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커피전문 국가기술자격제도 신설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the Necessity if Establishing the National Coffee Qualification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019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커피전문 국가기술자격제도 신설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분석을 통해 커피학문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커피전문점의 경영자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커피전문자격증에 대한 인식분석과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커피산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국가 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을 분석․규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양적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커피전문점을 운영하고 있는 경영자와 종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층화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500부를 배부한 후 494명을 표집 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480명이다. 또한 커피산업분야에서 전문가 구릅을 토대로 약 1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이상과 같은 통합적 연구방법을 이용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커피산업 분야 자격증 실태를 분석한 결과 첫째, 국내 커피관련 기술자격증 취득은 한국커피협회에서 발행하는 바리스타 1, 2급 자격증을, 국외의 자격증으로는 SCAE에서 발행하는 Barista Skills 1, 2, 3급 자격증의 선호도가 높았다. 둘째, 국가기슬자격증과 민간자격증의 차이점에 대한 가치는 “알고 있다”라는 응답은 전문대졸에서 높다. 셋째, 커피전문자격증의 실기시험 내용에 대한 인지정도는 “알고 있다”라는 응답은 전문대졸, 강남지역, 1-3년의 근무경력 집단에서 높다. 넷째, 커피전문자격증 취득의 필요성 여부는 “그렇다”라는 응답은 20대, 강남지역, 커피전문점종사자, 1-3년의 집단에서 높다. 다섯째, 현재의 커피전문자격증으로 업무능력 판단정도 유무는 “보통이다”라는 응답은 20대, 중구지역, 커피전문점 종사자, 1-3년 집단에서 높다.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첫째,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 필요성은 “그렇다”라는 응답은 전문대졸, 강남지역, 커피전문점종사자, 1-3년의 집단에서 높다. 둘째,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 필요성에 대한 이유는 “국가에서 인정하는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함”이라는 응답은 남성, 20대, 전문대졸, 강남지역, 커피전문점종사자, 1-3년, 100-200만원의 집단에서 높다. 셋째,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이 커피산업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긍정적 영향 미칠 것이다”라는 응답은 전문대졸, 1-3년의 집단에서 높다. 넷째,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로 인한 사회적 인식은 높아질 것인가를 물어본 결과 “그렇다”라는 응답은 전문대졸, 강남지역, 1-3년 집단에서 높다. 다섯째,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으로 인한 취업 시 선호도는 “그렇다”라는 응답이 1-3년 집단에서 높다.
      커피 민간기술자격증 소지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첫째, 커피와 관련된 직업을 선택한 이유는 “적성에 맞아서”라는 응답이 남성, 전문대졸, 강남지역, 1-3년, 100-200만원 집단에서 높다. 둘째, 커피 민간기술자격증을 취득한 이유는 “시험 및 교육내용이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어서”라는 응답이 남성, 20대, 전문대졸, 강남지역, 커피전문점 종사자 및 교육자 집단에서 높다. 셋째, 커피 민간기술자격증 취득경로는 “학원수강을 통해서”라는 응답이 20대, 고졸, 강동지역 및 중구지역, 커피전문점 종사자, 1-3년, 100-200만원의 집단에서 높다. 넷째, 커피 민간기술자격증의 실기교육 현장 활용정도는 “보통이다”라는 응답은 중구지역에서 높다.
      양적 연구는 커피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커피 전문자격증에 대한 의견 및 인식을 도출 하였다면, 질적 연구에서는 커피산업의 전문가 패널 15인을 대상으로 SWOT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민간 커피전문자격증의 강점요인을 분석한 결과 첫째, 민간 커피전문자격증 수의 적정성에 대하여 물어본 결과 커피와 관련된 자격증이 너무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대안으로는 현재의 민간자격증을 통합하여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실기기준을 정하여 국가 기술자격증을 신설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둘째, 커피전문자격증 취득으로 인한 강점요인으로는 자기만족감 증대, 취업전략으로 필요조건 충족 등으로 나타났다. 결국 종사자들의 사기진작 요인이 증대 되면 고객들의 신뢰정도는 높다. 셋째, 커피전문자격증 취득 시 배운 교육과정의 현장 활용 정도는 높다. 특히, 등급이 오를수록 업무적응 능력 또한 높다.
      민간 커피전문자격증의 약점요인을 분석한 결과 첫째, 커피산업 전문가들이 바라본 커피전문자격증에 대한 현장에서의 인식은 부정적인 측면이 높다. 전문자격증 없이도 누구나 쉽게 오픈할 수 있는 낮은 진입장벽, 체계적이지 못한 교육과정, 쉽게 취득할 수 있는 전문자격증은 종사자들의 자신감 저하로 작용한다. 둘째, 커피전문자격증 개수에 대한 의견으로는 무분별한 자격증 남발로 인한 자격증에 대한 가치는 저평가 되고 있다. 따라서 체계화된 국가기술자격증 신설과 커피전문기능사 면허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커피전문자격증에 대한 약점은 현장 실무를 반영하지 못하고
      번역하기

