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와이브로 기지국 시스템을 위한 고전력 PIN 다이오드 스위치 모듈과 고속 스위치 구동회로의 구현 = Implementation of High-Power PM Diode Switch Modules and High-Speed Switch Driver Circuits for Wibro Base St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25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igh-power PIN diode switch modules and high-speed switch driver circuits are presented for Wibro base stations. To prevent isolation degradation due to parasitic inductances of conventional packaged PIN...

      In this pape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igh-power PIN diode switch modules and high-speed switch driver circuits are presented for Wibro base stations. To prevent isolation degradation due to parasitic inductances of conventional packaged PIN diodes and to improve power handling capabilities of the switch modules, bare diode chips are used and carefully placed in a PCB layout, which makes bonding wire inductances to be absorbed in the impedance of a transmission line. The switch module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have a maximum performance while using a minimum number of the diodes. It shows an insertion loss of ${\sim}0.84\;dB$ and isolation of 80 dB or more at 2.35 GHz. The switch driver circuit is also fabricated and measured to have a switching speed of ${\sim}200\;nsec$. The power handling capability test demonstrates that the module operates normally even under a digitally modulated 70 W RF signal str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와이브로 기지국 시스템을 위한 고전력 PIN 다이오드 스위치와 고속 스위치 구동회로에 대한 설계와 측정 결과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전력용 팩키지 다이오드의 기생 인덕턴...

      본 논문에서는 와이브로 기지국 시스템을 위한 고전력 PIN 다이오드 스위치와 고속 스위치 구동회로에 대한 설계와 측정 결과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전력용 팩키지 다이오드의 기생 인덕턴스에 의한 격리도 열화를 막고 다이오드 스위치의 전력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칩 형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였으며, 본딩 와이어에 의한 직렬 인덕턴스는 전송선로의 임피던스에 쉽게 흡수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였다. 구현된 스위치 모듈은 사용된 다이오드의 개수를 최대한 줄이면서 최대의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2.35 GHz에서 써큘레이터의 손실을 포함하여 약 0.84 dB의 삽입 손실과 80 dB 이상의 격리도 특성을 보였다. 또한 TTL 신호를 통한 스위치 모듈의 제어를 위해 스위치 구동회로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스위칭 속도는 200 nsec로 측정되었다. 스위치 모듈은 디지털 변조된 고전력 신호에 의해 전력능력이 시험되었으며 70 W의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ttp://www.mk.co.kr"

      2 "http://www.metelics.com"

      3 "http://www.macom.com"

      4 Dong-Wook Kim, "Small-Sized High-Power PIN Diode Switch with Defected Ground Structure for Wireless Broadband Interne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8 (28): 84-86, 2006

      5 David M. Pozar, "Microwave Engineering" John Wiley & Sons Inc 83-87, 1998

      6 Gerald Hiller, "Design with PIN diodes"

      1 "http://www.mk.co.kr"

      2 "http://www.metelics.com"

      3 "http://www.macom.com"

      4 Dong-Wook Kim, "Small-Sized High-Power PIN Diode Switch with Defected Ground Structure for Wireless Broadband Interne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8 (28): 84-86, 2006

      5 David M. Pozar, "Microwave Engineering" John Wiley & Sons Inc 83-87, 1998

      6 Gerald Hiller, "Design with PIN diod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4-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3 0.3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