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효능감, 직업기초역량교육 및 취업선호도가 대학졸업자의 취업 여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efficacy, Basic Job Competencies, and Job Preferences on Employment Probability of College Gradu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51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college graduates’ self-efficacy, basic job competencies, and job preferences affect employment probability. To achieve this, the 9th data of 2012 KEEP(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of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ere used, and 796 undergraduate students a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positive effects of ‘knowing what I like’ and ‘managing what I plan’ among self-efficacy variables on employment probability. In the second analysis in which basic job competencies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bilities for college major’ and abilities for English courses’ had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probability. In addition, ‘communicative skills’ and ‘analytical skills’ among competency variables developed at college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probability, whereas ‘problem-solving skills’ and ‘cooperative skills’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probability. This result implies that training for ‘problem-solving skills’ and ‘cooperative skills’ that college provides still are not effective enough to contribute to the employment probability.
      Finally, in terms of job preferences, ‘companies located in cities’, ‘companies that are not small and medium sized’, ‘public companies and public servants’, ‘job congruous with major’, ‘office job’, ‘socially unacknowledged companies’ and ‘inconvenient commut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ment probability. Results demonstrated in order to raise vocational achievement, it is important to examine psychological variables, career preparation, and basic job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aspec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college graduates’ self-efficacy, basic job competencies, and job preferences affect employment probability. To achieve this, the 9th data of 2012 KEEP(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of Korean Res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college graduates’ self-efficacy, basic job competencies, and job preferences affect employment probability. To achieve this, the 9th data of 2012 KEEP(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of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ere used, and 796 undergraduate students a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positive effects of ‘knowing what I like’ and ‘managing what I plan’ among self-efficacy variables on employment probability. In the second analysis in which basic job competencies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bilities for college major’ and abilities for English courses’ had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probability. In addition, ‘communicative skills’ and ‘analytical skills’ among competency variables developed at college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probability, whereas ‘problem-solving skills’ and ‘cooperative skills’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probability. This result implies that training for ‘problem-solving skills’ and ‘cooperative skills’ that college provides still are not effective enough to contribute to the employment probability.
      Finally, in terms of job preferences, ‘companies located in cities’, ‘companies that are not small and medium sized’, ‘public companies and public servants’, ‘job congruous with major’, ‘office job’, ‘socially unacknowledged companies’ and ‘inconvenient commut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ment probability. Results demonstrated in order to raise vocational achievement, it is important to examine psychological variables, career preparation, and basic job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asp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졸업자의 자기효능감, 직업기초역량교육 및 취업선호도가 취업 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그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의 9차년도(2012년 기준) 설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11학년도 2월에서 2012학년도 2월에 졸업한 졸업자 79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PSS(18)를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계층적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중 ‘좋아하는 일을 아는 것’과 ‘계획한 것을 잘하는 것’이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역량교육 중 ‘전공과목 능력’, ‘영어과목 능력’은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능력 형성 중 ‘의사소통 능력’과 ‘분석능력’은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문제해결 능력’ 및 ‘상호협력능력’은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에서 다루어진 문제해결 능력과 상호협력능력 형성이 취업 여부를 높이기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취업선호도에서는 ‘도시에 위치한 직장’, ‘중소기업이 아닌 회사’, ‘공기업 및 공무원’, ‘전공분야와 일치하는 일’, ‘사무직’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회사’, ‘대기업 및 외국계 기업이 아닌 회사’, ‘통근이 수월하지 않은 회사’ 등도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 졸업자의 취업 여부에는 개인의 심리적, 사회경제 배경이나 진로준비활동 및 직업기초역량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각기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취업선호도 및 노동시장의 맥락에 따라 각기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졸업자의 자기효능감, 직업기초역량교육 및 취업선호도가 취업 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그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을 달...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졸업자의 자기효능감, 직업기초역량교육 및 취업선호도가 취업 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그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의 9차년도(2012년 기준) 설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11학년도 2월에서 2012학년도 2월에 졸업한 졸업자 79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PSS(18)를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계층적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중 ‘좋아하는 일을 아는 것’과 ‘계획한 것을 잘하는 것’이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역량교육 중 ‘전공과목 능력’, ‘영어과목 능력’은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능력 형성 중 ‘의사소통 능력’과 ‘분석능력’은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문제해결 능력’ 및 ‘상호협력능력’은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에서 다루어진 문제해결 능력과 상호협력능력 형성이 취업 여부를 높이기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취업선호도에서는 ‘도시에 위치한 직장’, ‘중소기업이 아닌 회사’, ‘공기업 및 공무원’, ‘전공분야와 일치하는 일’, ‘사무직’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회사’, ‘대기업 및 외국계 기업이 아닌 회사’, ‘통근이 수월하지 않은 회사’ 등도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 졸업자의 취업 여부에는 개인의 심리적, 사회경제 배경이나 진로준비활동 및 직업기초역량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각기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취업선호도 및 노동시장의 맥락에 따라 각기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병부, "편입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졸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99-117, 2011

