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코로나19시대 중국가정의 가족커뮤니케이션 및 가족기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624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0년 3월 11일에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해서 세계적 대유행인 팬데믹(pandemic)을 선언했다. 세계 각국은 입국을 제한하고 국경폐쇄나 격리조치를 시행하게 되었다. 중국은 2019년 12월부터 후베이성 및 전국 기타 지역에서 코로나19가 계속 발견되었고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자택 격리조치를 시행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은 개인의 활동을 위축시키고 사람과의 대면접촉을 제한함으로 인해 개인 여가활동에 제약이 되었고 여가 패턴은 가족 단위의 여가활동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코로나19 시대의 상황에서 Bowen의 가족체계이론 관점에서 본 Olson(1985)의 복합순환모델을 적용하여 중국가정의 가족커뮤니케이션 및 가족기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의 4대 도시인 1선 도시(북경, 상해, 광주, 선전)에 거주하는 20대 연령층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무작위표본추출법(random sampling method)의 의해 총 608명의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가족커뮤니케이션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는 대화지향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는 통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순응지향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기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는 가족응집력 및 가족적응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는 통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코로나19 시대 중국 20대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커뮤니케이션과 가족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족여가를 많이 참여해야 한다.
      번역하기

      2020년 3월 11일에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해서 세계적 대유행인 팬데믹(pandemic)을 선언했다. 세계 각국은 입국을 제한하고 국경폐쇄나 격리조치를 시...

