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메이지기 일본의 서양어 번역 -[economy]가 [경제]로 번역되기까지- = A Study of Translation in Meiji Period of Japan -Focused on the Term [econo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75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observe the process of translating [economy] into Japanese,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the modern western ideology. The term [economy] was first introduced to Japan in the 1860s through a Japanese-foreign language dictionary. From the late 1870s, there were discussions as to whether [經濟(Keizai)] is an appropriate translation for [economy], and from that [理財(Rizai)], became an influential word.
      From the late 1880s to the early 1890s [Keizai] and [Rizai] were both used as the translation word for [economy], but in the 1890s, [Keizai] was widely used and settled more than [Rizai]. The reason why [Keizai] could surpass [Rizai] was to achieve the mere goal of national development and to understand western capitalism.
      번역하기

      This study is aimed to observe the process of translating [economy] into Japanese,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the modern western ideology. The term [economy] was first introduced to Japan in the 1860s through a Japanese-foreign language dictionary...

      This study is aimed to observe the process of translating [economy] into Japanese,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the modern western ideology. The term [economy] was first introduced to Japan in the 1860s through a Japanese-foreign language dictionary. From the late 1870s, there were discussions as to whether [經濟(Keizai)] is an appropriate translation for [economy], and from that [理財(Rizai)], became an influential word.
      From the late 1880s to the early 1890s [Keizai] and [Rizai] were both used as the translation word for [economy], but in the 1890s, [Keizai] was widely used and settled more than [Rizai]. The reason why [Keizai] could surpass [Rizai] was to achieve the mere goal of national development and to understand western capital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경옥, "한국개화기 외래한자어 수용 연구" J&C 2003

      2 최경옥, "일본 근대 번역한자어의 성립과 한국 수용: right의 번역어 ‘權利’를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8 (8): 283-300, 2007

      3 최경옥, "번역과 일본의 근대" 살림출판사 2005

      4 최경옥, "메이지기의 번역어 성립과 한국 수용에 관하여-[個人]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61 (61): 341-358, 2007

      5 최경옥, "메이지기의 번역어 성립과 한국 수용 -nature가 자연(自然)으로 번역되기까지-" 한국일어일문학회 67 (67): 413-430, 2008

      6 최경옥, "메이지기의 번역어 성립과 한국 수용 -'obligation'이 '의무(義務)'로 번역되기까지-" 인문학연구소 65 : 55-82, 2009

      7 최경옥, "메이지기의 번역어 성립-사회, 자유를 중심으로-" 4 (4): 2006

      8 최경옥, "메이지기 일본의 서양 문명 수용과 번역" 한국번역학회 6 (6): 189-208, 2005

      9 森岡健二, "近代語の成立 明治期語彙編" 明治書院 1969

      10 佐藤亨, "近代語の成立" 櫻楓社 1992

      1 최경옥, "한국개화기 외래한자어 수용 연구" J&C 2003

      2 최경옥, "일본 근대 번역한자어의 성립과 한국 수용: right의 번역어 ‘權利’를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8 (8): 283-300, 2007

      3 최경옥, "번역과 일본의 근대" 살림출판사 2005

      4 최경옥, "메이지기의 번역어 성립과 한국 수용에 관하여-[個人]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61 (61): 341-358, 2007

      5 최경옥, "메이지기의 번역어 성립과 한국 수용 -nature가 자연(自然)으로 번역되기까지-" 한국일어일문학회 67 (67): 413-430, 2008

      6 최경옥, "메이지기의 번역어 성립과 한국 수용 -'obligation'이 '의무(義務)'로 번역되기까지-" 인문학연구소 65 : 55-82, 2009

      7 최경옥, "메이지기의 번역어 성립-사회, 자유를 중심으로-" 4 (4): 2006

      8 최경옥, "메이지기 일본의 서양 문명 수용과 번역" 한국번역학회 6 (6): 189-208, 2005

      9 森岡健二, "近代語の成立 明治期語彙編" 明治書院 1969

      10 佐藤亨, "近代語の成立" 櫻楓社 1992

      11 松井利彦, "近代漢語辭書の成立と展開" 笠間書院 1990

      12 梶原滉太, "近代漢語の變遷" 17 (17): 1998

      13 荒川淸秀, "近代日中學術用語の形成と傳播" 白帝社 1997

      14 杉原四郎, "西歐經濟學と日本近代" 未來社 1972

      15 大久保利謙, "西周全集 第2卷" 宗高書房 1971

      16 張嘉寧, "萬國公法の成立事情と飜譯問題 in : 日本近代思想大系15 飜譯の思想" 岩波書店 1991

      17 松井利彦, "漢譯萬國公法の熟字と近代日本漢語" 1985

      18 劉正埮, "漢語外來詞詞典" 上海辭書出版社 1984

      19 東京大學百年史編輯委員會, "東京大學百年史 第3編," 東京大學出版會 1987

      20 高野繁男, "明六雜誌語彙總索引" 大空社 1998

      21 明治文化硏究會編, "明治文化全集(第5卷 雜誌篇)" 日本評論社 1992

      22 樺島忠夫, "明治大正新語俗語辭典" 東京堂出版 1994

      23 杉山忠平, "明治啓蒙期の 經濟思想" 法政大學出版部 1986

      24 惣鄕正明, "明治のことば辭典" 東京堂出版 1986

      25 鈴木修次, "日本漢語と中國" 中央公論社 1981

      26 杉原四郎等, "日本の經濟思想四百年" 日本經濟評論社 1990

      27 馮天瑜, "新語探源-中西日文化互動與近代漢字術語生成" 中華書局 2004

      28 佐藤亨, "幕末 明治初期語彙の硏究" 櫻楓社 1986

      29 大駒誠日, "學問のすすめ・文明論之槪略・福翁自傳總文節索引" (6) : 1998

      30 實藤惠秀, "增補 中國人日本留學史" くろしろ出版 1970

      31 陳力衛, "和製漢語と語構成" 明治書院 2001

      32 野村雅昭, "二字漢語の構造" 1988

      33 Spiegel. H., "The Growth of Economic Thought" Duke University Press 1991

      34 Schumpeter. J., "History of Economic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5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3 0.34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