      2 통계청, "통계청 2014년 고용동향 보도자료"

      3 서울여자대학교, "취업신조어대백과"

      4 이기종, "취업 및 미취업을 결정하는 요인 탐색" 26 (26): 17-37, 2006

      5 남기연, "청소년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85-113, 2011

      6 윤영란, "진로집단상담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4 (14): 125-143, 2008

      7 류장수,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수도권대학 졸업생과의 비교" 한국노동경제학회 28 (28): 1-27, 2005

      8 박시남,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행복 및 자기주도학습 간의 종단 관계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18): 103-128, 2015

      9 홍세희,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교육과학사 2005

      10 강병서, "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 2009

      1 백병부, "편입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졸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99-117, 2011

      2 통계청, "통계청 2014년 고용동향 보도자료"

      3 서울여자대학교, "취업신조어대백과"

      4 이기종, "취업 및 미취업을 결정하는 요인 탐색" 26 (26): 17-37, 2006

      5 남기연, "청소년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85-113, 2011

      6 윤영란, "진로집단상담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4 (14): 125-143, 2008

      7 류장수,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수도권대학 졸업생과의 비교" 한국노동경제학회 28 (28): 1-27, 2005

      8 박시남,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행복 및 자기주도학습 간의 종단 관계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18): 103-128, 2015

      9 홍세희,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교육과학사 2005

      10 강병서, "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 2009

      11 진미석, "미래의 직업세계 2003: 대학재학생 희망직업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12 임천순, "대학졸업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과 취업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25, 2006

      13 강원준,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분석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17-36, 2008

      14 조규락, "대학의 취업준비생과 기업의 채용담당자가 인식하는 구직역량 차이 비교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16 (16): 157-185, 2014

      15 오호영,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성과-지방대생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30 (30): 87-118, 2007

      16 이장익,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27-246, 2012

      17 강미영, "대학생의 취업준비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탐색행동, 스펙5종별 준비정도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18 김현동, "대학생의 취업선호도 결정요인 탐색" 185-199, 2011

      19 신승원,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6 (16): 21-44, 2013

      20 임옥진, "대학생의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33 (33): 19-49, 2012

      21 이종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고용가능성에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215-245, 2013

      22 장원섭, "대학생의 노동시장 준비 행동 변화에 대한 탐색" 한국직업교육학회 23 (23): 103-118, 2004

      23 김은주,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201-212, 2012

      24 진미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461-486, 2011

      25 주무현, "대학생 직업선호 실태조사" 한국고용정보원 2008

      26 김승태,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제도의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부학회 21 (21): 599-626, 2009

      27 이영민, "대학생 선호직장의 취업 결정요인 분석: 취업준비행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3 (53): 337-374, 2014

      28 장기영, "대학 졸업자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 결정요인 : 사회경제적 배경, 교육특성 및 이행준비 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29 정미경,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취업과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설정,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안암교육학회 19 (19): 123-144, 2013

      30 노경란,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 참여 경험이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취업여부, 고용형태, 일자리 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학회 49 (49): 63-92, 2011

      31 이영민, "대학 이공계열 전공 여학생의 취업준비행동 분석 -취업 후 고용형태와 근무기관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6 (6): 77-98, 2010

      32 오세규, "대졸자의 취업확률 결정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33 서화정, "대졸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변인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34 박가열, "대졸자 취업 영향요인 분석" 3 (3): 29-59, 2009

      35 채창균,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89-107, 2009

      36 이규용,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3 (3): 69-94, 2003

      37 황여정,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23, 2008

      38 박성재, "대졸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실태와 성과" 한국인구학회 29 (29): 29-50, 2006

      39 정철영, "농업계열 전문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3 (33): 1-22, 2001

      40 최은수, "교육과 소득분배. 교육재정경제학 백과사전" 하우동설 2001

      41 장원섭,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42 황규대, "고용면접의 구조와 과정" 오래 2010

      43 김희삼, "고등교육의 노동시장 성과와 서열구조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07

      44 박환보, "고등교육 보편화 이후 대졸자의 취업 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45 Maanen, V. J., "Toward of Theory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1 : 209-264, 1979

      46 Biggeri, L., "The transition from university to work : A multileve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the time to obtain the first job" 164 (164): 293-305, 2001

      47 Vondracek F. W., "The construct of identity and its use in career theory and research" 41 : 130-144, 1992

      48 Bandura, A.,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1997

      49 서혜선, "SPSS 회귀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2009

      50 Dubois, D. D.,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RD Press Inc 1993

      51 McAlpine, T. E., "College students and career: An exploration of vocational anticipatory socialization" Chapel Hill University 2008

      52 Taylor, K. M.,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indecision" 22 : 63-81,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