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구 김광석길의 장소 형성과 도시재생 : 지역 예술가의 경험을 중심으로 = Place Formation and Urban Regeneration in Daegu Kim Gwang-Seok Street: With a focus on the Experiences of Local artis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98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구 김광석 다시 그리기길(이하 김광석길)의 형성과정에 참여한 지역 예술가들의 인식과 활동에서 드러나는 특징적 양상과 김광석길의 장소 변화 사이의 관계를 파악해보는 데 ...

      이 연구는 대구 김광석 다시 그리기길(이하 김광석길)의 형성과정에 참여한 지역 예술가들의 인식과 활동에서 드러나는 특징적 양상과 김광석길의 장소 변화 사이의 관계를 파악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김광석길을 낙후한 도시공간의 물리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기능을 회복하고 새로운 기능을 창출하여 재활성화하는 도시재생의 개념 속에서 이해한다. 김광석길을 연구 사례로 선택한 이유는 이곳이 대구 지역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동시에 도심 속에 새롭게 만들어진 장소로서의 각종 문제점과 모순적인 현상이 압축적으로 드러나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김광석길에 대한 접근은 결과론적인 측면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나기 전후의 경제적, 경관적 변화를 살펴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장소 형성에 관여한 주체의 경험을 통해 장소(Place)가 고정되거나 완전한 형태가 아니라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과정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김광석길 형성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지역 예술가들을 장소 형성의 주체로 설정하여 그들이 어떤 논리와 전략을 펼쳤는지를 살펴본다. 다양한 욕구와 의도가 반영된 장소 형성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도시재생 맥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의 근본적인 원인과 배경을 파악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local artists who with their specific perspective participate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Kim Gwang- Seok Re-drawing/missing Street in Daegu(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local artists who with their specific perspective participate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Kim Gwang- Seok Re-drawing/missing Street in Daegu(hereafter Kim Gwang-Seok Street) and the changes in the place of that street. In this study, Kim Gwang-Seok Street is understood in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by restoring the phys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of the underdeveloped urban space and creating new functions to revitalizing. The reason why Kim Gwang-Seok Street was chosen as a research case is that it is a representative tourist attraction in Daegu and also a newly created place where various problems and contradictory phenomena are compressed in the city center. Until now, the approach to Kim Gwang-Seok Street has tended to consider economic and landscape changes before and after gentrification from the consequential aspects.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the subject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Kim Gwang-Seok Street is to confirm that the place is not a fixed or complete form but a process created through interaction with people. Particularly this study set the local artists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ormation of Kim Gwang-Seok Street as the subject of place formation and examine their perspective such as logic and strategy especially practice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By examining specific case of place formation that reflect various needs and intentions,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fundamental causes and backgrounds of various problems arising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Ⅱ. 도시재생과 전통시장의 활성화 Ⅲ. 김광석길 형성과정과 지역 예술가 Ⅳ. 지역 예술가의 장소 만들기 전략과 특징 Ⅴ. 나가며: 변화와 공존의 장소 만들기
      • Ⅰ. 들어가며 Ⅱ. 도시재생과 전통시장의 활성화 Ⅲ. 김광석길 형성과정과 지역 예술가 Ⅳ. 지역 예술가의 장소 만들기 전략과 특징 Ⅴ. 나가며: 변화와 공존의 장소 만들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천,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1-22, 2013

      2 이창훈, "전통시장 중심의 공공미술 프로젝트와 ‘공동체’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2015

      3 박봉두, "재래시장 경쟁력 구성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12 (12): 2007

      4 박경섭, "예술은 시장을 구할 수 있는가?: 광주광역시 대인시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5.18연구소 12 (12): 85-119, 2012

      5 김동완, "예술 주도 도시재생의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 연구: 런던 혹스턴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과 예술가 지원 플랫폼을 사례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209-234, 2019

      6 김동영, "신예술가집단의 라이프스타일과 도심 활성화: 전주 한옥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44 (44): 3-36, 2011

      7 방천시장 문전성시사무국, "시장이 시작이다" 디자인플랜 2011

      8 박경섭, "시장과 예술 : 공공성과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구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9 방천시장 예술프로젝트 운영위원회, "방천시장 예술프로젝트" 방천시장 예술프로젝트 운영위원회 2009

      10 최승연, "뮤지컬로 돌아온 ‘김광석(들)’과 복고의 경제학" 대중서사학회 20 (20): 139-186, 2014

      1 김혜천,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1-22, 2013

      2 이창훈, "전통시장 중심의 공공미술 프로젝트와 ‘공동체’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2015

      3 박봉두, "재래시장 경쟁력 구성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12 (12): 2007

      4 박경섭, "예술은 시장을 구할 수 있는가?: 광주광역시 대인시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5.18연구소 12 (12): 85-119, 2012

      5 김동완, "예술 주도 도시재생의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 연구: 런던 혹스턴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과 예술가 지원 플랫폼을 사례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209-234, 2019

      6 김동영, "신예술가집단의 라이프스타일과 도심 활성화: 전주 한옥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44 (44): 3-36, 2011

      7 방천시장 문전성시사무국, "시장이 시작이다" 디자인플랜 2011

      8 박경섭, "시장과 예술 : 공공성과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구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9 방천시장 예술프로젝트 운영위원회, "방천시장 예술프로젝트" 방천시장 예술프로젝트 운영위원회 2009

      10 최승연, "뮤지컬로 돌아온 ‘김광석(들)’과 복고의 경제학" 대중서사학회 20 (20): 139-186, 2014

      11 우주희,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12 문재원, "로컬서사 구성과 미학적 실천 - 광주 대인시장을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60) : 339-371, 2017

      13 도시재생사업단, "도시재생사업단"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7

      14 장브리가, "대구지역 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37 (37): 2017

      15 이주현, "대구 방천시장 문전성시사업에 대한 문화정치론적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16 대구광역시 중구 관광개발과, "김광석다시그리기길 벽화・조형물 설치 계획 2.0" 2014

      17 김유신, "김광석길의 형성과정과 그 장소성의 창출" 영남대학교 2019

      18 이윤옥, "김광석 평전" 세창미디어 2009

      19 전경숙, "광주시 대인예술시장 프로젝트와 지속가능한 도시 재생" 한국도시지리학회 19 (19): 43-58, 2016

      20 윤순영, "골목, 별이 되다" 고문당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97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