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Radiation Therapy of Intracranial Germino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34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두개내 배아종은 방사선 치료로 완치율이 높은 종양이나 현재까지 적절한 방사선 조사량이나 조사 범위에 대한 원칙은 확립되지 알은 상태이다. 본 저자는 본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

      목적 : 두개내 배아종은 방사선 치료로 완치율이 높은 종양이나 현재까지 적절한 방사선 조사량이나 조사 범위에 대한 원칙은 확립되지 알은 상태이다. 본 저자는 본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치료 성적과 재발 양상을 알고자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에서 1996년까지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21댕은 처음 진단시 본과에서 방사선 치료를 하였고 나머지 2댕은 재발 뒤 본과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자기공댕영상상 5명에서 다말성종괴가 관찰되었고 7명에서 뇌실 내 전이 소견이 보였다. 뇌척추액검사를 시행한 15명중 3명에서 종양 세포가 관찰되었다. 종양지표검사상 6명에서 혈장이나 뇌척추액의 베타 응모성선자극 호르몬의 수치가 다소 상승되어 있었다. 21명은 전뇌척수조사를 받았고 2명은 전뇌실조사를 받았다. 결 과 23명 중 21명은 현재 중앙 추적 기간 4 년 시점에서 무병 상태로 관찰되고 있다. 치료 중 백혈구 감소가 3 또는 4단계인 환자는 7명이었고 방사선조사후 내분비 상태가 악화된 환자는 없었다. 전뇌척수조사를 받은 환자중 1명이 저신장으로 성장 호르몬 치료를 받고 있다. 결론 : 본원에서 치료한 두개내 배아종은 기존의 보고와 마찬가지로 높은 관해율을 보이고 있다. 치료 중이나 치료 후의 부작용의 정도와 빈도는 현시점에서 허용 범위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두개내 배아종의 방사선 조사량과 조사 범위, 약물 치료에 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Intracranial germinoma is the most radiocurable tumor of theprimary intracranial neoplasm. But, the optimum radiation dose and target volume remain controversial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analysed the spreading pattern at presentation ...

      Purpose : Intracranial germinoma is the most radiocurable tumor of theprimary intracranial neoplasm. But, the optimum radiation dose and target volume remain controversial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analysed the spreading pattern at presentation and the pattern of the failure and survival of intracranial germinoma, Materials and Methods : From 1989 to 1996, 23 Patients were treated for intracranial germinoma at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Twenty-one Patients were treated at their initial Presentation and 2 Patients were treated for recurrent disease. Six patients had multiple tumor masses on MRI and 7patients had ventricular seeding on MRI. The examin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ytology was done in 15 patients and 3 out of 15 patients had positive cerebrospinal cytology. In tumor marker study of $\alpha-FP\;and\;\beta-hCG$, 6 patients had mildly elevated $\beta-hCG$ in serum or cerebrospinal fluid. Twentyo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whole craniospinal axis irradiation and 2 Patients were given whole ventricular radiation therapy. The total dose was ranged between 4500cGy and 5600cGy to primary tumor site (median 5580cGy) Dose to the entire ventricular system ranged from 1980cGy to 3960 cGy (median 2700cGy) and dose to the spinal axis ranged from 2160cGy to 3900cGy (median 2700cGy) Results : Of 23 patients, 21 Patients are alive without evidence of diseasefor median 4 years follow-up. One Patient who had markedly elevated $\alpha-FP\;and\;\beta-hCG$, suffered from Persistent disease after radiation therapy and received 2 cycles of chemotherapy. She died 9 months after chemotherapy One patient who developed ventricular seeding after gamma-knife was treated with whole craniospinal irradiation, he died after 1 year due to probably brain necrosis. The hematologic toxicity of 3 or 4 grade were seen in 7 patients and patient's endocrinologic dysfunction was not deteriorated after radiation therapy. One patient had been treated with growth hormone replacement due to short stature. Conclusions : This retrospective study has confirmed the excellent result of radiation therapy in intracranial germinoma. The complication rate during or after radiation therapy is considered within acceptable range. ft is necessary to further investigate the optimal dose and treatment volume of radiation therapy. The role of chemotherapy in the treatment of intracranial germinoma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