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싫다[厭]’의 어휘사 = Lexical History of ‘silhta(dislikab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202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morphophonology and part of speech that the vocabulary ‘silhta[厭; dislikable]’ has experienced over time, and to identify the process, periods, and drivers of changes. ‘silhda’ is orig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morphophonology and part of speech that the vocabulary ‘silhta[厭; dislikable]’ has experienced over time, and to identify the process, periods, and drivers of changes. ‘silhda’ is originally a compound word ‘sulhota’ that is combined with ‘hota’, and its conjugation in the 15th century included ‘sulkho’, ‘sulhoni’, and ‘sulhoya’. Today, however, it shows the forms of ‘lh’ regular conjugation such as ‘silkho’, ‘siluni’, ‘sile’. Precedent studies have attempted to explain this change in the same way as vocabularies that have undergone the change from ‘--hota’ to ‘--hta’, or by the influence of ‘sulhta[悲: be sad]’. However, this study considers that ‘silye’, which appeared in the evolution of ‘sulhuyye’ through ‘siliye’, and ‘sile’, a conjugated form of the stem ‘silh-’ which is extracted from the form ‘silkho’ or ‘siluni’, are phonologically similar, therefore, ‘sire’ emerged as a result of recognizing ‘silye’ as a phonetic variant of ‘sire’. ‘sulhota’ also experienced changes in parts of speech. In the 15th century, ‘sulhota’ was used as both a transitive verb and an adjective, while ‘sulhoya hota’ was used only as a transitive verb. Today, however, ‘silhta’ is used as an adjective and ‘silhehata’ is used as a transitive verb. This study interpreted it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sulhota’, which is extracted from the transitive verb ‘sulhoya hota’, as an adjective, and it is associated with the tendency during the early modern Korean language period in which psychological transitive verbs were formed by combining ‘-e ho-’ with psychological adjecti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싫다[厭]’가 겪은 형태음운론적인 변화와 품사의 변화를 살펴, 변화의 과정과 시기, 동인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싫다’는 기원적으로 ‘ᄒᆞ다’가 결합한 복합어 ‘슬ᄒ...

      본고는 ‘싫다[厭]’가 겪은 형태음운론적인 변화와 품사의 변화를 살펴, 변화의 과정과 시기, 동인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싫다’는 기원적으로 ‘ᄒᆞ다’가 결합한 복합어 ‘슬ᄒᆞ다’로, 15세기에는 ‘슬코, 슬ᄒᆞ니, 슬ᄒᆞ야’와 같이 활용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실코, 시르니, 시러’와 같이 ㅀ 정칙 활용의 모습을 보인다. 그간의 연구들에서는 이 변화를 ‘Xᄒᆞ다 > Xㅎ다’의 변화를 겪은 단어들과 동일하게 설명하려 하거나 ‘슳다[悲]’와의 영향 관계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려 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슬희여’에서 ‘슬히여>시리여’를 거쳐 등장한 ‘시려’가 ‘실코, 시르니’에서 분석된 어간 ‘싫-’의 모음 어미 결합형 ‘시러’와 음운론적으로 유사하여, ‘시려’를 ‘시러’의 음성적 변이형처럼 인식한 결과 ‘시러’가 등장하게 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슬ᄒᆞ다’는 품사 변화도 겪었다. 15세기에 ‘슬ᄒᆞ다’는 타동사로도, 형용사로도 사용되었으며 ‘슬ᄒᆞ야 ᄒᆞ다’는 타동문에서만 사용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싫다’는 형용사로, ‘싫어하다’는 타동사로 사용되는 것으로 구분된다. 이는 근대국어 시기 ‘-어 ᄒᆞ-’가 심리 형용사에 결합하여 심리 타동사를 만드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타동문에 쓰이는 ‘슬ᄒᆞ야 ᄒᆞ다’에서 분석되는 ‘슬ᄒᆞ다’를 형용사로 이해하게 된 결과로 해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白斗鉉, "嶺南 文獻語의 通時的 音韻 연구"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0

