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백병부, "편입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졸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99-117, 2011
2 통계청, "통계청 2014년 고용동향 보도자료"
3 서울여자대학교, "취업신조어대백과"
4 이기종, "취업 및 미취업을 결정하는 요인 탐색" 26 (26): 17-37, 2006
5 남기연, "청소년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85-113, 2011
6 윤영란, "진로집단상담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4 (14): 125-143, 2008
7 류장수,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수도권대학 졸업생과의 비교" 한국노동경제학회 28 (28): 1-27, 2005
8 박시남,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행복 및 자기주도학습 간의 종단 관계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18): 103-128, 2015
9 홍세희,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교육과학사 2005
10 강병서, "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 2009
1 백병부, "편입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졸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99-117, 2011
2 통계청, "통계청 2014년 고용동향 보도자료"
3 서울여자대학교, "취업신조어대백과"
4 이기종, "취업 및 미취업을 결정하는 요인 탐색" 26 (26): 17-37, 2006
5 남기연, "청소년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85-113, 2011
6 윤영란, "진로집단상담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4 (14): 125-143, 2008
7 류장수,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수도권대학 졸업생과의 비교" 한국노동경제학회 28 (28): 1-27, 2005
8 박시남,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행복 및 자기주도학습 간의 종단 관계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18): 103-128, 2015
9 홍세희,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교육과학사 2005
10 강병서, "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 2009
11 진미석, "미래의 직업세계 2003: 대학재학생 희망직업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12 임천순, "대학졸업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과 취업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25, 2006
13 강원준,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분석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17-36, 2008
14 조규락, "대학의 취업준비생과 기업의 채용담당자가 인식하는 구직역량 차이 비교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16 (16): 157-185, 2014
15 오호영,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성과-지방대생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30 (30): 87-118, 2007
16 이장익,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27-246, 2012
17 강미영, "대학생의 취업준비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탐색행동, 스펙5종별 준비정도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18 김현동, "대학생의 취업선호도 결정요인 탐색" 185-199, 2011
19 신승원,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6 (16): 21-44, 2013
20 임옥진, "대학생의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33 (33): 19-49, 2012
21 이종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고용가능성에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215-245, 2013
22 장원섭, "대학생의 노동시장 준비 행동 변화에 대한 탐색" 한국직업교육학회 23 (23): 103-118, 2004
23 김은주,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201-212, 2012
24 진미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461-486, 2011
25 주무현, "대학생 직업선호 실태조사" 한국고용정보원 2008
26 김승태,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제도의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부학회 21 (21): 599-626, 2009
27 이영민, "대학생 선호직장의 취업 결정요인 분석: 취업준비행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3 (53): 337-374, 2014
28 장기영, "대학 졸업자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 결정요인 : 사회경제적 배경, 교육특성 및 이행준비 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29 정미경,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취업과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설정,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안암교육학회 19 (19): 123-144, 2013
30 노경란,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 참여 경험이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취업여부, 고용형태, 일자리 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학회 49 (49): 63-92, 2011
31 이영민, "대학 이공계열 전공 여학생의 취업준비행동 분석 -취업 후 고용형태와 근무기관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6 (6): 77-98, 2010
32 오세규, "대졸자의 취업확률 결정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33 서화정, "대졸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변인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34 박가열, "대졸자 취업 영향요인 분석" 3 (3): 29-59, 2009
35 채창균,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89-107, 2009
36 이규용,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3 (3): 69-94, 2003
37 황여정,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23, 2008
38 박성재, "대졸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실태와 성과" 한국인구학회 29 (29): 29-50, 2006
39 정철영, "농업계열 전문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3 (33): 1-22, 2001
40 최은수, "교육과 소득분배. 교육재정경제학 백과사전" 하우동설 2001
41 장원섭,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42 황규대, "고용면접의 구조와 과정" 오래 2010
43 김희삼, "고등교육의 노동시장 성과와 서열구조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07
44 박환보, "고등교육 보편화 이후 대졸자의 취업 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45 Maanen, V. J., "Toward of Theory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1 : 209-264, 1979
46 Biggeri, L., "The transition from university to work : A multileve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the time to obtain the first job" 164 (164): 293-305, 2001
47 Vondracek F. W., "The construct of identity and its use in career theory and research" 41 : 130-144, 1992
48 Bandura, A.,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1997
49 서혜선, "SPSS 회귀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2009
50 Dubois, D. D.,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RD Press Inc 1993
51 McAlpine, T. E., "College students and career: An exploration of vocational anticipatory socialization" Chapel Hill University 2008
52 Taylor, K. M.,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indecision" 22 : 63-81,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