      본 연구는 커피전문 국가기술자격제도 신설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분석을 통해 커피학문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방법을 ...

      본 연구는 커피전문 국가기술자격제도 신설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분석을 통해 커피학문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커피전문점의 경영자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커피전문자격증에 대한 인식분석과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커피산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국가 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을 분석․규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양적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커피전문점을 운영하고 있는 경영자와 종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층화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500부를 배부한 후 494명을 표집 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480명이다. 또한 커피산업분야에서 전문가 구릅을 토대로 약 1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이상과 같은 통합적 연구방법을 이용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커피산업 분야 자격증 실태를 분석한 결과 첫째, 국내 커피관련 기술자격증 취득은 한국커피협회에서 발행하는 바리스타 1, 2급 자격증을, 국외의 자격증으로는 SCAE에서 발행하는 Barista Skills 1, 2, 3급 자격증의 선호도가 높았다. 둘째, 국가기슬자격증과 민간자격증의 차이점에 대한 가치는 “알고 있다”라는 응답은 전문대졸에서 높다. 셋째, 커피전문자격증의 실기시험 내용에 대한 인지정도는 “알고 있다”라는 응답은 전문대졸, 강남지역, 1-3년의 근무경력 집단에서 높다. 넷째, 커피전문자격증 취득의 필요성 여부는 “그렇다”라는 응답은 20대, 강남지역, 커피전문점종사자, 1-3년의 집단에서 높다. 다섯째, 현재의 커피전문자격증으로 업무능력 판단정도 유무는 “보통이다”라는 응답은 20대, 중구지역, 커피전문점 종사자, 1-3년 집단에서 높다.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첫째,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 필요성은 “그렇다”라는 응답은 전문대졸, 강남지역, 커피전문점종사자, 1-3년의 집단에서 높다. 둘째,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 필요성에 대한 이유는 “국가에서 인정하는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함”이라는 응답은 남성, 20대, 전문대졸, 강남지역, 커피전문점종사자, 1-3년, 100-200만원의 집단에서 높다. 셋째,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이 커피산업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긍정적 영향 미칠 것이다”라는 응답은 전문대졸, 1-3년의 집단에서 높다. 넷째,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로 인한 사회적 인식은 높아질 것인가를 물어본 결과 “그렇다”라는 응답은 전문대졸, 강남지역, 1-3년 집단에서 높다. 다섯째,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으로 인한 취업 시 선호도는 “그렇다”라는 응답이 1-3년 집단에서 높다.
      커피 민간기술자격증 소지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첫째, 커피와 관련된 직업을 선택한 이유는 “적성에 맞아서”라는 응답이 남성, 전문대졸, 강남지역, 1-3년, 100-200만원 집단에서 높다. 둘째, 커피 민간기술자격증을 취득한 이유는 “시험 및 교육내용이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어서”라는 응답이 남성, 20대, 전문대졸, 강남지역, 커피전문점 종사자 및 교육자 집단에서 높다. 셋째, 커피 민간기술자격증 취득경로는 “학원수강을 통해서”라는 응답이 20대, 고졸, 강동지역 및 중구지역, 커피전문점 종사자, 1-3년, 100-200만원의 집단에서 높다. 넷째, 커피 민간기술자격증의 실기교육 현장 활용정도는 “보통이다”라는 응답은 중구지역에서 높다.
      양적 연구는 커피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커피 전문자격증에 대한 의견 및 인식을 도출 하였다면, 질적 연구에서는 커피산업의 전문가 패널 15인을 대상으로 SWOT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민간 커피전문자격증의 강점요인을 분석한 결과 첫째, 민간 커피전문자격증 수의 적정성에 대하여 물어본 결과 커피와 관련된 자격증이 너무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대안으로는 현재의 민간자격증을 통합하여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실기기준을 정하여 국가 기술자격증을 신설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둘째, 커피전문자격증 취득으로 인한 강점요인으로는 자기만족감 증대, 취업전략으로 필요조건 충족 등으로 나타났다. 결국 종사자들의 사기진작 요인이 증대 되면 고객들의 신뢰정도는 높다. 셋째, 커피전문자격증 취득 시 배운 교육과정의 현장 활용 정도는 높다. 특히, 등급이 오를수록 업무적응 능력 또한 높다.
