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충청남도 내포 출신으로, 20세기 초반 서울에서 판소리와 가야 금병창, 산조, 재담 등으로 활약했던 명인 심정순과 그의 가계 음악인들, 심매향ㆍ심상건ㆍ심화영의 소리에서 나타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200112
2010
Korean
심정순 ; 심상건 ; 심화영 ; 내포 서산 ; 판소리 ; 중고제 ; Sim Jeongsun ; Sim Sanggeon ; Sim Hwayeong ; Naepo ; Seosan ; Pansori ; Junggoje
KCI등재
학술저널
73-118(4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충청남도 내포 출신으로, 20세기 초반 서울에서 판소리와 가야 금병창, 산조, 재담 등으로 활약했던 명인 심정순과 그의 가계 음악인들, 심매향ㆍ심상건ㆍ심화영의 소리에서 나타나...
본고는 충청남도 내포 출신으로, 20세기 초반 서울에서 판소리와 가야 금병창, 산조, 재담 등으로 활약했던 명인 심정순과 그의 가계 음악인들, 심매향ㆍ심상건ㆍ심화영의 소리에서 나타나는 음악적인 특성을 정리하고, 이를 타 지역의 판소리와 비교하여 보았다. 그리고 충청남도 내포 지역의 다른 문화 양상과 결부시켜, 이 지역의 판소리 문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심정순과 그 일가 음악인들의 소리에서 나타나는 음악 특징은 ① 평조를 주로 사용한다는 것이고, ② 선율 진행은 매우 평탄하며, 고음을 질러 순차적으로 하행하는 선율 및 4도 하행하여 종지하는 형태를 갖고 있다. 그리고 ③ 즉흥적으로 소리를 구사하는 특성을 보인다.
심정순 일가의 소리에서 나타나는 선법과 선율의 특징은, 그들의 소리 기반이 되는 충청 지역의 기층 음악 어법과 상통하는 면을 보여준다. 판소리 평조는 충남지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남부경토리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순차 하행 선율이나 4도 하행 종지 형태는 경기 무가나 경기 민요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특징이다. 그리고 경기 출신의 판소리 창자인 염계달이 판소리에 도입한 추천목과 경드름 대목의 특징적인 선율 형태이기도 하다. 즉, 심정순 일가의 소리는 서산 지역을 소리 기반으로 하고 있는 만큼 충남 기층 음악 어법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전라도를 기반으로 한 동ㆍ서편제 판소리 창자들의 소리와 큰 차이를 보이고, 충청 지역의 중고제 창자인 김창룡, 이동백의 소리와는 공통적인 특성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심정순 일가의 소리와 김창룡ㆍ이동백의 소리는 전반적으로 일치하는 특성을 보이되, 또한 조금 구별된다. 평조를 많이 사용하는 점은 동일하나, 심정순 일가의 소리에서 평조의 특징이 더욱 분명하게 나타난다. 평탄한 진행이나 순차하행, 4도 하행 종지도 심정순 일가의 소리에서 더 두드러진다. 중고제 판소리로서의 특성이 심정순 일가의 소리에서 더 명확히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심정순 일가와 김창룡ㆍ이동백이 충청지역의 창자인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심정순은 내포 지역인 서산 출신으로 경기도에 인접한 지역에 거주하였고, 김창룡과 이동백은 서천 지역으로 전라도에 인접한 지역 출신이라는 점에서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중고제를 경기ㆍ충청 지역의 소리라고 했을 때, 내포지역은 경기도와 충청도의 한 가운데 핵심부이지만, 서천은 충청남도의 가장 남쪽 지역으로 전라도와 닿아 있고, 그만큼 전라도 판소리의 영향을 일부 받았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내포 지역은 충청남도의 여타 다른 지역과 지리적, 언어적, 문화적으로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권을 형성하여 온 지역으로, 민요나 무가에서도 이러한 차이를 발견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경기 지역과 문화적 친연성을 보인다.