      2020년 3월 11일에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해서 세계적 대유행인 팬데믹(pandemic)을 선언했다. 세계 각국은 입국을 제한하고 국경폐쇄나 격리조치를 시행하게 되었다. 중국은 2019년 12월부터 후베이성 및 전국 기타 지역에서 코로나19가 계속 발견되었고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자택 격리조치를 시행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은 개인의 활동을 위축시키고 사람과의 대면접촉을 제한함으로 인해 개인 여가활동에 제약이 되었고 여가 패턴은 가족 단위의 여가활동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코로나19 시대의 상황에서 Bowen의 가족체계이론 관점에서 본 Olson(1985)의 복합순환모델을 적용하여 중국가정의 가족커뮤니케이션 및 가족기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의 4대 도시인 1선 도시(북경, 상해, 광주, 선전)에 거주하는 20대 연령층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무작위표본추출법(random sampling method)의 의해 총 608명의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가족커뮤니케이션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는 대화지향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는 통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순응지향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기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는 가족응집력 및 가족적응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는 통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코로나19 시대 중국 20대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커뮤니케이션과 가족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족여가를 많이 참여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nounced a pandemic of COVID-19 on March 11, 2020. (COVID-19). From then on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throughout the globe have enforced entrance restrictions, border closures, and quarantine procedures. Since December 2019, COVID-19 has been discovered in Hubei Province and other regions of China, and the Chinese government has enacted countrywide home quarantine measures to limit the disease's spread. The COVID-19-caused social distancing strategy was limited to individual leisure activities by reducing individual activities and prohibiting face-to-face interaction with individuals, and the leisure pattern was shifted to family-level leisure.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era, a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leis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family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Chinese families, using Olson (1985)'s complex circulation model and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A total of 608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by random sampling from the 20-year-old population of the four largest cities in China (Beijing, Shanghai, Gwangju, and Shenzhen). SPSS 26.0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ion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is study methodolog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One result is that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leisure, family communication, and life happiness revealed that family leisure statistical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 orientation and life contentment. In contrast,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family leisure and conformance orientation and life happiness. Another consequence of evalu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leisure, it was discovered that family leisure had a statistically moderating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hesiveness, family adap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To summarize the above findings,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 happiness of Chinese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during the COVID-19 era, they must engage in a great deal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that have a favorable impact on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s.
      번역하기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nounced a pandemic of COVID-19 on March 11, 2020. (COVID-19). From then on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throughout the globe have enforced entrance restrictions, border closures, and quarantine procedures. 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nounced a pandemic of COVID-19 on March 11, 2020. (COVID-19). From then on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throughout the globe have enforced entrance restrictions, border closures, and quarantine procedures. Since December 2019, COVID-19 has been discovered in Hubei Province and other regions of China, and the Chinese government has enacted countrywide home quarantine measures to limit the disease's spread. The COVID-19-caused social distancing strategy was limited to individual leisure activities by reducing individual activities and prohibiting face-to-face interaction with individuals, and the leisure pattern was shifted to family-level leisure.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era, a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leis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family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Chinese families, using Olson (1985)'s complex circulation model and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A total of 608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by random sampling from the 20-year-old population of the four largest cities in China (Beijing, Shanghai, Gwangju, and Shenzhen). SPSS 26.0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ion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is study methodolog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One result is that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leisure, family communication, and life happiness revealed that family leisure statistical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 orientation and life contentment. In contrast,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family leisure and conformance orientation and life happiness. Another consequence of evalu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leisure, it was discovered that family leisure had a statistically moderating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hesiveness, family adap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To summarize the above findings,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 happiness of Chinese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during the COVID-19 era, they must engage in a great deal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that have a favorable impact on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가설 4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가설 4
      • 4. 용어의 정의 6
      • 5. 연구의 제한점 7
      • Ⅱ. 이론적 배경 8
      • 1. Bowen의 가족체계이론 8
      • 1) 가족의 이해 8
      • 2) 가족체계이론의 이해 10
      • 3) 가족체계이론의 핵심개념 11
      • 4) 가족체계이론 모델 : Olson의 복합순환모델 14
      • 2. 가족여가 16
      • 1) 가족여가의 개념 16
      • 2) 가족여가의 의의 18
      • 3) 가족여가의 기능 19
      • 4) 가족여가의 활동유형 20
      • 5) 가족여가활동 관련 선행연구 23
      • 3. 가족커뮤니케이션 25
      • 1) 가족커뮤니케이션 개념 25
      • 2) 가족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25
      • 3) 가족커뮤니케이션 유형 27
      • 4) 가족커뮤니케이션 관련 선행연구 31
      • 4. 가족기능 32
      • 1) 가족기능의 개념 32
      • 2) 가족응집력 34
      • 3) 가족적응력 36
      • 4) 가족기능 관련 선행연구 38
      • 5. 생활만족도 40
      • 1) 생활만족도 개념 40
      • 2) 생활만족도 관련 이론 43
      • 3) 생활만족도 관련 선행연구 44
      • Ⅲ. 연구방법 46
      • 1. 연구대상 46
      • 2. 조사도구 47
      • 3.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50
      • 4. 자료처리방법 53
      • Ⅳ. 연구결과 54
      • 1. 측정변수의 기술통계량 54
      • 2. 중국가정의 가족여가, 가족커뮤니케이션, 가족기능, 생활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54
      • 3. 코로나19시대 중국가정의 가족커뮤니케이션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 55
      • 1) 대화지향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 55
      • 2) 순응지향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 56
      • 4. 코로나19시대 중국가정의 가족기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 57
      • 1) 가족응집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 57
      • 2) 가족적응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 58
      • Ⅴ. 논의 60
      • 1. 가족커뮤니케이션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 61
      • 2. 가족기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여가의 조절효과 62
      • Ⅵ. 결론 및 제언 65
      • 1. 결론 65
      • 2. 제언 66
      • 참고문헌 67
      • <부록> 89
      • 부록 1. 설문지(한국어) 89
      • 부록 2. 설문지(중국어) 9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家庭管理学, 장명욱, 教文社,서울, , 1991

      2. 생활시간연구, 문숙재, 서울: 학지사, , 1996

      3. Subjective Well-being, Diener, 95(3), 542-575, , 1984

      4. 여가와 대중매체, 이효성, 사회과학 제36권(2), 95-129, , 1997

      5. 가족 커뮤니케이션, 박기순,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 23(1), 155-192, , 1984

      6. 여가의 심리적 의미, 성영신, 정준호, 고등우,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9(2), 17-40, , 1996

      7. Mate Selection in the 1970s, Bernard, I. Murstein, 42(4), 777-792, , 1980

      8. 가족치료이론. 법지사, 김용태, 서울, , 2003

      9.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49(1), 71-75, , 1985

      10. 현대여가론. 백산출판사, 김광득, 서울, , 1990

      1. 家庭管理学, 장명욱, 教文社,서울, , 1991

      2. 생활시간연구, 문숙재, 서울: 학지사, , 1996

      3. Subjective Well-being, Diener, 95(3), 542-575, , 1984

      4. 여가와 대중매체, 이효성, 사회과학 제36권(2), 95-129, , 1997

      5. 가족 커뮤니케이션, 박기순,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 23(1), 155-192, , 1984

