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에 대한 선교신학적 인식 변화 연구 = 〈케이프타운선언〉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주의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다양한 종교가 한 시대 한 공간에 공존하게 되었다. 이주민으로 인한 다문화 상황의 도래는 대한민국도 피해갈 수 없다. 사실 다종교...

      이주의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다양한 종교가 한 시대 한 공간에 공존하게 되었다. 이주민으로 인한 다문화 상황의 도래는 대한민국도 피해갈 수 없다. 사실 다종교 상황은 대한민국 국민에게는 낯선 현상이 아니다.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 유학생, 난민 등 이주민이 급증하면서 최근에야 다문화화로 인해 다종교 사회가 인식이 생긴 듯하지만, 사실상 대한민국은 역사적으로 불교, 유교, 무속종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사회였다.
      이처럼 단일민족, 단일문화를 강조하는 대한민국에 펼쳐진 다문화 상황이 다종교 상황으로 이어지면서 대한민국 기독교를 당혹스럽게 하는 것이 아니다. 이미 다종교 상황 속에 살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타종교와 공존을 모색하지 못했던 대한민국 기독교는 다문화 시대의 급격한 도래와 함께 타종교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이 다종교 사회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에 대한 선교신학적 입장의 변화과정을 로잔운동을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기틀을 마련한 로잔운동은 혼합주의, 종교다원주의를 경계하면서도 다종교 사회에서 기독교가 타종교와 공존해야 한다는 현실을 인정한다. 〈로잔언약〉, 〈마닐라선언〉은 타종교에 대한 전통적인 신학적 입장을 견지한다. 로잔운동의 이러한 신학적 입장은 〈케이프타운서약〉에 이르러 “경계 안에서의 포용(breadth within boundaries)”이라는 표현으로 본질과 현상을 분명하게 구분함으로써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와의 공존에 대한 새로운 선교신학적 출구를 보여준다. 〈케이프타운서약〉 IIC는 타종교인에 대해 그리스도, 사랑 그리고 실천을 강조한다.
      대한민국은 전통적으로 다종교 사회이며, 국제적 이주로 인해 다문화가 확산되면서 다종교 공존의 필연성에 대한 인식을 더욱 분명히 하였다. 타종교와의 공존은 “복음을 땅끝까지 전하라”는 사명을 포기하라는 말이 아니다. 로잔운동은 개종의 강요가 아니라 복음을 복음답게 전하는 것이 선교라고 선언함으로써 진정한 세계 복음화를 앞당길 수 있는 길을 우리에게 제시하였다.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명령은 타종교인을 포함한다. “우리의 소명은 복음 전도를 통해 좋은 소식을 나누는 것이지 비열한 개종활동을 벌이는 것이 아니다.”(〈케이프타운서약〉IIC 타종교인들 속에서 그리스도의 사랑 실천하기).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다종교 사회에서 종교 공존의 논리적 편향성과 기독교의 배타성의 만남
      • Ⅲ. 로잔운동과 타종교
      • Ⅳ. 나가는 말
      • 논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다종교 사회에서 종교 공존의 논리적 편향성과 기독교의 배타성의 만남
      • Ⅲ. 로잔운동과 타종교
      • Ⅳ.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주, "혼합주의의 특징과 발생 원인" 6 (6): 1988

      2 Berger, P. L., "현대사회와 신" 대한기독교서회 1979

      3 강인철, "해방 후 한국의 종교적 시장상황의 구조적 특징 - 개신교를 중심으로" 22 : 1994

      4 박용규, "한국의 해외선교: 복음주의적 고찰과 평가" 1993

      5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종교연구소, "한국의 종교현황" 문화체육관광부 2012

      6 종교문화연구원, "한국의 종교 현황 조사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08

      7 안희열, "한국교회의 타문화권 선교에 대한 평가와 제안" 세계선교연구원 (31) : 249-284, 2013

      8 이원규, "한국교회의 개방성과 폐쇄성" 26 (26): 1982

      9 신앙세계편집부, "한국교회, 목회자와 평신도의 의식에 대한 설문조사" 2007

      10 방원일, "한국 기독교의 혼합주의, 혼합현상" 710-, 2018

      1 이동주, "혼합주의의 특징과 발생 원인" 6 (6): 1988

      2 Berger, P. L., "현대사회와 신" 대한기독교서회 1979

      3 강인철, "해방 후 한국의 종교적 시장상황의 구조적 특징 - 개신교를 중심으로" 22 : 1994

      4 박용규, "한국의 해외선교: 복음주의적 고찰과 평가" 1993

      5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종교연구소, "한국의 종교현황" 문화체육관광부 2012

      6 종교문화연구원, "한국의 종교 현황 조사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08

      7 안희열, "한국교회의 타문화권 선교에 대한 평가와 제안" 세계선교연구원 (31) : 249-284, 2013

      8 이원규, "한국교회의 개방성과 폐쇄성" 26 (26): 1982

      9 신앙세계편집부, "한국교회, 목회자와 평신도의 의식에 대한 설문조사" 2007

      10 방원일, "한국 기독교의 혼합주의, 혼합현상" 710-, 2018

      11 이원규, "한국 교회의 종교적 배타성의 문제" 42 (42): 1998

      12 최형근, "하나님의 선교를 위한 복음주의 헌장: 케이프타운 서약"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14

