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동굴 벽화의 애니메이션 기원에 관한 물리적 접근과 유추 = Physical approach and Analogical inference of the wall painting in the cave about the origin of ani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57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imation is based on an action about animated a figure. This is not a picture with a imaginary motion but an animated picture like an endowed life. It is an easy way to understanded about a magic of incantational nuance rather than an imaginary motion of the pictorial expression. Then, Is this only a conjecture that the wall painting of Altamira is an origin of animation? that isn't. It took century to caused the birth of the movie by basic molding principles of the animation and you can analogize through investigated the scene in those day. We can animate the picture of wild oxen on the wal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possibility that the wall painting in a cave became an anim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you c! an analogize three factor of the evidence and the fact for the animation.
      번역하기

      The animation is based on an action about animated a figure. This is not a picture with a imaginary motion but an animated picture like an endowed life. It is an easy way to understanded about a magic of incantational nuance rather than an imaginary m...

      The animation is based on an action about animated a figure. This is not a picture with a imaginary motion but an animated picture like an endowed life. It is an easy way to understanded about a magic of incantational nuance rather than an imaginary motion of the pictorial expression. Then, Is this only a conjecture that the wall painting of Altamira is an origin of animation? that isn't. It took century to caused the birth of the movie by basic molding principles of the animation and you can analogize through investigated the scene in those day. We can animate the picture of wild oxen on the wal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possibility that the wall painting in a cave became an anim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you c! an analogize three factor of the evidence and the fact for the ani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애니메이션은 속성상 실제 눈앞에서 형상으로 움직이게 하는 행위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단지 움직임을 상상해 그린 한 장의 그림이 아닌 실로 생명성을 부여 받은 듯한 동작을 하는 것이어야 한다. 단지 회화적인 몇 가지 표현에서 느껴지는 상상으로서의 움직임이라면 그것보다 어원 자체에서 느껴지는 주술적 뉘앙스의 마법이라는 자체에 그 상상을 맡기는 편이 이해하기에 수월하다. 그렇다면 알타미라 동굴의 벽화가 애니메이션의 기원이라고 보는 것은 단지 억측일 뿐일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수세기에 걸쳐 영화 탄생의 원인이 된 애니메이션의 기초적 조형 원리 요소와 당시 현장의 상황을 종합해 보면 쉽게 유추할 수 있다. 벽화의 들소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시각에 따른 물리적 조건을 근거로 하여 동굴의벽화가 애니메이션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하고 고찰의 결과 애니메이션을 위한 요소 3가지에 대한 증거와 실제를 유추해봄에 있다.
      번역하기

      애니메이션은 속성상 실제 눈앞에서 형상으로 움직이게 하는 행위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단지 움직임을 상상해 그린 한 장의 그림이 아닌 실로 생명성을 부여 받은 듯한 동작을 하는 것이...

      애니메이션은 속성상 실제 눈앞에서 형상으로 움직이게 하는 행위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단지 움직임을 상상해 그린 한 장의 그림이 아닌 실로 생명성을 부여 받은 듯한 동작을 하는 것이어야 한다. 단지 회화적인 몇 가지 표현에서 느껴지는 상상으로서의 움직임이라면 그것보다 어원 자체에서 느껴지는 주술적 뉘앙스의 마법이라는 자체에 그 상상을 맡기는 편이 이해하기에 수월하다. 그렇다면 알타미라 동굴의 벽화가 애니메이션의 기원이라고 보는 것은 단지 억측일 뿐일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수세기에 걸쳐 영화 탄생의 원인이 된 애니메이션의 기초적 조형 원리 요소와 당시 현장의 상황을 종합해 보면 쉽게 유추할 수 있다. 벽화의 들소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시각에 따른 물리적 조건을 근거로 하여 동굴의벽화가 애니메이션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하고 고찰의 결과 애니메이션을 위한 요소 3가지에 대한 증거와 실제를 유추해봄에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 영빛에 의한 표현 연구" 1997

      2 "편집실 체험!" 시각디자인연구소 1996

      3 "아사쿠라 나오미 조열옮김에술디자인의 빛과 구성조형사" 1992

      4 "뮤지움-이미지네이션의 미래를향해" 工作舍 2002

      5 "VERY NEW ART" 美術出版社 1995

      1 "황 영빛에 의한 표현 연구" 1997

      2 "편집실 체험!" 시각디자인연구소 1996

      3 "아사쿠라 나오미 조열옮김에술디자인의 빛과 구성조형사" 1992

      4 "뮤지움-이미지네이션의 미래를향해" 工作舍 2002

      5 "VERY NEW ART" 美術出版社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