      6. 여가의 심리적 의미, 성영신, 정준호, 고등우,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9(2), 17-40, , 1996

      7. Mate Selection in the 1970s, Bernard, I. Murstein, 42(4), 777-792, , 1980

      8. 가족치료이론. 법지사, 김용태, 서울, , 2003

      9.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49(1), 71-75, , 1985

      10. 현대여가론. 백산출판사, 김광득, 서울, , 1990

      11. Work and leisure in french society, Dumazedier, 4(2), 10-12, , 1962

      12. Toward a theory of family communication, Koerner , A. F. , & Fitzpatrick , M. A., 12, 70-91, , 2002

      13. 가족관계와 가족치료. 홍익제, 송성자, 서울, , 1989

      14. 현대사회와 여가. 형설출판사, 김성혁, 서울, , 1998

      15. 취업주부의 시간사용과 영향요인, 한경미, 가정과삶의질연구, 9(2), 171-190, , 1991

      16. The Beavers systems model of family functioning, Beavers , R. & Hampson , R. B ., 22(2), 128-143, , 2000

      17. 가족 여가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윤소영,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27(4), 189-201, , 2009

      18. A Conceptual Review of Family Resilience Factors, Black, K., & Lobo, M., 14, 33-55, , 2008

      19. Differentiation in the family system scale: DIFS, Anderson, S. A., & Sabatelli, R. M., 20, 77-89, , 1992

      20. Leisure impacts on familyinteraction and cohesion, Orthner, D. K., & Mancini, J. A., 22(2), 125-137., , 1990

      21. Life Satisfaction Across four Stages of Adultlife, Medly, 11(3), 114-134, , 1980

      22. Leisure impacts on family interaction and cohesion, Orther, D. K. and Mancini, 22(2), 125-137, , 1990

      23. Later-life satisfaction : Does leisure contribute ?, Kelly , J. R. , Steinkamp , M. W. & Kelly , J. R., 9(2). 8-13, , 1987

      24. 한국가족제도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두헌, 서울, , 1969

      25. 가족 여가 증진을 위한 가족공원 개념화, 신인수, 손영미, 여가학연구, 4(2), 39-59, , 2006

      26. 부모와 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자녀 행동, 신건호, 강남대학교 논문집, 경기, , 1997

      27. 부부의 공유 한가한 시간과 결혼 만족도, 김외숙, 이기영, 구혜령, 대한가 정학회지 33(3), 113-126, , 1995

      28. 한국 가족의 의사소통 문제와 개선 방안, 이창덕, 화법연구, 9, 351∼388, , 2006

      29. 가족자원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이기영, 최은숙, 김외숙, 서울, , 1993

      30. 여가 관리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한경미, 김외숙, 서울, , 2010

      31.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plex model, Barnes, H. L., & Olson, D. H., 56, 438-447, , 1985

      32. 논문편: 생산직 기혼여성의 생활시간 분석, 조희금, 대한가정학회, 31(3), 101-112, , 1993

      33. 가족 여가의 활동유형 및 본질에 대한 연구, 윤지영, 윤소영, 여가학연구, 1(2), 73-81, , 2003

      34. Kaiser-Meyer-Olkin measure for identity correlation matrix, Kaiser , M. O, 52, 296-298, , 1974

      35. 암 환아 어머니의 희망, 부담감과 가족기 능, 김혜자, 박선남, 정경희, 박호란, 아동 간호학회지, 7(1), 51-61, , 2001

      36. 역 가족치료와 목회사역. 한국장로교출판사, 문희경, 서울, , 2002

      37. 커뮤니케이션과 가족.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은미, 서울, , 1995

      38.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ct of Marriage overthe cycle., Burr, W. R, 32(1): 29-30, , 1970

      39.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권중돈, 조주연, 한국노년 학, 20(3), 61-76, , 2000