      13 "케이프타운서약"

      14 김은수, "케이프타운 서약과 로잔문서의 선교적 성찰" 한국선교신학회 (50) : 43-67, 2018

      15 이덕주, "초기 한국 기독교의 타종교 이해(1)" 33 : 1996

      16 한국일, "증언과 대화: 기독교와 타종교 간의 대화에 관한 연구" 7 : 2001

      17 김영동, "종교와 폭력의 연관성에 대한 선교신학적 성찰" 세계선교연구원 (38) : 15-45, 2016

      18 한내창, "종교성과 종교적 배타성 간 관계" 한국사회학회 44 (44): 179-206, 2010

      19 한인철, "종교다원주의와 한국적 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992

      20 김중은,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오해와 이해" 36 (36): 1992

      21 김승호, "종교다원주의 상황에서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에 대한 선포: 로잔 3차 대회 케이프타운서약을 중심으로" 개혁신학회 31 : 217-248, 2014

      22 김영태, "종교 다원주의에 대한 오해와 이해 - 그리스도교를 중심으로" 6-, 2009

      23 최형근, "제3차 로잔 특집 로잔복음화 운동과 한국교회 대회 케이프타운 서약의 특징과 의의"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2 (22): 113-150, 2013

      24 Castle, "이주의 시대" 일조각 2013

      25 서인석, "이스라엘 지혜문학의 토착화 과정" 16 (16): 1972

      26 Berger, P. L., "이단의 시대" 문학과지성사 1981

      27 이원규, "양극화 극복을 위한 신학적 접근" 33 (33): 1989

      28 조종남, "세계 복음화를 위한 로잔운동의 역사와 신학" 도서출판 선교횃불 2013

      29 김중은, "성서신학에서 본 토착화신학" 35 (35): 1991

      30 Madruo, Otto, "사회적 갈등과종교 - 계급투쟁의 상황에서 종교는 누구에게 유익한가" 한국신학연구소 1988

      31 송인설,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 운동의 대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종교다원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학회 (91) : 79-103, 2014

      32 Beyerhaus, Peter, "복음의 권위와 종교 간의 대화" 15 (15): 1997

      33 Bosch, David J., "변화하고 있는 선교: 선교신학의 패러다임 변천" 기독교문서선교회 2010

      34 "마닐라선언"

      35 로잔연구교수회, "로잔운동의 신학과 실천" 한국로잔위원회 2017

      36 전병희, "로잔운동을 통해서 본 무슬림 사역의 방향"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19 (19): 113-154, 2012

      37 로잔연구교수회, "로잔운동과 현대선교전략" 한국로잔위원회 2018

      38 로잔연구교수회, "로잔운동과 선교신학" 한국로잔위원회 2015

      39 로잔연구교수회, "로잔운동과 선교동향" 한국로잔위원회 2016

      40 로잔연구교수회, "로잔운동과 선교" 한국로잔위원회 2014

      41 나용화, "로잔언약과 한국 교회의 과제" 7 : 2007

      42 "로잔언약"

      43 소윤정, "로잔신학에 나타난 타종교와의 대화"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7 (27): 59-99, 2014

      44 홍기영, "로잔세계복음화운동의 선교신학적 고찰 (상)* ―로잔언약, 마닐라선언, 케이프타운헌신을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2 (22): 151-194, 2013

      45 박영환, "로잔대회와 세속화 —로잔대회를 통한 세속화의 의미와 과제 그리고 세속화의 방향전환의 요인이 무엇인가?" 한국기독교학회 (99) : 231-261, 2016

      46 조종남, "로잔대회와 복음주의 선교신학" 5 : 2000

      47 조종남, "로잔 세계복음화운동의 역사와 정신" 한국기독교학생회출판부 1990

      48 김은수, "로잔 복음화 운동의 흐름과 과제 ―1989년 마닐라대회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선교신학회 22 (22): 11-40, 2009

      49 송종호, "단일민족확산 깨고 다문화주의로의 전환시대" 30 : 2007

      50 Newbigin, Lesslie,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한국기독교학생회출판부 1998

      51 김성태, "다원적 종교 사회 안에서 타종교에 대한 개혁주의 선교신학의 확립과선교방법 연구" 317-, 2013

      52 구견서,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체계"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7 (27): 29-53, 2003

      53 김해성, "다문화 사회의 도래와 이주민 선교" 462-, 2015

      54 조석주, "다문화 사회 정착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이주민 정책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55 이문장, "김진홍 목사 회갑논문집: 하나님나라운동 두레공동체 운동 30년" 두레시대 2001

      56 송용원, "기독교 복음과 복음주의는 본질적으로 배타적인가?" 688-, 2016

      57 양현표, "개혁신학에서 바라본 21세기 한국의 이주민 전도전략" 84 (84): 2017

      58 Stott, John, "The Lausanne Covenant: An Exposition and Commentary"

      59 Hick, J., "The Encyclopedia of Religion, Vol.12"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87

      60 Schlesinger, Jr. A. M, "The Disuniting of America : Reflations on a Multicultural Society" Whittle Books 1991

      61 Stott, John, "For the Lore We Love: Your Study Guide to the Lausanne Covenant" Lausanne Movement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5 1.35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0.96 1.006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