      2 박용식, "현대국어와 중세국어에서의 -어하(힝)- 의미 고찰" 배달말학회 (34) : 51-67, 2004

      3 이지영,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太學士 2008

      4 정경재, "한국어 용언 활용 체계의 형태음운론적 변화" 태학사 2019

      5 정경재, "한국어 용언 활용 체계의 통시적 변화" 고려대학교 2015

      6 "표준국어대사전"

      7 河崎啓剛, "중세한국어 '나다'류 어휘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8 이지영, "국어의 용언 부정문에 관한 역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9 이진호, "국어 어간말 자음군과 관련 현상에 대한 통시음운론"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10 스기야마 유타카, "韓國語 音韻史 資料로서 본 歌曲文獻 : 聲調史 및 音樂史 硏究에 對한 寄與의 可能性" 2021

      1 白斗鉉, "嶺南 文獻語의 通時的 音韻 연구"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0

      2 박용식, "현대국어와 중세국어에서의 -어하(힝)- 의미 고찰" 배달말학회 (34) : 51-67, 2004

      3 이지영,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太學士 2008

      4 정경재, "한국어 용언 활용 체계의 형태음운론적 변화" 태학사 2019

      5 정경재, "한국어 용언 활용 체계의 통시적 변화" 고려대학교 2015

      6 "표준국어대사전"

      7 河崎啓剛, "중세한국어 '나다'류 어휘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8 이지영, "국어의 용언 부정문에 관한 역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9 이진호, "국어 어간말 자음군과 관련 현상에 대한 통시음운론"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10 스기야마 유타카, "韓國語 音韻史 資料로서 본 歌曲文獻 : 聲調史 및 音樂史 硏究에 對한 寄與의 可能性" 2021

      11 志部昭平, "諺解三綱行實圖硏究: 本文·校註·飜譯·開題篇" 高麗書林 1990

      12 조항범, "註解 순천김씨묘출토간찰" 태학사 1998

      13 金一根, "親筆諺簡總覽(附 李朝御筆諺簡集)" 景仁文化社 1974

      14 SUGIYAMAYUTAKA, "歌曲唱 旋律에 反映된 辭說의 聲調(Ⅰ) -男唱歌曲 羽調 및 界面調 二數大葉을 中心으로-" 국어국문학회 (171) : 41-108, 2015

      15 李基文, "新訂版 國語史槪說" 태학사 1998

      16 白斗鉉, "嶺南 文獻語의 音韻史 硏究" 太學士 1992

      17 金完鎭, "國語 語彙 磨滅의 硏究" 진단학회 35 : 34-59, 1973

      18 李賢熙, "中世國語 構文硏究" 新丘文化社 1994

      19 安秉禧, "中世國語 動詞 ‘-’의 語幹交替에 對하여" 건국대학교 2 : 18-24, 1962

      20 李賢熙, "‘다’ 語詞의 性格에 대하여: 누러다類와 엇더다類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2 : 221-247, 1985

      21 배영환, "‘ㅎ’-말음 어간의 재구조화" 지식산업사 2011

      22 장경준, "‘-어 (>하)-’ 통합 현상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형태론편집위원회 4 : 239-253, 2002

      23 장경준, "‘-어 하()-’의 통합 현상에 관한 연구: 현대 국어와 15세기 국어를 중심으로" 연세대 1999

      24 정경재, "{있다}의 활용 양상 변화 고찰" 국어학회 (85) : 251-293, 2018

      25 T. Givón, "Sintax, vol. 1"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84

      26 오재혁 ; 송인성 ; 도원영 ; 홍종선, "20세기 초 구어 연구를 위한 음성 자료의 유형과 특징에 대한 고찰" 민족어문학회 (70) : 225-258, 2014

      27 정경재, "20세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명령형 어미의 실현 양상 변화" 한국어학회 72 : 227-255, 2016

      28 배영환, "'ㅎ'-말음 어간의 재구조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