      민간 커피전문자격증의 약점요인을 분석한 결과 첫째, 커피산업 전문가들이 바라본 커피전문자격증에 대한 현장에서의 인식은 부정적인 측면이 높다. 전문자격증 없이도 누구나 쉽게 오픈할 수 있는 낮은 진입장벽, 체계적이지 못한 교육과정, 쉽게 취득할 수 있는 전문자격증은 종사자들의 자신감 저하로 작용한다. 둘째, 커피전문자격증 개수에 대한 의견으로는 무분별한 자격증 남발로 인한 자격증에 대한 가치는 저평가 되고 있다. 따라서 체계화된 국가기술자격증 신설과 커피전문기능사 면허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커피전문자격증에 대한 약점은 현장 실무를 반영하지 못하고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표 목 차 v
      • 그림목차 vii
      • 목 차
      • 표 목 차 v
      • 그림목차 vii
      • 논문개요 viii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연구의 범위 5
      • II. 이론적 배경 6
      • 1. 국내 커피기본법과 국가공인 민간자격제도 6
      • 가. 자격기본법 6
      • 나. 자격제도의 분류 7
      • 다. 국가공인자격제도 7
      • 라. 민간자격제도 8
      • 마. 등록제도 운영 목적 8
      • 바. 민간자격 등록 기준 9
      • 2. 자격의 의의와 국가기술자격법 9
      • 가. 자격의 의의 9
      • 나. 국가기술자격법 10
      • 다. 국가직무능력표준교육과정 수립 11
      • 3. 국내 커피전문자격증 발급단체 및 교육현황 13
      • 가. 커피전문자격증 발급단체 현황 13
      • 나. 커피전문자격증 교육 현황 14
      • III. 연구방법 15
      • 1. 연구모형 15
      • 2. 연구가설 16
      • 가. 양적 연구에 대한 가설 17
      • 나. 질적 연구에 대한 가설 18
      • 3. 용어의 정의 19
      • 가. 민간기술자격증 및 제도 19
      • 나. 국가기술자격증 및 제도 19
      • 다. 교차분석 20
      • 라. SWOT 20
      • 4. 조사방법 21
      • 가. 조사대상 21
      • 나. 측정도구 24
      • 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26
      • 라.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26
      • IV. 연구 결과 및 고찰 29
      • 1. 커피산업 분야 자격증 실태 29
      • 가. 국내․외 커피관련 기술자격증 취득 실태 29
      • 나. 국가기술자격증과 민간자격증의 차이점 31
      • 다. 커피전문자격 실기시험 내용 인지 33
      • 라. 커피전문자격증 취득의 필요성 35
      • 마. 현재의 커피전문자격증으로 업무능력 판단 유무 38
      • 2. 커피 국가기슬자격증 신설에 대한 인식 40
      • 가.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 필요성 유무 40
      • 나.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 필요성에 대한 이유 43
      • 다.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이 커피산업에
      • 미치는 영향 47
      • 라.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과 커피관련 직종에 대한
      • 사회적 인식 49
      • 마.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취득과 취업에 대한 선호도 51
      • 3. 커피 민간기술자격증 소지자에 대한 인식 53
      • 가. 커피와 관련된 직업을 선택한 이유 53
      • 나. 커피 민간기술자격증을 취득한 이유 55
      • 다.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취득한 경로 57
      • 라. 커피 국가기술자격증의 실기과목 현장 활용도 59
      • 4. 커피전문자격증에 대한 SWOT분석 61
      • 가. 민간 커피전문자격증의 강점요인 분석 61
      • 나. 민간 커피전문자격증의 약점요인 분석 70
      • 다. 민간 커피전문자격증의 위협요인 분석 80
      • 라. 민간 커피전문자격증의 기회요인 분석 87
      • 마. 커피전문자격증에 대한 SWOT분석 결과 94
      • V. 결론 및 제언 96
      • 1. 양적연구에 대한 결론 96
      • 가. 커피산업 분야 자격증 실태 96
      • 나. 커피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에 대한 인식 97
      • 다. 커피 민간기술자격증 소지자에 대한 인식 98
      • 2. 질적 연구에 대한 결론 98
      • 가. 민간 커피전문자격증의 강점요인 분석 99
      • 나. 민간 커피전문자격증의 약점요인 분석 99
      • 다. 민간 커피전문자격증의 위협요인 분석 100
      • 라. 민간 커피전문자격증의 기회요인 분석 100
      • 3. 제언 101
      • 참고문헌 103
      • 부 록 106
      • Abstract 11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경식, "“스포츠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무지개, 2010

