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the child's temperament,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and behavior probl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40606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기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200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5.1 판사항(4)

      • DDC

        372.2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xi, 166 p.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12-135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emperament of young children and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s variables (mother's characteristics, marriage conflicts, anti-social activities of fathers and nurturing behaviors of mothers) effect each type of behavioral problem.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found from 1,460 children between the range of 3 to 5 years old attending preschools or nursery centers in the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regions. After the 1st behavioral problem screening, a second behavioral problem diagnostic test was performed to select 136 young children, 136 of their mothers and 49 teachers.
      For the 1st inspection for identifying behavioral problem, an adapted version of McGuire and Richman's (1988) PBCL (Pre-school Behavior Checklist) by Hwang Hye-jeong (1988) was used. The second inspection was conducted using Achenbach and Edelbrock's (1983) CBCL (Child Behavior Checklist) standardized into the Korean version of the K-CBCL by Oh Gyeong-ja, Lee Hye-ryeon, Hong Gang-ui and Ha Eun-hye (1997). The temperament of young children were measured using Cheon Hee-young's (1992) 'Temperament Behavioral Checklist', while the Self-Esteem Scale adapted by Jeon Byeong-jae (1974) was used to measure the self-respect of mothers. The tendency for depression in mothers was measured using the depression scale of a revised version of Derogatis, Rickles and Rock's (1976)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The Str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for measuring the mother's anxiety level made by Spielberger (1966) and adapted by Kim Jung-taek (1978) was used for examinations. Measurements for nervousness and extroversion used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QP) standardized by Lee Hyun-soo (1985). ASBCL (Antisocial Behavior Checklist) was used to measure the father's anti-social behavior, while measurements of marriage conflict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using Kang Deok-hee's (2002) Partner Abuse Scale. The nurturing behaviors of mothers were set using denial, control and negligence as sub-factors. Measurement of denial and control was performed using clause 11 of Park Young-ae's (1995) nurturing behavior scale and negligence was measured using clause 5 of PSD (Parenting Style Dimension) used by Calzada and Eyberg (2002).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s seen below using the SPSS 14.0 program and AMOS 5.0 program. First, in order to measur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measuring tool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was calculated. Secondly, in order to examine the demographical background of the targets of the stud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 children being studied, the average and deviation for factors from others were calculated. Thirdly, by calculating the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the correlation of the factors from others was examined and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each factor from others on behavioral problem,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urthly, the relationships of the young child's temperament and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factors were verified using a structural model.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tudies are as seen below.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ment and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of young children with that of behavioral problems, children with low adaptability and activity showed greater amounts of cowering issues, while children inclined towards more activity showed delinquency and aggressiveness issues. For mothers, when the depression/anxiety levels of mothers increased, children showed more signs of cowering issues and depression/anxiety issues, while children showed more signs of delinquency and aggressiveness issues when fathers had a higher inclination to anti-social behavior. Furthermore, when there were higher levels of marriage conflicts, children showed higher signs of attention and concentration issues as well as delinquency and aggressiveness issues. Also, when the mother's controlling nurturing behavior was low, the child's cowering issue increased and when the mother's controlling nurturing behavior was higher, they showed increasing signs of aggressiveness issues. In addition, the higher the mother had negative sentiments and the more anti-social behavior the father showed, there were higher levels of marriage conflicts, while the negative aspects of the mother's nurturing behavior increased as well.
