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이들이 선호하는 직장으로의 취업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36975
2014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37-374(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이들이 선호하는 직장으로의 취업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이들이 선호하는 직장으로의 취업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선호직장 취업(1000인 이상 대기업, 외국계기업,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정규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복수전공, 해외연수, 영어점수 취득, 진로 및 취업관련 교과목 수강 등 취업에 대한 사전준비가 많았던 학생들이 선호직장으로의 취업 비율이 높았다. 둘째, 남학생은 대기업 취업을 선호하는 반면, 여학생은 외국계나 공기업 및 공공기관으로의 취업비율이 높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호직장 유형별 취업결정요인에서 외국계 기업은 어학연수와 외국어 능력, 진로취업교과목 수강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공기업 및 공공기관은 학점, 자격증, 자격증 등급, 직업훈련이 취업성공에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은 맹목적인 스펙 쌓기에 시간과 노력을 기울일 것이 아니라 본인의 진로와 커리어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른 합리적인 취업준비가 필요하며, 대학 역시 학생들의 진로설계와 결정에 체계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양질의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impacted the college graduates’ successful entering of their preferred company, using the data of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Main research question was what job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impacted the college graduates’ successful entering of their preferred company, using the data of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Main research question was what job preparation behaviors of them influenced their successful entering of larger firms (over 1,000 employees), foreign affiliated firms, and public enterprise and public institutions. These types of organizations were frequently chosen as favored institutions among college students. In results, we identified the followings: Frist, comparing the preferred organizations with general organizations, the college graduates who entered the preferred organizations experienced the dual degrees, short-term overseas study, high score of english test, career course taken. They finally entered their preferred organizations. Second, in terms of college graduates’ demographic information, male graduates were more likely to enter the large firms, whereas female graduates were more likely to enter the public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Third, we identified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impacted the successful entering of the preferred companies by three types. The college graduates who entered the foreign affiliated firm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score of english test, internships, and social network, however, the college graduates who entered the public organization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GPA score, professional certificates, and their majors.
목차 (Table of Contents)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 및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부 관련 뉴스 신뢰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