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이버대학은 1996년 8월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회의 가상대학 설립·운영 제안으로 출발하여 1998년부터 시범대학, 실험대학 등 사전 준비를 거쳐 2000년 12월에 9개 사이버대학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52650
서울 :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 정보시스템감리학과 정보시스템감리 전공 , 2015. 8
2015
한국어
서울
85 ; 26 cm
지도교수: 김동수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사이버대학은 1996년 8월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회의 가상대학 설립·운영 제안으로 출발하여 1998년부터 시범대학, 실험대학 등 사전 준비를 거쳐 2000년 12월에 9개 사이버대학이 ...
우리나라 사이버대학은 1996년 8월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회의 가상대학 설립·운영 제안으로 출발하여 1998년부터 시범대학, 실험대학 등 사전 준비를 거쳐 2000년 12월에 9개 사이버대학이 개교하면서 2001년부터 평생교육 실현이라는 목적으로 교육서비스가 제공되었다.
사이버로 강의를 듣는 학생들이 증가하면서 사이버 대학교 정보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학사행정, 일반행정, 연구행정 분야야 함께 LMS, LCMS와 같은 컨텐츠 관련 정보시스템도 발전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 하고 있는 추세지만 감리 관점에서의 연구는 현재까지 이렇다 할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대학 정보시스템의 감리에 대한 인식조차도 낮은 편이다. 이러한 사이버대학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학령기를 넘긴 성인학습자에게 고등교육 및 재교육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왔으며, 현재는 고등교육법에 따른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새로운 대학교육의 모델로 성장·발전해 나가고 있다.
현재까지는 대학에서 시행하는 사업의 규모가 적고, 법률 시행의 초기단계이므로 감리를 시행하는 사례가 많지 않다. 공공부분의 정보화 사업과 마찬가지로 대학의 정보시스템 구축사업에도 위험 요인으로 정보의 공유 및 중복 투자에 대한 구체적 기술 검토체제 부재 및 외주 개발에 대한 전문사업관리 기능의 부재, 시스템 안정서 취약 등이 내재되어 있어 정보시스템 감리가 필요하며 정보화사업 관리나 절차개선에 효과를 높이고 시스템 품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조사되고 있어 앞으로 대학의 정보시스템 구축사업에도 감리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대학교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감리를 실시함에 있어 실무적인 측면에서 사이버대학교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감리의 점검 항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관련 기준인 ISO/IEC 14764를 기반으로 사이버대학교 유지보수 업무의 부족한 부분들을 조사, 연구하여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감리의 점검항목에 적합한 점검항목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