      Secondly,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temperament and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of young children with their problematic behavior, the child's temperament and mother's characteristic had a direct influence on cowering issues, while the mother's characteristics had direct effects on their depression/anxiety issues. The mother's nurturing behavior had direct effects on the attention/concentration issues, while the mother's characteristics, father's anti-social activities and marriage conflicts had indirect effects via nurturing behaviors. Furthermore, the child's temperament and the father's anti-social behavior directly affected delinquency issues, while aggressiveness issues were directly affected by the child's disposition and marriage conflicts, and were indirectly affected by the mother's characteristics and father's anti-social behavior via marriage conflicts.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can be caused by not only the child's individual temperament, but also by the parents' negative sentiment and behavior, as well as negative marriage relationships and nurturing behaviors. Thus, in order to prevent and treat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child's temperament and the psychological features of the family environment. Furthermore, multi-faceted efforts to change the parents' negative sentiment or behavioral features, as well as the quality of marriage relationships and nurturing behavior that may cause behavioral problems should be made to turn into positive one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environmental range of the child in order to approach the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from a social-cultural aspect. Secondly, at this point of time where fathers have an increasing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study this by itemizing the role of the father further. Thirdly, the quality of marriage relationships should be examined not only through marriage conflicts, but also through communication levels between couples to examine how the quality of marriage relationships that may not appear superficially affects the child's problematic behavior in a more in-depth manner. Fourthly, it is believed that the mother's nurturing behavior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child's problematic behavior. Thus, there are needs for studie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nurturing behavior in relation to parent education. Finally, there is a need to perform vertical research on behavioral problems.
      This study is meaningful due to the following.
      First, behavioral problems were grouped by type according to their symptoms and by examining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f people with different characters, the different causes and routes according to each type was confirmed. And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grated model approach was more useful for approaching problematic behavior.
      Secondly, a more practical approach was attempted for identifying the causes and routes of behavioral problems by restricting the research targets to only behavioral problem groups. When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the continuity of behavioral problems, this kind of research method can make the convalescence of behavioral problems more accurate.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consulting and developing programs to prevent and treat behavioral proble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emperament of young children and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s variables (mother's characteristics, marriage conflicts, anti-social activities of fathers and nurturing behaviors of mothers) effect 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emperament of young children and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s variables (mother's characteristics, marriage conflicts, anti-social activities of fathers and nurturing behaviors of mothers) effect each type of behavioral problem.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found from 1,460 children between the range of 3 to 5 years old attending preschools or nursery centers in the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regions. After the 1st behavioral problem screening, a second behavioral problem diagnostic test was performed to select 136 young children, 136 of their mothers and 49 teachers.
      For the 1st inspection for identifying behavioral problem, an adapted version of McGuire and Richman's (1988) PBCL (Pre-school Behavior Checklist) by Hwang Hye-jeong (1988) was used. The second inspection was conducted using Achenbach and Edelbrock's (1983) CBCL (Child Behavior Checklist) standardized into the Korean version of the K-CBCL by Oh Gyeong-ja, Lee Hye-ryeon, Hong Gang-ui and Ha Eun-hye (1997). The temperament of young children were measured using Cheon Hee-young's (1992) 'Temperament Behavioral Checklist', while the Self-Esteem Scale adapted by Jeon Byeong-jae (1974) was used to measure the self-respect of mothers. The tendency for depression in mothers was measured using the depression scale of a revised version of Derogatis, Rickles and Rock's (1976)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The Str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for measuring the mother's anxiety level made by Spielberger (1966) and adapted by Kim Jung-taek (1978) was used for examinations. Measurements for nervousness and extroversion used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QP) standardized by Lee Hyun-soo (1985). ASBCL (Antisocial Behavior Checklist) was used to measure the father's anti-social behavior, while measurements of marriage conflict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using Kang Deok-hee's (2002) Partner Abuse Scale. The nurturing behaviors of mothers were set using denial, control and negligence as sub-factors. Measurement of denial and control was performed using clause 11 of Park Young-ae's (1995) nurturing behavior scale and negligence was measured using clause 5 of PSD (Parenting Style Dimension) used by Calzada and Eyberg (2002).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s seen below using the SPSS 14.0 program and AMOS 5.0 program. First, in order to measur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measuring tool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was calculated. Secondly, in order to examine the demographical background of the targets of the stud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 children being studied, the average and deviation for factors from others were calculated. Thirdly, by calculating the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the correlation of the factors from others was examined and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each factor from others on behavioral problem,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urthly, the relationships of the young child's temperament and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factors were verified using a structural model.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tudies are as seen below.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ment and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of young children with that of behavioral problems, children with low adaptability and activity showed greater amounts of cowering issues, while children inclined towards more activity showed delinquency and aggressiveness issues. For mothers, when the depression/anxiety levels of mothers increased, children showed more signs of cowering issues and depression/anxiety issues, while children showed more signs of delinquency and aggressiveness issues when fathers had a higher inclination to anti-social behavior. Furthermore, when there were higher levels of marriage conflicts, children showed higher signs of attention and concentration issues as well as delinquency and aggressiveness issues. Also, when the mother's controlling nurturing behavior was low, the child's cowering issue increased and when the mother's controlling nurturing behavior was higher, they showed increasing signs of aggressiveness issues. In addition, the higher the mother had negative sentiments and the more anti-social behavior the father showed, there were higher levels of marriage conflicts, while the negative aspects of the mother's nurturing behavior increased as well.
