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자가 있다”의 해석에 관하여: 라캉의 『파르메니데스』 읽기 = On the interpretation of “Il y a d’ l’Un”: Lacan’s Reading of Parmenid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22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Encore, Lacan’s seminar XX, there appears the obscure expression “Il y a d’ l’Un” (There is such a thing as One), which is often abbreviated as simply Yad’lun.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is obscure phrase by placing it in the philosophical context of Plato’s dialogue Parmenides, which Lacan references as the source of the One in seminar XIX, . . . or Worse. The central debate in this dialogue conc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e and Being. While the first argument—“if it is the One”—examines the One that does not participate in Being, which implies having neither property nor predicate, the second argument—“if the One is”—explores the aspects of the One that participates in Being—in this, coming to exist.
      In Lacan’s henology, Yad’lun is paradoxical since it is the One (S1) that founds and thus relates to the signifying chain (S2), but at the same time, it is the One that is all alone, with no relations whatsoever. Just as the One in the second argument in Parmenides emerges in an “instant” which belongs neither to rest nor to movement—a moment not being part of the time continuum—the Lacanian One comes into being out of non-being. The paradoxical emergence of the One in Parmenides evolves into the Lacanian real One that ex-sists in the symbolic. It is the master signifier that emerges as One-missing, marked with an original lack and producing the remainder, object a, in the same instant. It is only by discerning the paradoxical and dynamic nature of the Lacanian One that one can truly illuminate the complex relationship of 0 and 1, subtraction and addition, the master signifier and object a, implicated in Yad’lun.
      번역하기

      In Encore, Lacan’s seminar XX, there appears the obscure expression “Il y a d’ l’Un” (There is such a thing as One), which is often abbreviated as simply Yad’lun.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is obscure phrase by placing...

      In Encore, Lacan’s seminar XX, there appears the obscure expression “Il y a d’ l’Un” (There is such a thing as One), which is often abbreviated as simply Yad’lun.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is obscure phrase by placing it in the philosophical context of Plato’s dialogue Parmenides, which Lacan references as the source of the One in seminar XIX, . . . or Worse. The central debate in this dialogue conc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e and Being. While the first argument—“if it is the One”—examines the One that does not participate in Being, which implies having neither property nor predicate, the second argument—“if the One is”—explores the aspects of the One that participates in Being—in this, coming to exist.
      In Lacan’s henology, Yad’lun is paradoxical since it is the One (S1) that founds and thus relates to the signifying chain (S2), but at the same time, it is the One that is all alone, with no relations whatsoever. Just as the One in the second argument in Parmenides emerges in an “instant” which belongs neither to rest nor to movement—a moment not being part of the time continuum—the Lacanian One comes into being out of non-being. The paradoxical emergence of the One in Parmenides evolves into the Lacanian real One that ex-sists in the symbolic. It is the master signifier that emerges as One-missing, marked with an original lack and producing the remainder, object a, in the same instant. It is only by discerning the paradoxical and dynamic nature of the Lacanian One that one can truly illuminate the complex relationship of 0 and 1, subtraction and addition, the master signifier and object a, implicated in Yad’lu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라캉의 세미나 XX 『앙코르』에는 Yad’lun으로 축약되는 “Il y a d’ l’Un”(일자가 있다)라는 모호한 명제가 출현한다. 이 글은 라캉이 세미나 XIX 『. . . 또는 더 나쁜』에서 논하는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에 나타나는 일자에 관한 철학적 논쟁의 문맥에서 이 명제의 모호한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파르메니데스』의 핵심 논쟁은 일자와 존재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제1 논증(가설)인 “그것이 일자라면”은 존재에 참여하지 않고 따라서 어떤 속성이나 술어도 없는 파르메니데스적 일자를 논하고, 제2 논증(가설)은 존재에 참여하는 즉 존재하는 일자가 지니는 여러 속성을 다룬다.
      라캉의 일자학에서 “일자가 있다”라는 명제의 일자는 의미사슬(S2)의 토대가 되고 의미사슬과 관계하는 일자이면서 동시에 어떤 관계도 갖지 않고 홀로 존재하는 역설과 모순을 지닌다. 『파르메니데스』의 제2 논증에서 일자가 운동과 정지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따라서 시간의 연속체에 없는 ‘순간’에 출현하는 것처럼, 라캉의 일자도 비존재로부터 존재로 출현한다. 『파르메니데스』에서 역설적으로 출현하는 일자는 라캉의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상징계에서 외존하는 실재의 일자로 변모한다. 이 일자는 원초적인 결여를 지닌 주인기표로 출현하는 순간 동시에 잔존물인 대상 a를 생산하는 일자다. 라캉의 일자를 역동적이고 역설적인 개념으로 파악할 때만 “일자가 있다”라는 명제에 포함된 0과 1, 빼기와 더하기, 주인기표와 대상 a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번역하기

      라캉의 세미나 XX 『앙코르』에는 Yad’lun으로 축약되는 “Il y a d’ l’Un”(일자가 있다)라는 모호한 명제가 출현한다. 이 글은 라캉이 세미나 XIX 『. . . 또는 더 나쁜』에서 논하는 플라톤의 ...