      40. 일상여가의 유형을 통한 노년기 만족도 고찰, 이명규, 한국여가문화학 회, 4(3), 63-83, , 2007

      41. 가족 여가 참여 동기 및 가족 여가활동의 효과, 천혜정, 한국가족자원경 영학회지, 8(2), 1-13, , 2004

      42. Satish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sixty-fiveyears and older, Medley, M., 31. 3-8, , 1976

      43. 노년기 여가활동 활성화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정유리, 이신숙, 한국 가정과교육학회지, 25(2), 49-63, , 2013

      44.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김희정, 서지은,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20(3), 457-486, , 2012

      45. 가족의 여가활동이 가족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강봉화, 최길례, 한국 사회체육학회지, 19(2), 1023-1034, , 2003

      46.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의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김유숙, 한국가족치료 학회지, 8(1), 113-130, , 2000

      47. 여가활동이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상무, 박정아, 대 한 관광경영학회지 논문집, 5-22, , 1997

      48. 가족 여가의 의미와 동기에 따른 여가 만족도 분 석, 문숙재, 윤지영, 윤소영,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23(1), 31-39, , 2005

      49. Circumplex Model of Martial and Family Systems: VI. Theoretical Update, Olson, 22, 69-83, , 1983

      50. Leisure engag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A meta-analy-sis·[J], Kuykendall, Tay L, Ng. V., (2), 364-403, , 2015

      51. 도농복합도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연구, 소광섭, 노인복지 연구, 38, 7-30, , 2007

      52. 도시 가정의 가족 여가 유형: 자녀 교육기를 중심으로, 지영숙, 이태진,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19(2), 153-165, , 2001

      53.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A longitudinal study of persons aged 46-70, Palmore, E., Kivett, 32, 311-316, , 1979

      54. Leisure activies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oldest oldin Sweden [J], Silverstein M, Parker M G, 5), 528-547, , 2002

      55. Leisure activity patterns and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marital career, Orthner, D. K., 37, 91-102, , 1975

      56. Marital stability and spouses' shared time: Amultidisciplinary hypothesis, Hill, M. S., 9(4), 427-451, , 1988

      57. 가족체계 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최규련, 한국가정 관리학회. 12(2), 140-152, , 1994

      58. 주부의 가족 여가활동 참여와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홍성희, 대한가 정학회, 34(2), 71-84, , 1996

      59. 해외 이주 한인 가정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형원, 보건사 회연구, 32(4), 304-331, , 2012

      60.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Skowron , E. A . & Friedlander , M. L., 45, 235-246, , 1998

      61. 기혼취업 여성의 가정, 직업, 여가생활 만족과 영향요인, 한경미, 한국가 정관리학회 13(3), 47-57, , 1995

      62. 일자). 신세대 링링허우와 바링허우, 져우링허우 그들은?, 심형철, (사) 아시아기자협회. http://kor.theasian.asia/archives/232191, , 2020

      63. 한국가족문화의 재고: 친밀성의 부재와 허약한 가족관계, 김혜영, 보건 복지 포럼, 2006(5), 20-34, , 2006

      64. Circumplex Model of Martial and Family Systems: Assessing Family Functioning, Oliver, 104-137, , 1993

      65. The influences of family leisurepatterns on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ing, Zabriskie, R. B., & McCormick, B, P., 50(3), 281-289, , 2001

      66. Statistical tests for moderator variables: Flaws in analysis recently proposed, Cronbach, L., 102(3), 414-417, , 1987

      67.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신숙, 한국 가족관계학회지, 16(2), 35-58, , 2011

      68. Familial and teperamental determinants of aggressivebehavior in adolescent boys, Olweus, Dan, 16(6), 644-660, , 1980

      69. 가정주부의 골프 참여 기간과 가족 응집력 및 적응력의 관계, 이상행, 한 국 사회체육학회지, 17, 771-777, , 2002

      70. 가족 커뮤니케이션 유형별 결혼관 및 배우자 선택 차이 연구, 전범수, 반승원,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6, 244-269, , 2011

      71. 가족식사활동이 기혼여성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엄명용, 김진원,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4, 81-111, , 2014

      72. 도시 기혼여성의 여가 장애 지각과 여가활동 참여와의 관 계, 이기춘, 김외숙,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11(2), 208-218, , 1993

      73. 아동의 결식이 심리 사회적 적응과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 향, 이혜원, 최경옥, 한 국가적 복지학회지, 28, 37-59, , 2010

      74. Subjective well-being : The Science of happiness and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Diener , E., 55(1), 34., , 2000