      Secondly,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temperament and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of young children with their problematic behavior, the child's temperament and mother's characteristic had a direct influence on cowering issues, while the mother's characteristics had direct effects on their depression/anxiety issues. The mother's nurturing behavior had direct effects on the attention/concentration issues, while the mother's characteristics, father's anti-social activities and marriage conflicts had indirect effects via nurturing behaviors. Furthermore, the child's temperament and the father's anti-social behavior directly affected delinquency issues, while aggressiveness issues were directly affected by the child's disposition and marriage conflicts, and were indirectly affected by the mother's characteristics and father's anti-social behavior via marriage conflicts.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can be caused by not only the child's individual temperament, but also by the parents' negative sentiment and behavior, as well as negative marriage relationships and nurturing behaviors. Thus, in order to prevent and treat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child's temperament and the psychological features of the family environment. Furthermore, multi-faceted efforts to change the parents' negative sentiment or behavioral features, as well as the quality of marriage relationships and nurturing behavior that may cause behavioral problems should be made to turn into positive one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environmental range of the child in order to approach the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from a social-cultural aspect. Secondly, at this point of time where fathers have an increasing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study this by itemizing the role of the father further. Thirdly, the quality of marriage relationships should be examined not only through marriage conflicts, but also through communication levels between couples to examine how the quality of marriage relationships that may not appear superficially affects the child's problematic behavior in a more in-depth manner. Fourthly, it is believed that the mother's nurturing behavior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child's problematic behavior. Thus, there are needs for studie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nurturing behavior in relation to parent education. Finally, there is a need to perform vertical research on behavioral problems.
      This study is meaningful due to the following.
      First, behavioral problems were grouped by type according to their symptoms and by examining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f people with different characters, the different causes and routes according to each type was confirmed. And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grated model approach was more useful for approaching problematic behavior.
      Secondly, a more practical approach was attempted for identifying the causes and routes of behavioral problems by restricting the research targets to only behavioral problem groups. When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the continuity of behavioral problems, this kind of research method can make the convalescence of behavioral problems more accurate.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consulting and developing programs to prevent and treat behavioral probl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어머니의 특성, 부부갈등,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문제행동의 각 유형에 따라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3~5세 유아 1460명 중 1차 문제행동 판별검사와 2차 문제행동 진단검사를 통하여 문제행동 유아로 선정된 136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136명 그리고 교사 49명이다.
      유아의 문제행동을 판별하기 위한 1차 검사는 McGuire와 Richman(1988)의 유아행동목록척도(Pre-school Behavior Checklist: PBCL)로 황혜정(199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2차 검사는 Achenbach와 Edelbrock(1983)이 개발한 아동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CBCL)를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와 하은혜(1997)가 국내에서 표준화한 한국판 아동행동평가척도(K-CBCL)를 사용하였다. 유아 기질의 측정은 천희영(1992)의 연구용 기질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 특성 중 자아존중감 측정은 전병제(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척도(Self-Esteem Scale)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우울성향은 Derogatis, Rickels와 Rock(1976)의 개정된 증후군진단체크리스트(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문항 중 우울척도로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불안 정도는 Spielberger(1966)가 제작한 상태-특성 불안검사(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로 김정택(1978)이 번안한 검사를 사용하였다. 신경증과 외향성 측정은 이현수(1985)가 표준화한 아이젱크 성격 질문지(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PQ)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 측정은 반사회적 행동척도(Antisocial Behavior Checklist: ASBCL)를 사용하였으며, 부부갈등 측정은 강덕귀(2002)가 사용한 배우자학대척도(Partner Abuse Scale)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 양육행동은 거부, 통제, 방임을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거부와 통제 요인은 박영애(1995)의 양육행동 척도 중 11문항을 사용하였으며, 방임 요인은 Calzada와 Eyberg(2002)가 사용한 양육차원 검사(Parenting Style Dimension: PSD) 중 방임 요인 5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과 AMOS 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 유아의 일반적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셋째,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각 변인들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구조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낮은 적응성과 활동성 기질의 유아는 위축문제를 더 많이 나타냈으며, 높은 활동성 기질의 유아는 비행문제와 공격성문제를 더 많이 나타냈다. 어머니 특성은 어머니의 우울/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는 위축문제와 우울/불안문제를 더 많이 보였으며,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이 높을수록 유아는 비행문제와 공격성문제를 더 많이 나타냈다. 또한 부부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는 주의집중문제와 비행문제, 공격성문제를 더 많이 나타냈으며,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낮을수록 유아의 위축문제는 증가하고 통제적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공격성문제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와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이 높을수록 부부갈등 수준은 높았으며, 어머니 양육행동의 부정적 측면도 높았다.
