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of Korean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6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over degree of physical activity among elderly in Korea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tendency to activity. For the study, it targeted 1293 elderly persons whose ages were above 65 for a final analysis except data whose p...

      This study aims to discover degree of physical activity among elderly in Korea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tendency to activity. For the study, it targeted 1293 elderly persons whose ages were above 65 for a final analysis except data whose physical activities related factors could not be evaluated from the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There was a difference in Gender(χ2=25.06, p〈.001), Age(t=5.56, p〈.001), City Size(χ2=35.78, p〈.001), Education(t=-7.45, p〈.001), Health condition(t=6.12, p〈.001), EQ-5D(t=-10.08, p〈.001), PHQ-9(t=6.23, p〈.001) and The sum chronic diseases(t=2.51, p=.01)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The above mentioned dependent factors were explicable causes of 15.4% of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regression model. Significantly predictors are age, education, EQ-5D. The further studies dealing with more factors, ranges and periods are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와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에서 성실히 답한 자료만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와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에서 성실히 답한 자료만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수는 1293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로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신체활동 관련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대상자 중 신체활동군과 비활동군 간의 일반적 특성 및 신체활동 관련 특성에 대한 차이의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과 t-test로 분석하였다. 신체활동 여부에 따라 성별(χ2=25.06, p〈.001), 나이(t=5.56, p〈.001), 도시크기(χ2=35.78, p〈.001), 교육(t=-7.45, p〈.001), 건강상태(t=6.12, p〈.001), 삶의 질(t=-10.08, p〈.001), 우울(t=6.23, p〈.001), 만성질환의 합(t=2.51, p=.01)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들 변수를 이용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의 신체활동은 나이, 교육수준, 삶의 질(EQ-5D)에 의해 15.4% 예측되어졌다. 추후 좀 더 다양한 요인과의 분석과 다양한 기간을 두고 분석하는 다면적 연구 및 운동기간과의 연구 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연환, "복지관 이용 노인의 신체활동과 수면" 한국간호과학회 37 (37): 5-13, 2007

      2 Aronson, R. E., "Views on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dwelling senior citizens" 20 : 76-79, 2004

      3 Wilcox, S., "Psychosocial and perceive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rural and older african american and white women" 58 : 329-337, 2003

      4 Wilcox, S., "Psychosocial and perceive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rural and older african american and white women" 58 : 329-337, 2003

      5 Browning, C.,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 in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38 : 8-17, 2009

      6 Arcury, T. A.,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older adults with diabetes" 22 : 164-168, 2006

      7 Arcury, T. A.,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 older adults with diabetes" 22 : 164-168, 2006

      8 Posner, J. D., "Low to moderate intensity endurance training in healthy older adults: Physiologic responses after four months" 40 : 1-7, 1992

      9 Plonczynski, D. J., "Lifestyle physical activity of older rural women" 31 : 501-513, 2008

      10 Sanderson, B., "Environmental policy,and cultural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 African American women" 36 : 75-90, 2002

      1 박연환, "복지관 이용 노인의 신체활동과 수면" 한국간호과학회 37 (37): 5-13, 2007

      2 Aronson, R. E., "Views on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dwelling senior citizens" 20 : 76-79, 2004

      3 Wilcox, S., "Psychosocial and perceive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rural and older african american and white women" 58 : 329-337, 2003

      4 Wilcox, S., "Psychosocial and perceive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rural and older african american and white women" 58 : 329-337, 2003

      5 Browning, C.,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 in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38 : 8-17, 2009

      6 Arcury, T. A.,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older adults with diabetes" 22 : 164-168, 2006

      7 Arcury, T. A.,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 older adults with diabetes" 22 : 164-168, 2006

      8 Posner, J. D., "Low to moderate intensity endurance training in healthy older adults: Physiologic responses after four months" 40 : 1-7, 1992

      9 Plonczynski, D. J., "Lifestyle physical activity of older rural women" 31 : 501-513, 2008

      10 Sanderson, B., "Environmental policy,and cultural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 African American women" 36 : 75-90, 2002

      11 Pullen, C., "Determinants of preventive services utilization in rural older women" 27 : 40-51, 2001

      12 Pullen, C., "Determinants of preventive services utilization in rural older women" 27 : 40-51, 2001

      13 Kaplan, M. S.,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late life" 21 : 306-312, 2001

      14 Yun, S. N., "A survey of physical activities and exercise program of the public health centers" 16 : 148-164,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