      라캉의 세미나 XX 『앙코르』에는 Yad’lun으로 축약되는 “Il y a d’ l’Un”(일자가 있다)라는 모호한 명제가 출현한다. 이 글은 라캉이 세미나 XIX 『. . . 또는 더 나쁜』에서 논하는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에 나타나는 일자에 관한 철학적 논쟁의 문맥에서 이 명제의 모호한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파르메니데스』의 핵심 논쟁은 일자와 존재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제1 논증(가설)인 “그것이 일자라면”은 존재에 참여하지 않고 따라서 어떤 속성이나 술어도 없는 파르메니데스적 일자를 논하고, 제2 논증(가설)은 존재에 참여하는 즉 존재하는 일자가 지니는 여러 속성을 다룬다.
      라캉의 일자학에서 “일자가 있다”라는 명제의 일자는 의미사슬(S2)의 토대가 되고 의미사슬과 관계하는 일자이면서 동시에 어떤 관계도 갖지 않고 홀로 존재하는 역설과 모순을 지닌다. 『파르메니데스』의 제2 논증에서 일자가 운동과 정지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따라서 시간의 연속체에 없는 ‘순간’에 출현하는 것처럼, 라캉의 일자도 비존재로부터 존재로 출현한다. 『파르메니데스』에서 역설적으로 출현하는 일자는 라캉의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상징계에서 외존하는 실재의 일자로 변모한다. 이 일자는 원초적인 결여를 지닌 주인기표로 출현하는 순간 동시에 잔존물인 대상 a를 생산하는 일자다. 라캉의 일자를 역동적이고 역설적인 개념으로 파악할 때만 “일자가 있다”라는 명제에 포함된 0과 1, 빼기와 더하기, 주인기표와 대상 a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플라톤, "플라톤의 다섯 대화 편" 숲 2016

      2 Nobutomo, Kenji, "Žižek and Lacanian Henology—With a ‘Silent Partner.’" 12 (12): 1-20, 2018

      3 Zaloszyc, Armand, "Y a d’l’Un" 2006

      4 Lacan, Jacques, "Transference: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VIII 1960-1961" Polity 2015

      5 Tomšič, Samo, "Toward a Materialist Ontology" 2 (2): 82-117, 2018

      6 Vidal, Paulo Eduardo Viana, "The Step of Parmenides" 22 (22): 21-33, 2017

      7 Copjec, Joan, "The Sexual Compact" 17 (17): 31-48, 2012

      8 Jacques Lacan,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XIX: . . . or Worse 1971-1972"

      9 Lacan, Jacques, "The Limits of Love and Knowledge: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XX 1972-1973" Norton 1998

      10 Lacan, Jacques, "The Ego in Freud’s Theory and in the Technique of Psychoanalysis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II: 1954-55" Norton 1991

      1 플라톤, "플라톤의 다섯 대화 편" 숲 2016

      2 Nobutomo, Kenji, "Žižek and Lacanian Henology—With a ‘Silent Partner.’" 12 (12): 1-20, 2018

      3 Zaloszyc, Armand, "Y a d’l’Un" 2006

      4 Lacan, Jacques, "Transference: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VIII 1960-1961" Polity 2015

      5 Tomšič, Samo, "Toward a Materialist Ontology" 2 (2): 82-117, 2018

      6 Vidal, Paulo Eduardo Viana, "The Step of Parmenides" 22 (22): 21-33, 2017

      7 Copjec, Joan, "The Sexual Compact" 17 (17): 31-48, 2012

      8 Jacques Lacan,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XIX: . . . or Worse 1971-1972"

      9 Lacan, Jacques, "The Limits of Love and Knowledge: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XX 1972-1973" Norton 1998

      10 Lacan, Jacques, "The Ego in Freud’s Theory and in the Technique of Psychoanalysis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II: 1954-55" Norton 1991

      11 Lacan, Jacques, "Report on Seminar XIX" 215-220,

      12 Plato, "Plato’s Parmenides" U of California P 2003

      13 Plato, "Parmenides" Parmenides 2010

      14 Žižek, Slavoj, "Less than Nothing : Hegel and the Shadow of Dialectical Materialism" Verso 2012

      15 Jacques Lacan, "Le séminaire de Jaqcques Lacan: XIX: . . . ou Pire 1971-1972"

      16 Badiou, Alain, "Lacan: The Silent Partners" Verso 7-16, 2006

      17 Žižek, Slavoj, "Incontinence of the Void: Economico-Philosophical Spandrels" MIT P 2017

      18 Dolar, Mladen, "In Parmenidem Parvi Comentarii" 31 (31): 63-98, 2004

      19 Gilson, Étienne, "Being and Some Philosophers" Pontifical Institute of Medieval Studies 1952

      20 Price, A. R., ". . . or Worse: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XIX 1971-1972" 233-246, 2019

      21 Lacan, Jacques, ". . . or Worse: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XIX 1971-1972" Polity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Criticism And Theory Society Of Korea -> The Criticism and Theory Society of Korea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11-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비평과이론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36 1.44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