      둘째, 유아 기질 및 가정환경변인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구조모형을 통해 알아본 결과, 위축문제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특성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우울/불안문제는 어머니 특성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집중문제는 유아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 특성과 아버지의 반사회적인 행동, 부부갈등이 양육행동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행문제는 유아 기질과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격성문제는 유아의 기질과 부부갈등이 직접적인 영향을, 어머니 특성과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이 부부갈등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은 유아의 개인적 특성인 기질뿐만 아니라 부모의 부정적인 정서와 행동특성, 그리고 부정적인 부부관계와 양육행동에 의해 유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 치료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기질적 특성과 가정환경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부모의 부정적 정서나 행동특성 및 부부관계와 양육행동의 질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이에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환경적 범위를 확장하여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접근할 필요가 있다. 둘째, 최근 아버지들이 자녀양육에 참여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아버지 변인을 좀 더 세분화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부부관계의 질을 부부갈등뿐만 아니라 부부간의 의사소통수준에서도 살펴봄으로써 표면적으로 나타나지 않은 부부관계의 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넷째,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을 중재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양육행동의 중재효과를 부모교육과 관련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종단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문제행동을 증상에 따라 유형별로 나누고 이에 대한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각 유형마다 다른 원인과 경로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문제행동에 대한 접근은 통합모델의 접근이 더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을 문제행동집단만으로 한정함으로써 문제행동의 원인과 경로를 파악하는데 보다 실제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유아의 발달과 문제행동의 연속성을 고려했을 때 문제행동에 대한 예후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문제행동을 예방, 치료하기 위한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어머니의 특성, 부부갈등,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문제행동의 각 유형에 따라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

      본 연구는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어머니의 특성, 부부갈등,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문제행동의 각 유형에 따라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3~5세 유아 1460명 중 1차 문제행동 판별검사와 2차 문제행동 진단검사를 통하여 문제행동 유아로 선정된 136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136명 그리고 교사 49명이다.
      유아의 문제행동을 판별하기 위한 1차 검사는 McGuire와 Richman(1988)의 유아행동목록척도(Pre-school Behavior Checklist: PBCL)로 황혜정(199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2차 검사는 Achenbach와 Edelbrock(1983)이 개발한 아동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CBCL)를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와 하은혜(1997)가 국내에서 표준화한 한국판 아동행동평가척도(K-CBCL)를 사용하였다. 유아 기질의 측정은 천희영(1992)의 연구용 기질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 특성 중 자아존중감 측정은 전병제(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척도(Self-Esteem Scale)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우울성향은 Derogatis, Rickels와 Rock(1976)의 개정된 증후군진단체크리스트(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문항 중 우울척도로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불안 정도는 Spielberger(1966)가 제작한 상태-특성 불안검사(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로 김정택(1978)이 번안한 검사를 사용하였다. 신경증과 외향성 측정은 이현수(1985)가 표준화한 아이젱크 성격 질문지(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PQ)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 측정은 반사회적 행동척도(Antisocial Behavior Checklist: ASBCL)를 사용하였으며, 부부갈등 측정은 강덕귀(2002)가 사용한 배우자학대척도(Partner Abuse Scale)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 양육행동은 거부, 통제, 방임을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거부와 통제 요인은 박영애(1995)의 양육행동 척도 중 11문항을 사용하였으며, 방임 요인은 Calzada와 Eyberg(2002)가 사용한 양육차원 검사(Parenting Style Dimension: PSD) 중 방임 요인 5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과 AMOS 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 유아의 일반적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셋째,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각 변인들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구조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낮은 적응성과 활동성 기질의 유아는 위축문제를 더 많이 나타냈으며, 높은 활동성 기질의 유아는 비행문제와 공격성문제를 더 많이 나타냈다. 어머니 특성은 어머니의 우울/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는 위축문제와 우울/불안문제를 더 많이 보였으며,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이 높을수록 유아는 비행문제와 공격성문제를 더 많이 나타냈다. 또한 부부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는 주의집중문제와 비행문제, 공격성문제를 더 많이 나타냈으며,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낮을수록 유아의 위축문제는 증가하고 통제적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공격성문제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와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이 높을수록 부부갈등 수준은 높았으며, 어머니 양육행동의 부정적 측면도 높았다.