      75. Communication Schemata Within the Family multiple perspecitves on family interaction, Fitzpatrick, M. A., & Ritchie, L. David, 20(3), 275-301, , 1994

      76.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 epistemic analysis and conceptual reinterpretation, Ritchie, L. D., 18, 548-565., , 1991

      77. 스포츠사회학: 가족의 여가활동이 정서적 역동성에 미치는 영향, 최길례, 한국체육학회지, 42(3), 175-184, , 2003

      78.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Conflict Styles inChinese Parent-Child Relationships, Zhang, Q, 55(1), 113-128, , 2007

      79. 초등학생의 조직적 수영참가와 가족 응집력 및 가 족 적응력의 관계, 강효민, 장진우, 김영범,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1(2), 493-504, , 2008

      80. 가족 여가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 자녀의 부모 를 대상으로, 한상금, 김순옥, 대한가정학회지, 46(5), 1-27, , 2008

      81. 노인의 여가 및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이필호, 조용하, 한국성인교육학회, 15(2), 27-56, , 2012

      82. 가족 공유시간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승미, 서울, , 1997

      83. 가정관리연구에서의 체계론적 접근과 인간생태학적 접 근에 대한 검토, 임정빈, 임혜경, 韩国生活科学研究,1,191-211, , 1991

      84.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Measuring interpersonal percep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itchie, L. D. & Fitzpatrick & M. A, 17(4). 523-525, , 1990

      85. 가족기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기효능 감 에 미치는 영향, 고영애, 정민정,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2), 301-320, , 2007

      86. 가족기능과 여가제약 및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기혼직 장인을 중심으로, 이주연, 여가 학연 구, 6(3), 135-156, , 2009

      8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김경원, 이희자, 한국 생활과학회지, 9(3), 283-295, , 2000

      88. 부모의 시청지도가 초,중생 자녀들의 텔레비전 시청행위에 미치 는 연구, 이은미, 한국방송학보, 16(3), 397-421, , 2002

      89. 청소년 비행정도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민하영, 한국아동학회지, 13(1), 112-124, , 1992

      90. 관광가치지각, 가족관광 참여, 가족의사소통 및 가족관계 만족의 영향관계, 윤정헌, 한국관광레저확회, 30(4), 79-96, , 2018

      91. 도시 가정의 가족 여가 유형.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 교 대학원, 이태진, 서울, , 2000

      92.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에 따른 가족관계 적응: 30~40대 기 혼남녀를 대상으로, 김태현, 김필숙,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3), 1-31, , 2004

      93.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 체계 유형에 따른 자아 분화 정도 및 의사결정의 차이, 김수아, 김광수, 한국초등교육, 17(1), 269-291, , 2006

      94.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가족관계의 변화: 실시집단의 주부들 을 대상으로, 윤소영, 한국여가문화학회 제1회 포럼 자료집, , 2002

      95. The contribution of family culture to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outlook, and its reproduction, Libes, T., and Ribak, R., 19(5), 618-641, , 1992

      96.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눈문. 서울대 학교 대학원, 이종길, 서울, , 1992

      9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circumplex model을 중심으로, 김혜련, 정서․행동장애 연구. 18(2), 183-206, , 2002

      98.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인식과 인터넷 이용. 그리고 가족 커뮤니케 이션의 관계, 조윤정, 한국언론학보, 54권 2호, 210-231, , 2010

      99. 텔레비전 시청과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연구: 대수선 형모 형을 중심으로, 이은미, 한국방송학보, 34호, 171-190, , 1995

      100.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urran , P. J. , West , S. G. , & Finch , J. F., 1(1), 16, , 1996

      101. 가족 유형별 TV 이용에 관한 일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 강대학교 대학원, 김수연, 서울, , 1995

      102.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및 아동의 형제자매관 계와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 김민정, 도현심, 아동학회지, 22(2), 149-166, , 2001

      103. 청소년의 가족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김미정, 청원, , 2006

      104. A prospective panel study of Chinese-Cana-dian immigrants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satisfaction [J], Walker G J, Halpenny E A, Spiers A, (5), 349-365, , 2011

      105. 한국노인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김종숙, 서울, , 1987

      106. 도시정부의 가족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과천시를 중심으 로, 서울 시립대학교, 정옥희, 석사학위논문, , 2009

