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19년 기업 경영환경 전망 및 시사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35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 개 요 2018년 국내 경기는 하강 압력이 지속되었고, 경기 동행 및 선행지수가 모두 장기간하락세를 보였다. 2019년 한국 경제는 세계 경기 둔화, 내수 경기의 하방 리스크지속 등으로 경제 ...

      ■ 개 요
      2018년 국내 경기는 하강 압력이 지속되었고, 경기 동행 및 선행지수가 모두 장기간하락세를 보였다. 2019년 한국 경제는 세계 경기 둔화, 내수 경기의 하방 리스크지속 등으로 경제 성장세가 2018년에 비해 더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본 보고서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주요 기업이 2019년 국내외 경제 상황 및 기업 경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 2019년 국내외 경제 및 이슈
      (2019년 국내외 경제 전망) 대부분의 기업들은 2019년 세계 경제가 2018년보다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응답기업의 61.5%가 2019년 세계 경제가 2018년보다 나빠질 것으로 예상한 반면 37.6%는 2018년과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많은 기업들이 미국發 무역전쟁이 가장 우려되는 세계 경제 불안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미국發 무역전쟁 60.6%, 미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 12.8%, 중국경제불안 11.9% 순으로 응답 비중이 높았다.
      2019년 국내 경제는 ‘2018년보다 더 나빠질 것이다‘라고 예상하는 기업이 많았다. 더욱이, 2019년 국내 경제 성장률은 ‘2%대 초반’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는 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한편 2019년 국내 경제의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를 지적했다.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41.8%, 투자 위축 19.1%, 금리 인상 13.6% 순으로 응답 비중이 높았다.
      (최근 경제 및 경영 이슈) 국내 기업들은 정부 정책 중 가장 잘하고 있는 분야로 남북정책이라고 응답한 비중이 59.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외에 ‘잘하는 분야가 없다’, ‘혁신성장’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정부 정책 중 가장 못하고 있는 분야로는 규제정책과 일자리 정책이라는 응답이 각각 23.5%, 22.2%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는 노동정책, 혁신성장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기업은 최저임금 인상이 경영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주 52시간 근로제 계도기간이 끝나고 보완해야할 점은 ‘탄력근로 시간제의 단위 시간 확대’라고 지적했다. 응답기업의 89.8%가 최저임금 인상으로 경영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2019년 기업경영에 가장 부담을 주는 요인으로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정책변화’를 꼽았다. 그 외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승, 미국 및 국내 금리 인상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산업 경쟁력 약화가 한국 경제 성장을 저해한다는 인식에 동의를 하였으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규제 개혁’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 외 R&D 투자 강화, 전문인력 양성, 정부 세제 지원 순으로 응답하였다.
      ■ 2018년 경영실적 평가 및 2019년 경영환경 전망
      (2018년 경영실적 평가) 2018년 경영실적에 대해서는 ‘예상 수준이다’와 ‘예상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라고 응답한 기업이 각각 38.5%를 기록했으며, ’실적이 예상을 상회한다는 기업은 23.0%로 불과했다. 예상을 상회하는 성과를 거둔 기업들은 주된 이유로 수출 확대를 언급한 반면 경영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했던 기업들은 내수 부진을 주요 원인으로 지적했다.
      (2019년 경영 계획) 주요 기업들은 2019년 경영목표를 2018년보다 소폭 높은 수준으로 수립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응답한 기업의 40.7%가 ‘수익성 향상’을 2019년 기업 활동의 우선순위로 둔다고 응답했다. 2019년 경영목표에 대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2019년에 비해 소폭 증대시킬 것이며 설비투자, R&D, 신규고용은 2018년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2019년 기업 활동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수익성 향상, 비상경영체제 유지가 각각 40.7%, 18.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기업들의 2019년 자금 사정은 2018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 비중이 가장 높았다.
      (대외 환경 전망) 원/달러 환율은 2018년과 비슷하거나 소폭 강세로 전망하였고 국제유가는 2018년과 유사한 수준에서 형성될 것이라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2019년 평균 원/달러 환율은 1,100원 이상~1,150원 미만에서 형성될 것이라는 응답이 50.5%로 가장 많았고 1,050원 이상~1,100원 미만에서 형성될 것이라는 응답은 33.6%로 두 번째로 높았다. 2019년 평균 국제 유가는 2018년과 유사한 수준인 60달러 이상~70달러 미만을 예상한 기업은 57.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0달러 이상~60달러 미만을 예상한 기업은 22.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2019년 기업투자지수) 국내 주요 기업들의 2019년 투자 종합지수는 2018년 하반기 대비 하락했으며, 투자 실적을 나타내는 투자 추세지수를 제외하고 투자 심리, 투자 여건 지수 등 대부분 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투자 종합지수는 2018년 하반기 112.5p에서 2019년 107.4p로 하락했다. 산업별 지수를 살펴보면 철강, 정보통신(ICT) 산업의 투자지수가 140.0p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건설, 식음료 등의 투자지수는 산업 평균을 하회했다.
      ■ 시사점
      첫째, 대내외 경기 하방리스크에 대응하여 경제 펀더멘틀 강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경제 성장의 핵심인 산업 경쟁력 제고와 기업 투자 활성화를 통해 성장잠재력확충에 주력해야 한다. 셋째, 경제 정책에 대한 정부와 기업 간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정책의 효율성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