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 탐구: 경기도교육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 Inquiry of Concept of Curriculum Literacy: Focus on the Cases of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30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문해력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사들의 교육과정 비평문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을 탐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 중 사례분석이며, 연구자료로서 교육과정 비평문은 총49편으로 2018년 4, 5월에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문해력은 교육과정 읽기와 쓰기로 대분류 되었다. 교육과정 읽기는 교육과정 텍스트 읽기, 자기 텍스트 읽기, 현장 텍스트 읽기로 소분류되었고, 교육 과정 쓰기는 교육과정 텍스트 쓰기, 통합하여 쓰기, 계속 읽으며 쓰기, 학생과 함께 쓰기로 소분류되었다. 또한 교육과정 문해력은 기능적 수준과 구성적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교육과정 문서 등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교사의 맥락으로 다시 구성 할 수 있는 비평적 수준의 역량을 의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과정 읽기, 교육 과정 쓰기, 교육과정 문해력의 수준이라는 3차원적 개념도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연구 의 자료는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으나,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 과정 문해력의 개념을 명확히 인식하고 성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각급 교육 청 정책 자료의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문해력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사들의 교육과정 비평문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문해력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사들의 교육과정 비평문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을 탐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 중 사례분석이며, 연구자료로서 교육과정 비평문은 총49편으로 2018년 4, 5월에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문해력은 교육과정 읽기와 쓰기로 대분류 되었다. 교육과정 읽기는 교육과정 텍스트 읽기, 자기 텍스트 읽기, 현장 텍스트 읽기로 소분류되었고, 교육 과정 쓰기는 교육과정 텍스트 쓰기, 통합하여 쓰기, 계속 읽으며 쓰기, 학생과 함께 쓰기로 소분류되었다. 또한 교육과정 문해력은 기능적 수준과 구성적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교육과정 문서 등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교사의 맥락으로 다시 구성 할 수 있는 비평적 수준의 역량을 의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과정 읽기, 교육 과정 쓰기, 교육과정 문해력의 수준이라는 3차원적 개념도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연구 의 자료는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으나,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 과정 문해력의 개념을 명확히 인식하고 성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각급 교육 청 정책 자료의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society changes rapidly and the capacity required for students is diversified, autonomy for teacher s curriculum development is emphasized.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curriculum literacy as well as the capacity of teachers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is being rais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ior research on the subject of curriculum literacy and analyzed the criticism of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s who practiced the teacher-centered curriculum and explored the concept of curriculum literacy. The research method is cas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iteracy of the curriculum was classified into reading and writing of the curriculum. Reading the curriculum was subdivided into curriculum text reading, self-text reading, and on-site text reading. Curriculum writing was divided into curriculum text writing, integrated writing, continuing reading and writing and writing with students. In addition, the literacy of the curriculum requires critical level of the teacher.
      번역하기

      As society changes rapidly and the capacity required for students is diversified, autonomy for teacher s curriculum development is emphasized.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curriculum literacy as well as the capacity of teachers to reconstruct the cur...

      As society changes rapidly and the capacity required for students is diversified, autonomy for teacher s curriculum development is emphasized.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curriculum literacy as well as the capacity of teachers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is being rais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ior research on the subject of curriculum literacy and analyzed the criticism of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s who practiced the teacher-centered curriculum and explored the concept of curriculum literacy. The research method is cas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iteracy of the curriculum was classified into reading and writing of the curriculum. Reading the curriculum was subdivided into curriculum text reading, self-text reading, and on-site text reading. Curriculum writing was divided into curriculum text writing, integrated writing, continuing reading and writing and writing with students. In addition, the literacy of the curriculum requires critical level of the teac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교육과정 문해력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Ⅲ. 교육과정 문해력 실천사례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론 Ⅱ. 교육과정 문해력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Ⅲ. 교육과정 문해력 실천사례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승환, "해석학: 새로운 사유를 위한 이해의 철학" 아카넷 2016

      2 황윤한, "초등교사교육과 초등교사교육체제의 패러다임적 전환 탐구: 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347-376, 2017

      3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5

      4 정수경, "이해중심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전문성 관점과 교사 역할 탐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371-378, 2016

      5 김병수,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 비교에 대한 사례 연구 -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67 : 117-144, 2016

      6 김미혜, "국어과 교육과정 문해력의 관점에서 바라본 초등 교사의 성장 -『마당을 나온 암탉』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55) : 9-46, 2017

      7 김진욱,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과 교사의 자율성" 38 : 29-55, 2015

      8 Eisner, E. W., "교육적 상상력: 교육과정의 구성과 평가"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3

      9 신경희, "교육과정 자율적 운영에 관한 교사의 역할 수행 비교: 한국과 미국교사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1 (51): 297-312, 2012

      10 박윤경,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교육연구소 38 (38): 27-50, 2017

      1 신승환, "해석학: 새로운 사유를 위한 이해의 철학" 아카넷 2016

      2 황윤한, "초등교사교육과 초등교사교육체제의 패러다임적 전환 탐구: 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347-376, 2017

      3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5

      4 정수경, "이해중심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전문성 관점과 교사 역할 탐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371-378, 2016

      5 김병수,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 비교에 대한 사례 연구 -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67 : 117-144, 2016

      6 김미혜, "국어과 교육과정 문해력의 관점에서 바라본 초등 교사의 성장 -『마당을 나온 암탉』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55) : 9-46, 2017

      7 김진욱,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과 교사의 자율성" 38 : 29-55, 2015

      8 Eisner, E. W., "교육적 상상력: 교육과정의 구성과 평가"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3

      9 신경희, "교육과정 자율적 운영에 관한 교사의 역할 수행 비교: 한국과 미국교사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1 (51): 297-312, 2012

      10 박윤경,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교육연구소 38 (38): 27-50, 2017

      11 정광순,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6 (6): 109-132, 2012

      12 Giroux, H. A., "교사는 지성인이다" 아침이슬 2001

      13 Connelly, F. M., "The Curriculum Studies Reader" Routledge 178-187, 1997

      14 Ross, E. W., "Reflective Practice in Social Studies"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51-58, 1994

      15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Jossey-Bass 1998

      16 Moje, E. B., "Literacy and identity : examining the metaphors in history and contemporary research" 44 (44): 415-, 2009

      17 Davis, Evelyn C., "An integrated skills aproach: Strengthening reading comprehension and acquiring writing competence" Hasanudin University;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989

      18 교육부, "2018 학생맞춤형 교육과정을 위한 제2권역 1기 교육과정 핵심교원 워크숍"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