      2 오택섭, "사회과학 데이터분석법 SPSS PC+", 서울: 나남, 1992

      3 이기우, "국가기술자격제도 변천실태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2010

      4 최수홍, "국가기술자격 법제의 개선 방안.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2015

      5 윤상희, "바리스타양성교육프로그램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12

      6 고현우, "SWOT/AHP 분석을 이용한 민간인증제도 활성화 전략",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32(2), 104-111, 2009

      7 신혜경, "그린커피 교육과정 개발 모형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8 김상진, "자격검정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 균관대학교, 2004

      9 배준범, "e-business유형별 진입장벽과 전략궤도에 관한 연구. 박사 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04

      10 오헌석, 권귀헌, 최지영, 최윤미, "과학인재의 성장 및 전문성발달과정에서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907-918, 2007

      1 김경식, "“스포츠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무지개, 2010

      2 오택섭, "사회과학 데이터분석법 SPSS PC+", 서울: 나남, 1992

      3 이기우, "국가기술자격제도 변천실태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2010

      4 최수홍, "국가기술자격 법제의 개선 방안.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2015

      5 윤상희, "바리스타양성교육프로그램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12

      6 고현우, "SWOT/AHP 분석을 이용한 민간인증제도 활성화 전략",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32(2), 104-111, 2009

      7 신혜경, "그린커피 교육과정 개발 모형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8 김상진, "자격검정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 균관대학교, 2004

      9 배준범, "e-business유형별 진입장벽과 전략궤도에 관한 연구. 박사 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04

      10 오헌석, 권귀헌, 최지영, 최윤미, "과학인재의 성장 및 전문성발달과정에서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907-918, 2007

      11 한기호, "국가공인 민간자격검정 시험관리개선 인식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6

      12 노지운, "네일미용 국가기술자격제도 신설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2011

      13 김선영, "전문성 수준에 적응적인 학습활동 중심 이러닝 설계전략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3

      14 정자영, "커피의 소비동기와 부정적 인식이 커피 소비태도에 미 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2

      15 구소용, "야구산업클러스터 기반조성을 위한 SWOT Matrix전략 및 필요조건 분석.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014

      16 김영남, "광주지역 사회안전망구축과 지역사회결속 및 지방자치 단체 신뢰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17 손정리,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의 유효성이 직업선택 및 타인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11

      18 염배훈, "커피 전문점의 오프라인, 온라인 서비스품질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09

      19 문기표, "국가기술자격증 역할이 자기효능감과 경력개발 및 평생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남부대학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