      107. 도시 주부의 여가활동 동기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 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장윤희, 서울, , 1991

      108. 도시 중산층의 여가양식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현수, 서울, , 1996

      109. 가족 체계 유형과 대학생의 자아 분화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신영균, 부산, , 1994

      110. 가족 여가 참여 정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 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최소영, 서울, , 2004

      111. 도시 기혼여성의 여가활동 참여와 여가장애.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외숙, 서울, , 1991

      112. 한국 도시 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 변인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이은주, 서울, , 1996

      113. 생활체육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 학원, 유재연, 서울, , 2011

      114. 여성의 수영참여와 여가 및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전주대학교 대학원, 이기노, 전주, , 2003

      115. 가족 단위 여가활동 참여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주5일 근무 제 실시집단을 중심으로, 홍성화, 여가학연구, 1(2), 57-71, , 2003

      116. 도시인의 여가 의식 및 행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 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김규호, 서울, , 1958

      117. 가족 의사결정에서 Olson의 순환 모델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연구:자녀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조민호, 이인재, 관광 연구, 24(2), 315-334, , 2009

      118. 카누 선수집단의 선수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목포대학교 대학원, 김종문, 목포, , 2003

      119. 노인의 생활특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임창희, 서울, , 2004

      120.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여가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 사학위 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고미영, 제주, , 2002

      121. 여가활동과 행복한 노후생활의 향유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 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김명자, 서울, , 1993

      122. 가족기능이 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 사학원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허정철, 광주, , 2008

      123.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 만족변인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김종범, 임상사회사업연구, 4(1), 71-99, , 2007

      124. 한미 대학생의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과 부모와의 만족도 차 이에 관한 연구: RFCP를 중심으로, 김병길,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4, 95-125, , 2010

      125. 가족 의사소통 패턴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아 노출. 내 적 통제성 및 의사소통 능력과의 관계, 한주리, 허경호, 한국언론학보, 49권 5호, 202-227, , 2005

      126. 청소년의 학교체육 참여, 여가스포츠 참여, 사회적 유대감, 폭력 성 및 우울감의 인과관계 검증, 이승원, 한국사회체육확회, 65, 411-422, , 2016

      127. 중산층의 가족 여가활동 실태와 요구 조사 연구.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양영아, 서울, , 1996

      128.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I.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s, Family Types, and Clinical Applications, Olson, D. H., Sprenkle, D. H. & Russell, C. S., 18(1), 3-28, , 1979

      129.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모창배, 서울, , 1993

      130. 중고령자의 재무적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장춘명, 수원, , 2017

      131. 미디어 이용과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염리리, 서울, , 2012

      132. 가족 중심 청소년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김지혜, 서울, , 2009

      133. 가족기능 및 인성 특성과 청소년의 우울 간의 관계. 미간행 석 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선영, 서울, , 1998

      134.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메타분석. 미간행 석 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서지은, 청원군, , 2012

      135. 생애주기에 따른 대도시 주민의 여가활동 유형분석. 미간행 박 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김종환, 서울, , 1996

      136. 주부의 생활체육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 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임동일, 용인, , 2001

      137. 가족 커뮤니케이션이 자녀의 배우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미간 형 박사학원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반승원, 서울, , 2013

      138. 중학생의 여가활동 계발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 간행 삭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창욱, 서울, , 2010

      139. 가정주부의 여가활동 참여와 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의 관계. 미 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송강영, 서울, , 1999

      140. 고등학교 남학생 가족의 기능적 특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미 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하교 대학원, 안양희, 서울, , 1988

      141. 배드민턴 선수들의 생활만족도와 경기력과의 관련성.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김덕구, 대구, , 2011

      142. 초등학교 교사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대학원, 서흥식, 전주, , 2001

      143. 家族查定척도 개발과 타당도 검증—순환모텔 척도의 재구성.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김수연, 부산, , 1998

      144. 부모 자녀 간의 의사소통 만족도와 청소년의 인성 특성.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권은정, 진주, , 1996

      145. 가족 체계 유형과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의 관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수원, 서울, , 2003

      146. 가족기능과 자아개념이 청소년 비행성향에 미치는 영향. 미간 행 석사학원논문.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홍인숙, 서울, , 2002