결국, 심정순 일가는 심팔록 - 심정순 - 심상건, 심재덕, 심매향, 심화영으로 여러 대를 거쳐 가문의 소리를 이루면서, 내포 지역의 문화를 자신들의 소리에 담았다. 이로서 전라도 음악과는 매우 구별되는 독특한 소리를 이루었고, 이는 평조를 중심으로 한 악조의 사용이나 경기 어법이 녹아 있는 선율 진행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특성은 충청 지역 창자인 김창룡ㆍ이동백의 소리와 충청제로서 동일성을 띠기도 하지만, 내포제로서 또한 구별되는 특성을 보여주고 내포라는 지역이 매우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하여 왔음을 알게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m, Jeongsun was a Pansori master from Naepo, Chungcheongnam-do and he took an active role in Pansori, Gayageum Byeongchang, Sanjo, and Jaedam in Seoul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study examin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im, Jeongsun and hi...
Sim, Jeongsun was a Pansori master from Naepo, Chungcheongnam-do and he took an active role in Pansori, Gayageum Byeongchang, Sanjo, and Jaedam in Seoul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study examin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im, Jeongsun and his family including Sim, Maehyang, Sim, Sanggeon, and Sim, Hwayeong and compares these with those of Pansori songs of other region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ansori culture of Naepo area in Chungcheongnam-do in connection with other cultural aspects of the regi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m family are as follows; ① Mostly Pyeongjo is used, ② Progress of melody is very smooth. The melody goes down gradually from a high note or ends after going down 4 notes, and ③ Songs are sung impromptu.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s and melodies used by the Sim family are similar to those of Chungcheong area, the base of their songs. The structure of Pansori Pyongjo is similar to that of Southern Gyeongtori used frequently in Chungnam area. And a melody that goes down gradually and a melody that ends after going down 4 notes are typical characteristics of Shaman songs and folk songs of Gyeonggi area. These are also the characteristic melodies of Chucheonmok and Gyeongdeureum introduced to Pansori by Yeom, Gyedal, a native of Gyeonggi. In short, the songs of Sim, Jeongsun and his family us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Chungnam music as the base of their music was Seosan, an area in Chungnam. As a result, their songs are very different from Dongpyeonje and Seopyeonje Pansori of Jeollado and quite similar to the songs of Kim, Changnyong and Lee, Dongbaek, the founders of Junggoje Pansori in Chungcheong area.
Pansori by the Sim family and those by Kim, Changnyong and Lee, Dongbaek are quite similar but a little different. Both use Pyeongjo a lot but the characteristics of Pyeongjo are clearer in the songs by the Sim family. Smooth progress, gradual going down, and ending after going down 4 notes are more profound in the songs by the Sim family. The characteristics of Junggoje Pansori are clearer in the songs by the Sim family. The Sim family, Kim, Changnyong and Lee, Dongbaek are the founders of Pansori in Chungcheong area. The fact that Sim, Jeongsun was from Seosan, an area closer to Gyeonggi-do and Kim, Changnyong and Lee, Dongbaek were from Seocheon, an area closer to Jeolla-do might explain this difference. The Junggoje Pansori are songs of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 As Naepo is in the middle of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while Seocheon is in the southern part of Chungcheong touching Jeolla-do, songs by Kim, Changnyong and Lee, Dongbaek were influenced by Jeolla-do Pansori. In addition, unlike other areas in Chungcheongnam-do, Naepo has unique geographical, languag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uch differences are found in folk songs and Shaman songs. And these reflect cultural affinity to Gyeonggi.
