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정부 관련 뉴스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정부신뢰를 평가하는 유용한 예측변인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뉴스 신뢰도 항목들을 중심으로 요인분석한 후 추출된 요인들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36970
2014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73-190(18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정부 관련 뉴스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정부신뢰를 평가하는 유용한 예측변인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뉴스 신뢰도 항목들을 중심으로 요인분석한 후 추출된 요인들과 ...
본 논문은 정부 관련 뉴스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정부신뢰를 평가하는 유용한 예측변인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뉴스 신뢰도 항목들을 중심으로 요인분석한 후 추출된 요인들과 정부신뢰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추출된 요인은 정보신뢰성과 정보유용성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이 정부신뢰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이뤄졌다. 나아가 정부신뢰에 대한 인식이 이용 매체별로 차이가 있는지도 조사되었다.
연구문제를 위해 252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이뤄졌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뉴스 신뢰 요인 가운데 정보신뢰성 요인이 정부신뢰와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부 관련 뉴스보도를 더욱 신뢰할수록 뉴스의 대상이 되는 정부를 더욱 신뢰한다는 것이다. 또한, 뉴스를 텔레비전과 인터넷을 통해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부신뢰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텔레비전 이용과 정부신뢰는 유의미한 정적관계인 반면, 인터넷과 정부신뢰는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정부 관련 뉴스를 인터넷을 통해 이용하는 경우 정부를 불신할 가능성이 증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impact of news credibility in evaluating government trust. It was also studied whether the type of media using government news influenced government trust. The present study, using a well-fitting structural equation mo...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impact of news credibility in evaluating government trust. It was also studied whether the type of media using government news influenced government trust.
The present study, using a well-fit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demonstrated that media news credibility had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government credibility and,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 difference in evaluating government tru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tested on the data gathered from a convenient survey of 252 college students in Daegu a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희, "한국인의 정치제도에 대한 신뢰와 불신 : 신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경제적․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16 : 49-80, 2006
2 조진만, "한국 국회의 불신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요인 분석" 한국정치정보학회 11 (11): 213-237, 2008
3 최준영, "정치적 신뢰 변화의 원인과 결과: 이론적 쟁점"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5 (15): 65-92, 2009
4 구교태, "인터넷 정보 신뢰 인식과 온라인 토론 행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47-72, 2013
5 박병진, "신뢰형성에 있어 사회참여와 제도의 역할" 한국사회학회 41 (41): 65-105, 2007
6 이재혁, "신뢰와 시민사회:한미 비교연구" 한국사회학회 40 (40): 61-98, 2006
7 민영, "사회자본의 민주주의 효과: 미디어 이용과 사회자본이 정치적 관심과 신뢰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1 (51): 190-217, 2007
8 박희봉, "불신에서 신뢰로" 한국정부학회 21 (21): 1271-1300, 2009
9 홍재우, "민주주의 공고화의 이해 : 불확실성과 불신의 제도화" 15 (15): 2005
10 Skaggs, D., "Winning with young voters : How to reach and motivate" 23 (23): 22-29, 2002
1 김지희, "한국인의 정치제도에 대한 신뢰와 불신 : 신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경제적․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16 : 49-80, 2006
2 조진만, "한국 국회의 불신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요인 분석" 한국정치정보학회 11 (11): 213-237, 2008
3 최준영, "정치적 신뢰 변화의 원인과 결과: 이론적 쟁점"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5 (15): 65-92, 2009
4 구교태, "인터넷 정보 신뢰 인식과 온라인 토론 행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47-72, 2013
5 박병진, "신뢰형성에 있어 사회참여와 제도의 역할" 한국사회학회 41 (41): 65-105, 2007
6 이재혁, "신뢰와 시민사회:한미 비교연구" 한국사회학회 40 (40): 61-98, 2006
7 민영, "사회자본의 민주주의 효과: 미디어 이용과 사회자본이 정치적 관심과 신뢰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1 (51): 190-217, 2007
8 박희봉, "불신에서 신뢰로" 한국정부학회 21 (21): 1271-1300, 2009
9 홍재우, "민주주의 공고화의 이해 : 불확실성과 불신의 제도화" 15 (15): 2005
10 Skaggs, D., "Winning with young voters : How to reach and motivate" 23 (23): 22-29, 2002
11 Hetherington, M., "Why Trust Matters : Declining Political Trust and the Demise of American Liber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12 Nye, J., "Why People Don’t Trust Govern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13 Johnson, T. J., "Using is believing : The influence of reliance on the credibility of online political information among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77 (77): 865-879, 2000
14 Soh, H., "Trust in different advertising media" 84 (84): 455-476, 2007
15 Hardin, R., "Trust and Governance" Russell Sage 9-27, 1998
16 Newton, K., "The Oxford Handbook of Political Behavior" Oxford University Press 342-361, 2007
17 Fiske, T. T., "Social Cognition(2nd ed.)" McGraw Hill 1991
18 Andolina, M. W.,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youth civic engagement : Notes from the field" 6 : 189-195, 2002
19 Delhey, J., "Predicting cross-national levels of social trust : Global pattern or Nordic exceptionalism?" 21 (21): 311-327, 2005
20 Levi, M., "Political trust and trustworthiness : Political trust and trustworthiness" 3 (3): 475-507, 2000
21 Miller, A. H., "Political issues and trust in government, 1964~1970" 68 (68): 951-972, 1974
22 Flanagin, A. J., "Perceptions of internet information credibility" 77 (77): 515-540, 2000
23 Schweiger, W., "Media credibility–experience or image? A survey on the credibility of the world wide web in germany in comparison to other media" 15 (15): 37-59, 2000
24 Pinkleton, B. E., "Individual motivation, perceived media importance, and political disaffection" 18 : 321-334, 2001
25 Rothstein, B., "How political institutions create and destroy social capital: An institutional theory of generalized trust" 2002
26 Delli Carpini, M. X., "Gen. com : Youth, civic engagement, and the new information environment" 17 : 341-349, 2000
27 Jamieson, K. H., "Dirty Politics : Deception, Distraction, and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8 Putnam, R. D., "Bowling Alone :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and Schuster 2000
29 Norris, P., "A Virtuous Circle : Political Communications in Postindustrial Socie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 및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폭력 수사 경찰관의 인식과 연계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6-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영문명 :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Social Scienc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1 | 1.31 | 1.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9 | 1.23 | 1.772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