      147. 가족커뮤니케이션 환경이 어린이의 성격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임수정, 서울, , 2004

      148. 노년기 여가활동 활성화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노인의 여가활 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유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5(2), 49-63, , 2013

      149. 가족 커뮤니케이션에 따른 아동의 TV 시청에 대한 연구.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김애정, 대구, , 2011

      150. 정신장애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영주, 서울, , 2006

      151. 2016년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구축: 국제비교 연구 조사결과 보고서.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염유식, 김경미, 이승원, 서울, , 2016

      152. 베이비 부머들의 생산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유주희, 서울, , 2013

      153. 가족 여가활용을 통한 가족복지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고갑준, 대전, , 1998

      154. 노인 생활실태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수원시를 중심으 로. 미간행 석사학원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이선정, 경기, , 2009

      155. 중년기의 여가생활형태가 가족기능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 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이정호, 서울, , 2007

      156. 가족 커뮤니케이션 형태와 TV의 사회적 이용의 관계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홍석운, 서울, , 1993

      157. 기혼남녀의 여가활동 및 여가 만족도에 따른 가족관계 적응.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김필숙, 서울, , 2003

      158. 수영참가자의 참여 동기 및 몰입요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 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표지연, 서울, , 2009

      159. 조손가정 손자녀가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 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정효미, 대구, , 2006

      160. 조손가족 조부모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 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림대학교 대학원, 이희섭, 춘천, , 2004

      161. 직업군인의 직무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 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대학원, 윤화준, 나주, , 2011

      162. 체육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여가활동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이나래, 용인, , 2003

      163. 교사의 가족 여가활동 참여 실태 및 관련 변수 분석. 미간행 석 사학위 논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이영희, 서울, , 2008

      164. 가족 여가활동이 가족 체계 역동성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이태진, 서울, , 2001

      165. 청소년의 생활 스트레스와 청소년 비행의 인과 경로에 있어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박희서, 강길현, 임금옥, 한국컴 퓨터정보학회, 20(1), 247-254, , 2015

      166. 교사의 여가활동참여유형, 직무스트레스 및 생활만족도의 관 계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이수완, 제주, , 2000

      167.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교기업 운영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노현재, 서울, , 2007

      168. 시각장애학교 중등부 학생의 생활체육 참여가 생활만족도 및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권미혜, 대구대학교 대학원, , 2010

      169.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여고생의 자 아 긍정성과 자아 부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은순, 한국소통학회, 17(2), 129-156, , 2018

      170. 가족의 여가활동이 정서적 역동성과 가족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최길례, 서울, , 2002

      171. 생활체육 참가자의 참여 동기, 여가태도, 관여도, 생활만족의 관계모형.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방선희, 서울, , 2012

      172. 아동기 가족의 가족 여가활동 실태와 가족 여가 만족도 및 장 애들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권지은, 울산, , 2011

      173. 재능기부활동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의 매개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 대학원, 박춘홍, 경기, , 2016

      174. 초등학생의 가족 여가활동과 가족 응집력 및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최주환, 인천, , 2017

      175. 가족기능 및 학교생활 만족도가 중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 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인정, 대구, , 2004

      176. 부모의 교육관여 및 가족 기능성과 초등 영재들의 수학 정의적 특성.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이수연, 인천, , 2017

      177.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 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조재양, 대구, , 2006

      178.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직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이창기, 제주, , 2003

      179. 중국 가정의 가족 여가활동이 가족기능과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욱경, 서울, , 2015

      180. 중국 친자유(亲子游)의 여가활동이가족기능과 생활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배제대학교 대학원, 조원동, 대전, , 2019

      181. 가족커뮤니키이션 패턴이 여가활동으로서 뉴미디어 외모 관련 정보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 나르시시즘의 매개효과, 이은순, 강형길, 여가학연구. 18(3), 127-142, , 2020

      182. 현대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수원시 노인 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장연옥, 수원, , 2001

      183. Bowen의 가족치료 적용을 통한 한국적 의사소통 향상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원 논문.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박혜련, 서울, , 2002

      184.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 여가 활성화를 위한 관련 변인 고찰 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이지혜, 서울, , 2011

      185. 청소년의 가족 여가활동과 가족 건강성 연구: 중학교 2, 3학년 을 대상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이민아, 서울, , 2006

