역 하천복원 사례 ……………………………………………… 49
      • 1. 서울시특별시 ……………………………………………………………… 49
      • 1.1. 청계천의 복원…………………………………………………………… 49
      • 1.1.1. 현황 및 하천복원추진……………………………………………… 49
      • 1.1.2. 복원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 ……………………………………… 52
      • 1.1.3. 복원사업의 개선점 ………………………………………………… 53
      • 1.2. 성내천 …………………………………………………………………… 55
      • 1.2.1. 현황 및 생태계 복원 ……………………………………………… 55
      • 1.2.2. 하천복원의 효과 …………………………………………………… 56
      • 1.2.3. 복원의 한계와 개선점……………………………………………… 57
      • 1.3. 서울시의 바람길………………………………………………………… 59
      • 1.3.1. 현황 및 바람길 필요성 …………………………………………… 59
      • 1.3.2. 바람길 조성 추진…………………………………………………… 59
      • 2. 수도권(경기도)……………………………………………………………… 61
      • 2.1. 수원시 서호천…………………………………………………………… 61
      • 2.1.1. 현황 및 하천복원추진……………………………………………… 61
      • 2.1.2. 수질의 개선 ………………………………………………………… 63
      • 2.1.3. 복원사업 결과와 개선점…………………………………………… 64
      • 2.2. 안양시 안양천…………………………………………………………… 67
      • 2.2.1. 현황 및 생태계 복원 ……………………………………………… 67
      • 2.2.2. 유수의 이용과 정비………………………………………………… 68
      • 2.2.3. 복원의 개선점 ……………………………………………………… 68
      • 제4장 결론 …………………………………………………………………… 70
      • 제1절 연구결과 ………………………………………………………………… 70
      • 제2절 연구의 한계점……………………………………………………………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