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레지오페라시대의 고전오페라 텍스트 해석의 문제:드미트리 체르냐코프의 루슬란과류드밀라(2011)를 중심으로 = On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classical opera text in the era of Regieopera: An analysis based on D. Tchernyakov’s production of M. Glinka’s “Ruslan and Ludmila” (201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70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ext in a Russian classical opera “Ruslan and Ludmila” staged by a famous Russian opera director Dmitri Tchernyakov.
      In the introduction, the author of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Regieopera, i.e. Regitheater opera, and has discussed the problem of the interpretation in Regieopera.
      This article traces, how Tchernyakov transformed unrealistic fairy tale text of A. Pushkin and M. Glinka to realistic role-playing text, by analyzing the production of “Ruslan and Ludmila” presented by Tchernyakov in the Bolshoi Theater in 2011 as a first opera production for reopening celebration after a long restoration of theater. In addition, it is observed that the irony of directing methods occurs due to the juxtaposition of a device for immersing the modern audience (the modernization of the mise-en-scene) and a device for the audience exclusion (the exposure of theatricality).
      Finally, in the conclusion, the author of this article has discussed the role of the opera director in the era of Regiopera.
      번역하기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ext in a Russian classical opera “Ruslan and Ludmila” staged by a famous Russian opera director Dmitri Tchernyakov. In the introduction, the author of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backgroun...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ext in a Russian classical opera “Ruslan and Ludmila” staged by a famous Russian opera director Dmitri Tchernyakov.
      In the introduction, the author of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Regieopera, i.e. Regitheater opera, and has discussed the problem of the interpretation in Regieopera.
      This article traces, how Tchernyakov transformed unrealistic fairy tale text of A. Pushkin and M. Glinka to realistic role-playing text, by analyzing the production of “Ruslan and Ludmila” presented by Tchernyakov in the Bolshoi Theater in 2011 as a first opera production for reopening celebration after a long restoration of theater. In addition, it is observed that the irony of directing methods occurs due to the juxtaposition of a device for immersing the modern audience (the modernization of the mise-en-scene) and a device for the audience exclusion (the exposure of theatricality).
      Finally, in the conclusion, the author of this article has discussed the role of the opera director in the era of Regiop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러시아의 대표적인 레지테아터 연출가인 드미트리 체르냐코프의 프로덕션을 통해 러시아의 고전오페라 󰡔루슬란과 류드밀라󰡕의 텍스트 해석의 문제에 대해 숙고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서론에서는 레지오페라의 탄생 배경과 발전과정을 추적한 뒤 레지오페라와 해석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본론에서는 연출가 체르냐코프가 2011년 볼쇼이 극장 재개관 첫 프로덕션으로 무대에 올린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통해 푸슈킨의 서사시 텍스트와 글린카의 오페라 텍스트를 어떤 방식으로 재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비현실적 동화 텍스트에서 현실적 역할극 텍스트로 전환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또한 현대의 관객을 극에 몰입시키기 위한 장치(미장센의 현대화)와 관객을 극으로부터 소외시키기 위한 장치(극장성 노출)가 병치되어 연출상의 아이러니가 발생하고 있음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레지오페라시대 연출가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진정한 연출가의 임무에 대해 텍스트 해석의 관점에서 살펴본다.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서론에서는 레지오페라의 탄생 배경과 발전과정을 추적한 뒤 레지오페라와 해석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본론에서는 연출가 체르냐코프가 2011년 볼쇼이 극장 재개관 첫 프로덕션으로 무대에 올린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통해 푸슈킨의 서사시 텍스트와 글린카의 오페라 텍스트를 어떤 방식으로 재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비현실적 동화 텍스트에서 현실적 역할극 텍스트로 전환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또한 현대의 관객을 극에 몰입시키기 위한 장치(미장센의 현대화)와 관객을 극으로부터 소외시키기 위한 장치(극장성 노출)가 병치되어 연출상의 아이러니가 발생하고 있음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레지오페라시대 연출가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진정한 연출가의 임무에 대해 텍스트 해석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번역하기

      이 글은 러시아의 대표적인 레지테아터 연출가인 드미트리 체르냐코프의 프로덕션을 통해 러시아의 고전오페라 󰡔루슬란과 류드밀라󰡕의 텍스트 해석의 문제에 대해 숙고해보는 것을 목�...

      이 글은 러시아의 대표적인 레지테아터 연출가인 드미트리 체르냐코프의 프로덕션을 통해 러시아의 고전오페라 󰡔루슬란과 류드밀라󰡕의 텍스트 해석의 문제에 대해 숙고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서론에서는 레지오페라의 탄생 배경과 발전과정을 추적한 뒤 레지오페라와 해석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본론에서는 연출가 체르냐코프가 2011년 볼쇼이 극장 재개관 첫 프로덕션으로 무대에 올린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통해 푸슈킨의 서사시 텍스트와 글린카의 오페라 텍스트를 어떤 방식으로 재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비현실적 동화 텍스트에서 현실적 역할극 텍스트로 전환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또한 현대의 관객을 극에 몰입시키기 위한 장치(미장센의 현대화)와 관객을 극으로부터 소외시키기 위한 장치(극장성 노출)가 병치되어 연출상의 아이러니가 발생하고 있음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레지오페라시대 연출가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진정한 연출가의 임무에 대해 텍스트 해석의 관점에서 살펴본다.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서론에서는 레지오페라의 탄생 배경과 발전과정을 추적한 뒤 레지오페라와 해석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본론에서는 연출가 체르냐코프가 2011년 볼쇼이 극장 재개관 첫 프로덕션으로 무대에 올린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통해 푸슈킨의 서사시 텍스트와 글린카의 오페라 텍스트를 어떤 방식으로 재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비현실적 동화 텍스트에서 현실적 역할극 텍스트로 전환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또한 현대의 관객을 극에 몰입시키기 위한 장치(미장센의 현대화)와 관객을 극으로부터 소외시키기 위한 장치(극장성 노출)가 병치되어 연출상의 아이러니가 발생하고 있음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레지오페라시대 연출가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진정한 연출가의 임무에 대해 텍스트 해석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택, 수전, "해석에 반대한다" 이후 2013