      186.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가족의 가족 여가 참여 및 가족 여가만족 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유을선, 서울, , 2012

      187. 가족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구매 의사결정에 차 이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부경대학교 대학원, 조래명, 부산, , 2004

      188.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자아분화 향상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 미간행 석사학워논문.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 대학원, 이선화, 서울, , 2004

      189.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가족의 건강성, 무력감, 자긍심 및 행복감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김경호, 서울, , 2004

      190. 경제적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요인의 조절 효관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곽민주, 청주, , 2014

      191. 부부의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결혼 적응 연구: 결혼초기부부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최주희, 서울, , 2001

      192.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과 지 원이론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김원배, 김해, , 2010

      19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및 학 업성적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옥희, 서울, , 2002

      194. 만성질환자 가족 군과 정상 가족 군의 가족 적응력과 가족결속 력의 비교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송남호, 서울, , 1988

      195. 가족환경과 가족체계 상호작용유형이 청년기의 자아정체감형 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홍성애, 서울, , 1988

      196. 정신장에인이 인지하는 가족지지 및 가족기능에 따른 삶의 만 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강우경, 서울, , 2002

      197.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이 청소년의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신문학과 대학원, 임정아, 서 울, , 1996

      198. 노인의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가 및 사회활동,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태영, 서 울, , 2011

      199. 생활체육배드민턴 동호인의 참여 정도와 운동 몰입이 생활만 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남대학교 대학원, 구제언, 남원, , 2011

      200.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력, 가족적응력 및 가족 체계유형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귀연, 경북, , 1993

      201. 가족 커뮤니케이션 양식, 부모의 미디어 폭력 중재, 가정 내 폭력 경험이 TV 폭력에 대한 어린이의 도덕적 해석과 공격성에 미치 는 영향, 최이정, 한국방송학보, 19권 2호, 47-84, , 2005

      202. 은퇴 후 여가생활이 은퇴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 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김수연, 서울, , 2013

      203. 직장인들의 여가활동 참여 동기가 여가제약, 직무만족과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사이버대학교 대학 원, 안주석, 서울, , 2017

      204. 가족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가정 내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 향: 텔레비전과 인터넷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방순화, 서울, , 2005

      205. 청소년의 부모관련변인,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과 친사회행 동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 원, 권남희, 충청남도, , 2017

      206. 신노년의 여가인식, 여가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양: 여 가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동아대학교 대 학원, 김애령, 부산, , 2015

      207. 중년후기 성인이 지각하는 여가제약, 여가충족, 생활만족도 간 의 관계 –50세~64세 중년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제대 학교 대학원, 박지수, 김해, , 2007

      208. 정신장애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정신장애인이 인 지한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김은실, 서울, , 2005

      209. 노인의 여가 활동만족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미간행 학사학위 논문. 개신대학원대학교 사 회복지대학원, 박하근, 서울, , 2020

      210. 청소년의 또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부모와의 의사소통, 선생님과의 관계 및 학교 활동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군산 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영미, 군산, , 2000

      211. 만성질환자의 가족기능 정도와 환자 역할 행위 이행 정도와 의 관 계에 관한 연구: 당뇨병 환자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이금재, 서울, , 1987

      212.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적 관계망과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 위 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강태석, 경기도, , 2018

      213. 장애 자녀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가족 여가 및 가족기능이 심 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햄 박사학위 논문. 강남대 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정준구, 용인, , 2009

      214. 부모의 주5일 근무 여부에 따라 가족 여가활동 유형과 가족 여가활동 정도가 청소년의 가족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민정, 대구, , 2008

      215. 교대근무와 여가활동이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인천국제공항공사 협력사 사례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김권철, 고양, , 2013

      216. 은퇴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 는 영향 연구: 성남시 노인여가시설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 논문.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김진권, 서울, , 2007

      217. 대인 커뮤니케이션 특성 및 자아 성향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 회피 성향. 가족 커뮤니케이션 유형. 자기효능 감. 자아 탄력성을 중심으로, 이만제, 청소년복지연구, 11권 3호, 99-127, , 2009

      218. 무엇이 되는 삶과 어떻게 사는 삶 성공 지향, 성숙 지향 가족 커뮤니케이션 양식이 아동의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양.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손지혜, 서울, ,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