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太宰治 문학에 나타난 女性像 : ヴィヨンの 妻를 중심으로 = (An) Image of Women appeared in <Dazai Osamu> literature : centering on the 「ヴィヨンの 妻」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079910

      • 저자
      • 발행사항

        제주 :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일어교육전공 , 2001. 8

      • 발행연도

        200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33.6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제주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iii, 58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53-56

      • 소장기관
        • 용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자이의 삶과 문학의 출발점인 동시에 귀착점이였던 「여성」(혹은 「모성」), 「가정」의 문제는 <선택받은 자의 황홀과 불안>이라는 다자이의 굴절된 근원의식과의 연관되어 평생 ...

      다자이의 삶과 문학의 출발점인 동시에 귀착점이였던 「여성」(혹은 「모성」), 「가정」의 문제는 <선택받은 자의 황홀과 불안>이라는 다자이의 굴절된 근원의식과의 연관되어 평생 그와 밀착해 있었다. 따라서 다자이 문학의 기조를 이루는 이러한 문제는 그의 문학의 비밀을 푸는 키워드 구실을 할 수 있다고 본다.
      그의 문학 속에 담겨져 있는 인간의 내면세계 및 외계에 대한 인간의 반응과 저항의 실상을 탐구해 보기 위한 기초작업의 일환으로 본고에서는 우선 인간존재의 근원적인 것이 될 수 있으며, 남성의 기본적인 의식구조의 한 중요한 대목이라 할 수 있는 「여성」, 특히 전후에 변화하는 그의 여성상에 시점을 모아서 살펴보았다. 우선 다자이 문학 속에 나타난 여성상을 세 유형으로 분류하여 다자이의 문학 속의 여성상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한 후에, 戰後 다자이의 여성독백체의 최고걸작으로 평가받는 「ヴィヨンの妻」를 중심으로, 그 속에 나타난 여성상을 고찰하고, 동시대에 창작된 「父」(1947), 「おさん」(1947), 「櫻桃」(1948), 「家庭の幸福」(1948) 속에 나타난 여성상과 후기 다자이 문학의 특질을 살펴보았다.
      다자이는 생가의 영광과 수치를 그 인생과 문학에 공존병립 시킴으로서 평생 황홀과 불안의 갈등에 사로잡혀 있었으며, 유년기의 특이한 성장과정과 가정의 환경에 기인한 <母戀い>의 정신풍토는 특유의 여성관 및 가정관을 갖게 하였고 그것은 그로 하여금 모성을 다른 사람보다도 많이 갈구하게 했다.
      그러나 이러한 작가의 정신풍토는 중기를 지나 후기에 들어서면서 패전이라는 시대적 상황과 부딪치자, 황량한 자학의 마음을 갖게 되고 자기존립의 기반을 상실해 버린다. <여성독백체>로 쓰여진 일련의 작품들 중에서 평온과 안식 주는 모성적인 존재로서의 여성과는 달리, 「男女同權」이나 「カチカチ山」 등에서는 혹독하고 박정하며 잔인한 불가해한 여성들이 희극적이고도 위압적으로 그려졌다.
      그리고 전후, 특히 작가의 죽음을 앞둔 얼마 전부터 기성의 윤리와 도덕을 파괴하고 무변무한한 자연과 같은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 도덕혁명을 주장하고 나선 여성과, <가정>이 붕괴된 상황에서 강인한 생명력을 갖는 새로운 여성을 그린 작품이 나타난다. 인간의 삶 속에 인위적인 일체의 중압감과 구속으로부터 해방되어 절대자유의 경지를 구현하기 위한 도덕혁명을 일으키는 「斜陽」의 가즈코, 신의 존재, 죄의식, 전후 현실에 대한 고뇌 속에서 가정에서 이탈하여 거리에서 헤매는 무뢰한 남편과는 대조적으로 과장된 행동도, 심각한 표정도 없이 내일의 일을 근심하지 않고 세상의 윤리와 도덕, 풍습에 조금도 구애되지 않는 체념에 가까운 강인함을 보여 준 「ヴィヨンの妻」의 아내는 새로운 타입의 여성상이라 할 수 있다. 이후의 일련의 여성독백체의 여성들도 「ヴィヨンの妻」의 아내와 같이 새털처럼 가볍게 현실의 무게, 삶의 무게를 털어 버린 경지에 이른 모습을 보여준다. 이에 반해 그녀들의 남편들은 가정을 두려워하고 항상 밖에 머물며, 현실에 안착하지 못한 채 시대와 존재에 고뇌하고 방황한 끝에 결국 죽음으로 치닫는다. 이렇게 전후 다자이의 문학에는 <가정>, <집>을 구심으로 하는 윤리도덕을 파괴하거나, 그것이 붕괴된 상황에서 새로운 행복을 구하는 신형의 여성상의 조형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다자이는 기성의 윤리도덕의 핵심인 가정을 저버리지 못하는, 누구보다도 예민한 윤리감각의 소유자였다. 그러한 점을 감안할 때 다자이는 새로운 윤리와 기존의 윤리의 사이에서 갈등과 고뇌 끝에, 그리고 전후사회에 대한 절망 끝에 자신의 생과 문학을 자살로 마감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blems of 「Woman」(or「Maternity」) and 「home」, which were the returning point at the same time the starting point of Dazai's life and literature, were closely related to his whole life in connection with his reflected conscious of the orig...

