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 성인지교육 제도화의 필요성과 과제 =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Training in Korean Rural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39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농촌사회에서 시행되는 성인지교육의 현주소를 조명하고 전문가 인식 분석과 해외사례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 농촌 지역의 성인지교육 개선방안을 검토한다. 국내에서는 2002...

      본 연구는 한국 농촌사회에서 시행되는 성인지교육의 현주소를 조명하고 전문가 인식 분석과 해외사례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 농촌 지역의 성인지교육 개선방안을 검토한다. 국내에서는 2002년 여성발전기본법 개정, 이후 2015년 양성평등기본법 전면 개정 과정에서 성주류화 전략 도구로써 성인지교육 이행을 위한 추진 근거가 마련되어 왔다. 아울러 여성농업인 대상 정책은 2001년 제1차 여성농업인육성기본계획을 시작으로 발전해왔으며, 2016년 제4차 기본계획에서는 제정 이래 최초로 ‘실질적 양성평등’을 비전으로 발표하였다. 농촌형 성평등전문강사 육성 등의성과도 있었으나, 농업·농촌정책 내 성인지 정책추진 기반 부족으로 생활 속에서체감되는 양성평등 정책효과가 미흡하다는 점이 제4차 기본계획의 한계로 인식되었다. 현재 시행 중인 제5차 기본계획(2021~2025)은 농업·농촌 성평등 인식개선및 문화 확산과 정책추진 체계 강화를 중점과제로 상정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세부 과제로 농촌 특성을 반영한 성평등 교육콘텐츠 개발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배경에서 본 연구는 농촌특화 성인지 교육콘텐츠 개발의 목표가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제도화 과제를 검토한다. 향후 한국 농촌지역의 성인지교육은 제도화를 위한 인적·재정적 자원을 확보하고, 현재 희망자를 대상으로 운영되는 성인지교육을 농촌지역 공무원과 마을조직 관계자 등이 필수적으로 이수할 수있도록 지침을 제정해야 할 것이며, 실질적인 농업업무 및 농촌에서의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성인지 교육이 이루어지는지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평가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현재 농촌형 성평등 강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지역의 모범사례와 노력이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제도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향후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current status of gender training (gender awareness education) in rural Korean society and seeks to identify strategies for its institutional advancement.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conducts in-d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current status of gender training (gender awareness education) in rural Korean society and seeks to identify strategies for its institutional advancement.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gender trainers and experts in Korea and carries out a brief case study of foreign countries. In South Korea, the implementation of gender training has been supported as a strategic tool for gender mainstreaming during the process of amending the Framework Act on Women's Development in 2002 and the comprehensive revision of the Framework Act on Gender Equality in 2015.
      Additionally, policies targeting women in agriculture have evolved since the initiation of the first basic plan for fostering female farmers in 2001 and, in the fourth basic plan in 2016, "substantive gender equality" was introduced as a vision for the first time. While progress has been made, limitations in the policy base for gender training within agricultural and rural policies have been recognized as hindering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gender equality policies in daily life. The ongoing Fifth Basic Plan (2021-2025) prioritizes the enhance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cultural dissemination, and policy implementation in rural regions. It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content tailored to rural characteristics as a key task.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institutionalization strategies necessary to successfully pursue the goal of developing specialized gender awareness education content for rural areas. To effectively develop the gender training capacities in rural South Korea, it will be essential to secure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for institutionalizing gender training, an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mandatory participation by rural public officials and community organization members who are currently voluntary participants. Regular monitoring and evaluation should also be conducted to ensure that customized gender training that can be applied in daily agricultural tasks and rural life is being provided. It is urgent to formulate improvement measures that connect exemplary cases and efforts by gender trainers in South Korean rural areas to variou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stitu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