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소 기억하기를 통한 대학생의 장소 애착 구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ace Attachment Structure of College Students through Place Rememberi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place attachment and to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place attachment elements by using grounded theory.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f the study, 77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about the memory of place attachment,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it as a grounded theo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llege student was recalling the places of daily life, intense experience, the search and discovery of places as memories of attachment. Emotional priming effect, sensory priming effect, change of place, and the excelle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was working as positive factors in remembering places, and personal resting place, kinship, group membership, and place convenience were affecting the college students equating themselves with place or giving meaning to place by individuals grew into independent identities, improving inner competency, forming a network of relationship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paradigm model were abstracted to derive a structured model of place attachment. The results verified that place attachment lies in causal correlation between place discovery and recognition, embodied cognition, place dependence, place identity, place mean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place attachment and to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place attachment elements by using grounded theory.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f the study, 77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a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place attachment and to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place attachment elements by using grounded theory.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f the study, 77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about the memory of place attachment,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it as a grounded theo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llege student was recalling the places of daily life, intense experience, the search and discovery of places as memories of attachment. Emotional priming effect, sensory priming effect, change of place, and the excelle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was working as positive factors in remembering places, and personal resting place, kinship, group membership, and place convenience were affecting the college students equating themselves with place or giving meaning to place by individuals grew into independent identities, improving inner competency, forming a network of relationship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paradigm model were abstracted to derive a structured model of place attachment. The results verified that place attachment lies in causal correlation between place discovery and recognition, embodied cognition, place dependence, place identity, place mea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장소 애착의 구조와 구성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대학생 77명을 대상으로 장소 애착의 기억에 관한 글을 작성하게 하고, 이를 근거 이론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은 일상의 장소나 강렬한 경험, 장소의 탐색과 발견을 애착의 기억으로 회상하고 있었다. 정서적 점화 효과, 감각적 점화 효과, 장소의 변화, 자연환경의 우수성은 장소를 기억하는 데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개인의 안식처, 친족 유대감, 집단 소속감, 장소 편의성은 장소에서 개인이 독립적 자아로의 성장하고, 내적 역량을 함양하며 관계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대학생이 스스로를 장소와 동일시하거나 장소에 의미를 부여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의 결과를 추상화해 장소 애착의 구조화 모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장소 애착은 장소의 발견과 인식, 체화된 인지, 장소 의존, 장소 정체성, 장소 의미와 인과적 상관관계에 놓여 있음이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장소 애착의 구조와 구성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대학생 77명을 대상으로 장소 애착의 기...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장소 애착의 구조와 구성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대학생 77명을 대상으로 장소 애착의 기억에 관한 글을 작성하게 하고, 이를 근거 이론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은 일상의 장소나 강렬한 경험, 장소의 탐색과 발견을 애착의 기억으로 회상하고 있었다. 정서적 점화 효과, 감각적 점화 효과, 장소의 변화, 자연환경의 우수성은 장소를 기억하는 데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개인의 안식처, 친족 유대감, 집단 소속감, 장소 편의성은 장소에서 개인이 독립적 자아로의 성장하고, 내적 역량을 함양하며 관계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대학생이 스스로를 장소와 동일시하거나 장소에 의미를 부여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의 결과를 추상화해 장소 애착의 구조화 모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장소 애착은 장소의 발견과 인식, 체화된 인지, 장소 의존, 장소 정체성, 장소 의미와 인과적 상관관계에 놓여 있음이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하, "퍼스 기호론에 대한 고찰 –인식, 존재, 진리-" 한국동서철학회 (71) : 439-461, 2014

      2 김혜진, "초등 지리교육에서 재현된 ‘장소감’ 내용 분석" 한국지리학회 7 (7): 275-287, 2018

      3 김민성, "체화된 인지의 의미와 지리교육에서의 활용" 한국지리학회 8 (8): 1-18, 2019

      4 김덕현, "장소감의 유형화와 장소 재현" 17 (17): 107-131, 1997

      5 Cervone, D, "성격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5

      6 Strauss, A.L, "근거이론의 이해: 간호학의 질적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 한울아카데미 1996

      7 권향원,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실천적 가이드라인과 이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20 (20): 181-216, 2016

      8 Strauss, A.L,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1

      9 Massey, D.B, "공간을 위하여" 심산 2016

      10 Tuan, Y,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1 김선하, "퍼스 기호론에 대한 고찰 –인식, 존재, 진리-" 한국동서철학회 (71) : 439-461, 2014

      2 김혜진, "초등 지리교육에서 재현된 ‘장소감’ 내용 분석" 한국지리학회 7 (7): 275-287, 2018

      3 김민성, "체화된 인지의 의미와 지리교육에서의 활용" 한국지리학회 8 (8): 1-18, 2019

      4 김덕현, "장소감의 유형화와 장소 재현" 17 (17): 107-131, 1997

      5 Cervone, D, "성격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5

      6 Strauss, A.L, "근거이론의 이해: 간호학의 질적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 한울아카데미 1996

      7 권향원,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실천적 가이드라인과 이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20 (20): 181-216, 2016