      Problems of 「Woman」(or「Maternity」) and 「home」, which were the returning point at the same time the starting point of Dazai's life and literature, were closely related to his whole life in connection with his reflected conscious of the origin, <The anxiety and ecstasy of a selected person>. Therefore, these problems which were the basis of his literature were the keyword to reveal the secret of his literature.
      As one way of basic work for exploring the real aspects of resistance and reaction of human about the inner world and the external world in his literature, this study reviewed 「Women」 which was one important part of basic conscious structure of man, especially focusing on the viewpoint of his image of woman which began to change postwar. First of all, after classifying the image of woman appeared in his literature into three types and grasping the whole stream about it, it reviewed the image of woman around the 「ヴィヨンの妻」 which was valued as the masterpiece of woman monologue style after the war. Also it reviewed the image of woman appeared in 「Father」(1947), 「おさん」(1947), 「櫻桃」(1948), and 「家庭の幸福」(1948) created in the same age, and the characteristic of his post literature.
      By coexisting the glory and shame of his birth-home in his life and literature, he was captivated by ecstasy and conflict of anxiety all his life. His mental climate of <母戀い> due to peculiar growth background and his home environment resulted in peculiar value of woman and home. It led to long for maternity than other people.
      However, entering to the post period and experiencing a failure in war which was a situation of the times, his mental climate had desolate self-torture mind and lost the basis of his existence. On the works written woman monologue style, unlike the maternal existence to give peace and comfort, woman was described overbearingly and farcically as a stern and miserable existence in the 「男女同權」 and 「カチカチ山」. After postwar, especially before a few days of his death, two kinds of women were described in his works. One was a woman who destroyed existed ethics and moral, and insisted on moral revolution in order to live free life like unchanged and definite nature. The other was a woman who had strong life force when the <home> was collapsed. On the contrary to a vagrant husband who roam around the streets escaping from the home in the suffering on the real life of postwar, guilty conscious, existence of God, and Gazko of 「斜陽」 which rise the moral revolu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absolute freedom escaping from the restriction and artificial pressures in human life, a wife of 「ヴィヨンの妻」 was an image of woman of new type in which she showed strongness close to the resignation not adhering to ethics, moral, and customs and not showing the worries about the future without serious facial expressions and exaggerated behavior. Since then, women of woman monologue style also showed an appearance who threw away easily the weight of life like a feather and a wife of 「ヴィヨンの妻」. On the other hands, their husbands eventually became to die suffering form the times and existence and wandering because they were afraid of home, always stayed outside, and could not reach the real life. His literature in postwar came to reach the modeling of an image of woman in which it destroyed ethic moral around the <home> and <house>, and reached new happiness under its collapsed situation. However, he was an owner of sensitive ethic sense not giving up the home which is the essence of ethic moral. Considering it, because of suffering, conflicting between new ethics and old ethics, and despairing on the postwar society, it assumed that he ended his life and literature with suicid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I. 서론 = 1
      • II. 다자이의 문학에 나타난 여성상 = 6
      • 1) 모성적 여성상 = 7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I. 서론 = 1
      • II. 다자이의 문학에 나타난 여성상 = 6
      • 1) 모성적 여성상 = 7
      • 2) 잔인한 여성상 = 13
      • 3) 강인한 여성 = 15
      • 4) 기타 여성상 = 19
      • III. 「ヴィヨンの妻」에 나타난 여성상 = 22
      • 1) 남편像 = 26
      • 2) 아내像 = 36
      • IV. 다자이 후기소설에 나타난 여성상 = 45
      • V. 결론 = 50
      • 參考文獻 = 53
      • 〈Abstract〉 =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