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5 세기 언해문 협주 새김 연구  :  楞嚴經諺解(제5 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15th century Saegim words : Centering on Neung-eomgyeong-eonhae(vol.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5492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楞嚴經諺解』(제5 권)을 대상으로 삼아, 여기에 나오는 15 세기 새김을 가려내어 전산기로 자료 기지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楞嚴經諺解』 (제5 권) 협주에 나오는 주석을 전산기에 입력하여 정리한다. 그런 다음에 이들 자료를 분석하여 15 세기 새김을 가려내고 이를 자료 기지로 구축한다.
      정리한 결과 『楞嚴經諺解』(제5 권) 협주는 모두 25 개이다. 이 가운데에는 주의 내용이 복수로 나오는 것이 있어서 이들을 따로 헤아려 모두 합하면 42 개이다. 이 가운데에서 새김이 아니라 단순히 주석한 것이나 낱말 풀이에 불과한 것을 빼면 새김으로 볼 수 있는 협주는 25 개이다. 이들 새김 25 개를 먼저 협주 새김을 본문과 대조하여 협주 새김이 본문 주석인지 아닌지를 살핀 다음에 15 세기 언해본 협주에 나오는 새김, 한자 초학서나 한시 입문서에 나오는 후대 새김과 대비하여 15 세기 새김 여부를 검증한다.
      이처럼 살펴본 결과 『楞嚴經諺解』(제5 권)에는 16 세기 이후 새김과 같은 것, 후대 새김보다 의미가 구체화한 것, 의미가 미분화한 것 등 15 세기 새김으로 볼 수 있는 것이 16 개 나타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楞嚴經諺解』(제5 권)을 대상으로 삼아, 여기에 나오는 15 세기 새김을 가려내어 전산기로 자료 기지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楞嚴...

      이 연구는 『楞嚴經諺解』(제5 권)을 대상으로 삼아, 여기에 나오는 15 세기 새김을 가려내어 전산기로 자료 기지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楞嚴經諺解』 (제5 권) 협주에 나오는 주석을 전산기에 입력하여 정리한다. 그런 다음에 이들 자료를 분석하여 15 세기 새김을 가려내고 이를 자료 기지로 구축한다.
      정리한 결과 『楞嚴經諺解』(제5 권) 협주는 모두 25 개이다. 이 가운데에는 주의 내용이 복수로 나오는 것이 있어서 이들을 따로 헤아려 모두 합하면 42 개이다. 이 가운데에서 새김이 아니라 단순히 주석한 것이나 낱말 풀이에 불과한 것을 빼면 새김으로 볼 수 있는 협주는 25 개이다. 이들 새김 25 개를 먼저 협주 새김을 본문과 대조하여 협주 새김이 본문 주석인지 아닌지를 살핀 다음에 15 세기 언해본 협주에 나오는 새김, 한자 초학서나 한시 입문서에 나오는 후대 새김과 대비하여 15 세기 새김 여부를 검증한다.
      이처럼 살펴본 결과 『楞嚴經諺解』(제5 권)에는 16 세기 이후 새김과 같은 것, 후대 새김보다 의미가 구체화한 것, 의미가 미분화한 것 등 15 세기 새김으로 볼 수 있는 것이 16 개 나타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build a database on saegim('saegim' is the Korean language representing common meaning traditionally attributed to the Chinese written character such as 'Haneul' and 'Tta' in '天 : Haneul ≪sky≫ Cheon' and '地 : Tta ≪ground≫ ji) by analyzing and categorizing all the notes found in Neung-eomgyeong-eonhae(楞嚴經諺解) (vol 5).
      For that purpose, every note was extracted from Neung-eom-gyeong-eonhae(楞嚴經諺解)(vol 5). Next, the data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the saegims of the 15th century'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at least 16 saegims attributed to the 15th century in Neung-eomgyeong-eonhae(vol 5).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build a database on saegim('saegim' is the Korean language representing common meaning traditionally attributed to the Chinese written character such as 'Haneul' and 'Tta' in '天 : Haneul ≪sky≫ Cheon' and '地 : Tta ≪ground...

      This study aims to build a database on saegim('saegim' is the Korean language representing common meaning traditionally attributed to the Chinese written character such as 'Haneul' and 'Tta' in '天 : Haneul ≪sky≫ Cheon' and '地 : Tta ≪ground≫ ji) by analyzing and categorizing all the notes found in Neung-eomgyeong-eonhae(楞嚴經諺解) (vol 5).
      For that purpose, every note was extracted from Neung-eom-gyeong-eonhae(楞嚴經諺解)(vol 5). Next, the data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the saegims of the 15th century'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at least 16 saegims attributed to the 15th century in Neung-eomgyeong-eonhae(vol 5).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1. 머리말
      • 2. 본론
      • 2.1. 15 세기 새김으로 볼 수 있는 것
      • 2.1.1. 어형이 다른 새김 자료와 같은 것
      • 목차
      • 1. 머리말
      • 2. 본론
      • 2.1. 15 세기 새김으로 볼 수 있는 것
      • 2.1.1. 어형이 다른 새김 자료와 같은 것
      • 2.1.1.1. 두 자료 이상과 일치하는 것
      • 2.1.1.2. 한 자료하고만 일치하는 것
      • 2.1.2. 어형이 다른 새김 자료와 같지 않은 것
      • 2.1.2.1. 의미가 구체화한 것
      • 2.1.2.2. 의미가 미분화한 것
      • 2.1.2.3. 기타
      • 2.2. 15세기 새김인지 불확실한 것
      • 3.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