      둘째, 유아 기질 및 가정환경변인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구조모형을 통해 알아본 결과, 위축문제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특성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우울/불안문제는 어머니 특성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집중문제는 유아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 특성과 아버지의 반사회적인 행동, 부부갈등이 양육행동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행문제는 유아 기질과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격성문제는 유아의 기질과 부부갈등이 직접적인 영향을, 어머니 특성과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이 부부갈등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은 유아의 개인적 특성인 기질뿐만 아니라 부모의 부정적인 정서와 행동특성, 그리고 부정적인 부부관계와 양육행동에 의해 유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 치료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기질적 특성과 가정환경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부모의 부정적 정서나 행동특성 및 부부관계와 양육행동의 질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이에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환경적 범위를 확장하여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접근할 필요가 있다. 둘째, 최근 아버지들이 자녀양육에 참여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아버지 변인을 좀 더 세분화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부부관계의 질을 부부갈등뿐만 아니라 부부간의 의사소통수준에서도 살펴봄으로써 표면적으로 나타나지 않은 부부관계의 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넷째,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을 중재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양육행동의 중재효과를 부모교육과 관련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종단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문제행동을 증상에 따라 유형별로 나누고 이에 대한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각 유형마다 다른 원인과 경로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문제행동에 대한 접근은 통합모델의 접근이 더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을 문제행동집단만으로 한정함으로써 문제행동의 원인과 경로를 파악하는데 보다 실제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유아의 발달과 문제행동의 연속성을 고려했을 때 문제행동에 대한 예후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문제행동을 예방, 치료하기 위한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목차 = ⅲ
      • 그림목차 = ⅴ
      • 감사의 글 = ⅵ
      • 논문개요 = ⅶ
      • Ⅰ. 서론 = 1
      • 표목차 = ⅲ
      • 그림목차 = ⅴ
      • 감사의 글 = ⅵ
      • 논문개요 = ⅶ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7
      • 3. 용어의 정의 = 8
      • Ⅱ. 이론적 배경 = 10
      • 1. 문제행동 = 10
      • 2. 유아 기질과 문제행동 = 23
      • 3. 심리적 가정환경변인과 문제행동 = 27
      • 1) 어머니 특성과 문제행동 = 27
      • 2) 아버지의 반사회적 행동과 문제행동 = 31
      • 3) 부부갈등과 문제행동 = 34
      • 4) 어머니 양육행동과 문제행동 = 35
      • 4. 연구모형 = 40
      • Ⅲ. 연구 방법 = 41
      • 1. 연구 대상 = 41
      • 2. 연구 도구 = 45
      • 3. 연구 절차 = 53
      • 4. 자료 분석 = 54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55
      • 1.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 = 55
      • 2.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 변인의 영향력 = 58
      • 3. 문제행동 유형과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의 구조모형 = 73
      • Ⅴ. 논의 및 결론 = 90
      • 1. 논의 = 90
      • 2. 결론 및 제언 = 108
      • 참고문헌 = 112
      • 부록 = 136
      • Abstract = 1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