      2 박선영, "유라시아 문화의 창 II" 다해 51-66, 2019

      3 지젝, 슬라보예, "오페라의 두 번째 죽음" 민음사 2010

      4 조성진, "오페라 감상법" 대원사 2002

      5 얀젠, 요하네스, "오페라" 예경 2005

      6 피셔-리히테, 에키카, "수행성의 미학. 현대예술의 혁명적 전환과 새로운 퍼포먼스 미학" 문학과지성사 2018

      7 이용숙, "바그너 『파르지팔』의 레지테아터(Regietheater) 연구 - 『파르지팔』은 레지테아터를 통해 어떻게 새로운 작품으로 재탄생했는가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8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 전집 6" 책세상 2014

      9 Никитина, Ирина, "“Дмитрий Черняков.” Энигма. (Эфир от 22.02.2018.)"

      10 Шнуренко, Игорь., "Юрий Темирканов: Как же я с нимиздороваться буду!"

      1 손택, 수전, "해석에 반대한다" 이후 2013

      2 박선영, "유라시아 문화의 창 II" 다해 51-66, 2019

      3 지젝, 슬라보예, "오페라의 두 번째 죽음" 민음사 2010

      4 조성진, "오페라 감상법" 대원사 2002

      5 얀젠, 요하네스, "오페라" 예경 2005

      6 피셔-리히테, 에키카, "수행성의 미학. 현대예술의 혁명적 전환과 새로운 퍼포먼스 미학" 문학과지성사 2018

      7 이용숙, "바그너 『파르지팔』의 레지테아터(Regietheater) 연구 - 『파르지팔』은 레지테아터를 통해 어떻게 새로운 작품으로 재탄생했는가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8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 전집 6" 책세상 2014

      9 Никитина, Ирина, "“Дмитрий Черняков.” Энигма. (Эфир от 22.02.2018.)"

      10 Шнуренко, Игорь., "Юрий Темирканов: Как же я с нимиздороваться буду!"

      11 "Театральный смотритель"

      12 Конен, В., "Театр и симфония (роль оперы в формировании классической симфонии)" Музыка 1975

      13 Бонди, С., "Собр. соч.: В 10 т. Т. 3" Гос. изд.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литературы 482-483, 1960

      14 Пушкин, А., "Русланъ и Людмила. СПб.: Типографiя Департамента народнаго просвѣещенiя, 1828. С. 5-15"

      15 Пушкин, А. С., "Пол. собр. соч.: В 10 т. Т. 4" Наука 1977

      16 Пружанская, Э., "Петер Конвичный как зеркало современной оперной режиссуры"

      17 Друскин, М., "Опера Глинки «Руслан и Людмила». История создания"

      18 Фрид, Р., "Монографический очерк" Советский композитор 1973

      19 Левашева, О. Е., "Михаил Иванович Глинка: В 2 кн. Кн. 2" Музыка 1988

      20 Васина-Гроссман, В. А., "Михаил Иванович Глинка" Музыка 1982

      21 Ширков, В., "Либретто оперы «Руслан и Людмила»"

      22 Келдыш, Ю. В., "История русской музыки в 10 томах, Т. 5" Музыка 185-282, 1988

      23 Чешихинъ, Всеволодъ, "Исторiя русской оперы (съ 1674 по 1903 г.)" Собственность издателя П. Юргенсона 1905

      24 "Золотая маска"

      25 Тихонов, Никита, "Евгений Онегин" Между прошлым ибудущим 2019

      26 Журавлев, Вадим, "Дмитрий Черняков. Герой оперного времени" Ridero 2018

      27 Мурьвьева, Ирина, "Большой перелом. В Большом театре показали “Руслана и Людмилу” Глинки" 249 (249): 2011

      28 Алкон, Е. М., "«Чудный сон живой любви...»: О тайнах оперы Глинки «Руслан и Людмила»" (4) : 56-66, 2013

      29 "https://www.youtube.com/watch?v=FjX6h_cNTsY"

      30 "https://www.operanews.ru/konvichniy.html"

      31 "https://rg.ru/2011/11/06/ruslan-poln.html"

      32 "http://www.smotr.ru/2005/zagran/2005_berlin_godunov.htm"

      33 Müller, Ulrich, "The Oxford Handbook of Opera" Oxford University Press 582-605, 2014

      34 Skarmstad, Per-Erik, "Peter Konwitschny: I do not consider myself a representative of the Regietheater. (Interview with Peter Konwitschny)"

      35 크로이든, 마가렛, "20세기 실험극" 현대미학사 1994

      36 Tcherniakov, Dmitri, "(Stage direction & scenography) Ruslan and Lyudmil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3 0.60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