      8 Strauss, A.L,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1

      9 Massey, D.B, "공간을 위하여" 심산 2016

      10 Tuan, Y,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11 Raymond, C, "The measurement of place attachment: Personal, community, and environmental connections" 30 (30): 422-434, 2010

      12 Woldoff, R.A, "The effects of local stressors on neighborhood attachment" 81 (81): 87-116, 2002

      13 Masterson, V. A, "The contribution of sense of place to social-ecological systems research: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22 (22): 1-14, 2017

      14 Glaser, B.G, "The Sage Handbook of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97-113, 2007

      15 Holton, J.A, "The Sage Handbook of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265-289, 2007

      16 Seamon, D, "The Human Experience of Space and Place" Crooom Helm 148-165, 1980

      17 Casey, E.S, "The Fate of Place: A Philosophical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18 Margalit, A, "The Ethics of Memo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19 Gibson, J.J,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Psychology Press 2015

      20 Glaser, B.G,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 Transaction 1967

      21 Johnson, N.C,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Wiley-Blackwell 453-455, 2009

      22 Agnew, J, "Spaces of Geographical Thought: Deconstructing Human Geography’s Binaries" SAGE Publications 81-96, 2005

      23 Proshansky, H.M, "Spaces for Children" Plenum Press 21-40, 1987

      24 Archibald, R.R, "Social Memory and History" AltaMira Press 65-80, 2002

      25 Jorgensen, B.S, "Sense of place as an attitude: Lakeshore owners attitudes toward their properties" 21 (21): 233-248, 2001

      26 McMillan, D.W,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14 : 6-23, 1986

      27 Casey, E.S, "Remembering: A Phenomenological Study" Indiana University Press 2000

      28 Mazumdar, S, "Religion and place attachment: A study of sacred places" 24 : 385-397, 2004

      29 Bazeley, P, "Qualitative Data Analysis with NVivo" SAGE 2007

      30 Giuliani, M.V, "Psychological Theories for Environmental Issues" Burlington 137-170, 2003

      31 Fullilove, M.T, "Psychiatric implications of displacement:Contributions from the psychology of place" 153 : 1516-1523, 1996

      32 Cresswell, T, "Place: A Short Introduction" Blackwell Pub 2004

      33 Korpela, K.M, "Place-identity as a product of environmental self-regulation" 9 : 241-256, 1989

      34 Twigger-Ross, C.L, "Place and identity processes" 16 (16): 205-220, 1996

      35 Lewicka, M, "Place Attachment: Advances in Theory, Methods and Applications" outledge 48-59, 2014

      36 Hernández, B, "Place Attachment: Advances in Theory, Methods and Applications" Routledge 114-130, 2014

      37 Seamon, D, "Place Attachment: Advance in Theory, Methods and Applications" Routledge 11-22, 2014

      38 Scannell, L, "Place Attachment: Advance in Theory, Methods and Applications" Routledge 22-36, 2014

      39 Altman, I, "Place Attachment" Plenum Press 1992

      40 Belk, R.W, "Place Attachment" Plenum Press 37-62, 1992

      41 김현우, "PBL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 성과와 학습 정서의 유형 및 단계별 특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42 박종원, "NVivo 11 Applications: Analyzing and Reporting Qualitative Data" 부경대학교출판부 2016

      43 Thompson, R.F, "Memory: The Key to Consciousnes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44 Hoelscher, S, "Memory and place: Geographies of a critical relationship" 5 (5): 347-355, 2004

      45 Eysenck, M.W, "Memory" Psychology Press 361-378, 2015

      46 Clayton, S, "Identit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The Psychological Significance of Nature" MIT Press 45-65, 2003

      47 Strauss, A.L,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273-285, 1994

      48 McAdams, D.P,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Press 242-262, 2008

      49 Griffin, J.D, "Growing up in Foster Care a Qualitative Study of the Relational Worlds of Foster Youth"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4

      50 Jones, O, "Geography and Memory: Explorations in Identity, Place and Becoming" Palgrave MacMillan 2012

      51 Schacter, D.L, "Foundations of Cognitive Science" MIT Press 683-725, 1989

      52 Shumaker, S.A, "Environmental Psychology: Directions and Perspectives" Praeger 219-251, 1983

      53 Glaser, B.G, "Doing Grounded Theory: Issues and Discussions" Sociology Press 1998

      54 Zhang, J, "Distributed cognition, representation, and affordance" 14 (14): 333-341, 2006

      55 Scannell, L, "Defining place attachment: A tripartite organizing framework" 30 (30): 1-10, 2010

      56 Fried, M,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of place" 20 (20): 193-206, 2000

      57 Weiss, G, "Body Images" Routledge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 0.86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