In conclusion, the Sim family established the songs of their own family through several generations of singers from Sim, Palrok to Sim, Jeongsun, Sim, Sanggeon, Sim, Jaedeok, Sim, Maehyang, and Sim, Hwayeong and expressed the culture of Naepo area in their songs. Their song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are very differ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Jeolla-do music and use Pyeongjo and other one jo and melodies of Gyeonggi music. Such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s by Kim, Changnyong and Lee, Dongbaek but they also reflect the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aepo.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무의식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3
2 배연형, "한국공연예술자료선집" 민속원 2002
3 이보형, "판소리와 산조에서 우조와 평조 연구" 국립민속국악원 (창간) : 2001
4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연구-SP음반 수록곡의 선율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5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심정순 바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6 이보형, "판소리 염계달 추천목론. in: 노산이은상박사 고희기념 민족문화논총" 노산이은상박사 고희기념 민족문화논총 간행위원회 1973
7 김혜정, "판소리 심청가의 악조 연구-폴리돌 음반 심청전(SP전집)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8 남궁정애, "판소리 명창 김창환의 음악어법 연구. in: 판소리 음악의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0
9 신은주, "콜럼비아 <춘향가> 악보2" 한국고음반연구회 15 : 2005
10 신은주, "콜럼비아 <춘향가> 악보1" 한국고음반연구회 14 : 2004
1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무의식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3
2 배연형, "한국공연예술자료선집" 민속원 2002
3 이보형, "판소리와 산조에서 우조와 평조 연구" 국립민속국악원 (창간) : 2001
4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연구-SP음반 수록곡의 선율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5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심정순 바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6 이보형, "판소리 염계달 추천목론. in: 노산이은상박사 고희기념 민족문화논총" 노산이은상박사 고희기념 민족문화논총 간행위원회 1973
7 김혜정, "판소리 심청가의 악조 연구-폴리돌 음반 심청전(SP전집)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8 남궁정애, "판소리 명창 김창환의 음악어법 연구. in: 판소리 음악의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0
9 신은주, "콜럼비아 <춘향가> 악보2" 한국고음반연구회 15 : 2005
10 신은주, "콜럼비아 <춘향가> 악보1" 한국고음반연구회 14 : 2004
11 변영호, "충청남도 민요의 기능별 분류와 분포. in; 한국민요대전-충청남도 민요 해설집" MBC 1995
12 한상수, "충남의 민속예술" 충청남도 1995
13 오용록, "충남 민요의 분포 양상과 부여 민요. in: 백제권 음악과 21세기" 백제문화선양위원회 1998
14 박혜정, "충남 내포 지역의 앉은굿 음악 연구" 한국국악학회 42 (42): 127-152, 2007
15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출판부 1940
16 최승희, "정정렬제 춘향가 악보집" 정정렬제 춘향가 최승희선생 소리보존회 2001
17 김인숙, "정정렬 소리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18 김수미, "이화중선과 성우향의 춘향가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9 국립민속국악원, "유성기 음반으로 보는 경기충청의 소리" 국립민속국악원 2006
20 위희경, "오태석과 박귀희의 가야금 병창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21 신은주, "심화영의 삶과 소리" 국립국악원 18 : 2008
22 신은주, "심상건 가야금병창의 즉흥성 및 소리경향-<긴사랑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2010
23 신은주, "심상건 가야금병창 <대장부한> 연구" 서울:한국고음반연구회 (17) : 2007
24 박승률, "송만갑의 판소리 음악어법"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1
25 김수미, "성우향 춘향가" 성우향판소리전수소 2005
26 노동은, "백제권 음악과 21세기. in: 백제권 음악과 21세기" 백제문화선양위원회 1998
27 김진영, "박순호 소장 <게우사>. in: 실창 판소리사설집" 도서출판 박이정 2004
28 이인화, "내포지역 마을제당의 민속지리" 민속원 2006
29 이중환, "국한문대역 택리지" 평화출판사 2005
30 장사훈, "국악개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75
31 이혜구, "가야금 명인 심상건. in: 만당속문채록" 천풍인쇄주식회사 1985
32 신은주, "<일츅죠션소리반 춘향가 전집> 악보" 한국고음반연구회 13 : 2003
33 이문종, "17세기 초 서산지방의 지리적 상황-호산록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역사지리연구회 (4) : 199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20-01-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4-01-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71 | 1.169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