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셜 파워 관점에서 본 종교의 정치적 역할과 과제 = Religion’s Political Role and Challenges in terms of the Social Power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26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he principle of separation and non-interference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is ideal, it is also an undeniable problem that politics and religion are interrelated in forming the basic philosophy and ideology of civil society. Also,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n Korea, religion cannot be ignored because of its many connections to politics. Looking back at the political history of Korea, it is especially true that previous governments before democratization tried to gain political support through the use or control of religion.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role of religion after the Korean War in relation to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intends to discuss the recent importance of religion’s political role and the political role and tasks of relig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power’.
      번역하기

      Although the principle of separation and non-interference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is ideal, it is also an undeniable problem that politics and religion are interrelated in forming the basic philosophy and ideology of civil society. Also, in the ...

      Although the principle of separation and non-interference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is ideal, it is also an undeniable problem that politics and religion are interrelated in forming the basic philosophy and ideology of civil society. Also,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n Korea, religion cannot be ignored because of its many connections to politics. Looking back at the political history of Korea, it is especially true that previous governments before democratization tried to gain political support through the use or control of religion.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role of religion after the Korean War in relation to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intends to discuss the recent importance of religion’s political role and the political role and tasks of relig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pow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치와 종교가 상호 분리, 불간섭 원칙을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정치와 종교가 시민사회의 기본 철학과 이념을 형성하는데 상호연관성을 띠고 영향을 미쳐왔다는 것 역시 부정할 수 없는 문제이다. 또한,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도 종교가 정치와 많은 연관을 맺어왔다는 사실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한국의 정치역사에 있어 민주화 이전의 역대 정부들은 종교의 역할을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종교를 정권의 통제하에 두고 정치적 지지를 얻고자 노력했다. 본 논문은 한국전쟁 이후 종교의 정치적 역할을 대선과 관련지어 살펴보고, 최근 종교의 정치적 역할의 비중과 ‘소셜 파워(Social Power)’의 관점에서 종교의 정치적 역할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정치와 종교가 상호 분리, 불간섭 원칙을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정치와 종교가 시민사회의 기본 철학과 이념을 형성하는데 상호연관성을 띠고 영향을 미쳐왔다는 것 역...

      정치와 종교가 상호 분리, 불간섭 원칙을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정치와 종교가 시민사회의 기본 철학과 이념을 형성하는데 상호연관성을 띠고 영향을 미쳐왔다는 것 역시 부정할 수 없는 문제이다. 또한,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도 종교가 정치와 많은 연관을 맺어왔다는 사실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한국의 정치역사에 있어 민주화 이전의 역대 정부들은 종교의 역할을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종교를 정권의 통제하에 두고 정치적 지지를 얻고자 노력했다. 본 논문은 한국전쟁 이후 종교의 정치적 역할을 대선과 관련지어 살펴보고, 최근 종교의 정치적 역할의 비중과 ‘소셜 파워(Social Power)’의 관점에서 종교의 정치적 역할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태식,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정치적 위치와 역할"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5 (25): 63-85, 2011

      2 송운석 ; 김경태, "해방이후 한국 정치와 종교 간의 전략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35) : 337-361, 2014

      3 한국갤럽조사연구소, "한국인의 종교(1984-2021)"

      4 전명수, "한국 종교와 정치의 관계-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6 (16): 75-101, 2013

      5 전명수, "종교의 정치참여에 대한 일 고찰 - 한국의 종교와 정치발전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7 (17): 31-56, 2014

      6 김은영, "종교와 자살테러에 대한 지지의 관계분석: 이집트, 파키스탄, 모로코의 사회조사데이터를 근거로" 한국경호경비학회 (43) : 37-66, 2015

      7 한국갤럽조사연구소, "제20대 대통령선거 사후 조사"

      8 이진구, "역대 대통령 선거와 종교 문제" 758 : 2022

      9 최현종, "선거의 독립변수로서의 종교적 요인" 종교문제연구소 (24) : 121-147, 2013

      10 로버트 N. 벨라, "사회변동의 상징구조" 삼영사 1981

      1 정태식,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정치적 위치와 역할"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5 (25): 63-85, 2011

      2 송운석 ; 김경태, "해방이후 한국 정치와 종교 간의 전략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35) : 337-361, 2014

      3 한국갤럽조사연구소, "한국인의 종교(1984-2021)"

      4 전명수, "한국 종교와 정치의 관계-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6 (16): 75-101, 2013

      5 전명수, "종교의 정치참여에 대한 일 고찰 - 한국의 종교와 정치발전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7 (17): 31-56, 2014

      6 김은영, "종교와 자살테러에 대한 지지의 관계분석: 이집트, 파키스탄, 모로코의 사회조사데이터를 근거로" 한국경호경비학회 (43) : 37-66, 2015

      7 한국갤럽조사연구소, "제20대 대통령선거 사후 조사"

      8 이진구, "역대 대통령 선거와 종교 문제" 758 : 2022

      9 최현종, "선거의 독립변수로서의 종교적 요인" 종교문제연구소 (24) : 121-147, 2013

      10 로버트 N. 벨라, "사회변동의 상징구조" 삼영사 1981

      11 정재영, "미디어 속의 18대 대통령선거와 종교" 2012

      12 Nye, Joseph S, "Soft power" 80 : 1990

      13 Ham, Peter van, "Social Power in International Politics" Routledge 2010

      14 Nye, Joseph S, "Power and Foreign Policy" 4 (4): 2011

      15 Jervis, Robert, "Perception and Mispercept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6

      16 이소영, "2016 미국 대선과 미국사회의 균열"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2 (22): 39-82,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