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허호구, "한비자집해5" 전통문화연구회 2021
2 배병삼, "한글세대가 본 논어 2" 문학동네 2002
3 이을호, "한글 논어" 올재클래식스 2011
4 류쩌화, "중국정치사상사 2" 글항아리 2019
5 김영민, "중국정치사상사" 사회평론 아카데미 2021
6 장진번, "중국법제사" 소나무 2006
7 이성규, "중국고대제국 성립사 연구" 일조각 1984
8 김도련, "주주금석 논어 2" 웅진지식하우스 2015
9 리숴, "인간 공자 난세를 살다" 메디치 미디어 2020
10 이우재, "이우재의 논어 읽기" 21세기 북스 2013
1 허호구, "한비자집해5" 전통문화연구회 2021
2 배병삼, "한글세대가 본 논어 2" 문학동네 2002
3 이을호, "한글 논어" 올재클래식스 2011
4 류쩌화, "중국정치사상사 2" 글항아리 2019
5 김영민, "중국정치사상사" 사회평론 아카데미 2021
6 장진번, "중국법제사" 소나무 2006
7 이성규, "중국고대제국 성립사 연구" 일조각 1984
8 김도련, "주주금석 논어 2" 웅진지식하우스 2015
9 리숴, "인간 공자 난세를 살다" 메디치 미디어 2020
10 이우재, "이우재의 논어 읽기" 21세기 북스 2013
11 환관, "염철론" 소명출판 2002
12 정태현, "역주 논어주소 2" 전통문화연구회 2014
13 수호지진묘죽간정리소조, "수호지진묘죽간 역주" 소명출판 2010
14 신정근, "민본과 민주의 개념적 통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7
15 마이클 샌델(Michael J. Sandal), "마이클 샌델, 중국을 만나다" 와이즈베리 2018
16 김용옥, "논어한글역주 3" 통나무 2009
17 박헌순, "논어집주 2" 한길사 2008
18 양차오밍, "논어전해" 학고방 2016
19 김원중, "논어-인생을 위한 고전" 휴머니스트 2019
20 황희경, "논어" 시공사 2000
21 형주시박물관, "곽점초묘죽간" 학고방 2016
22 장기근, "개정신석 논어집주" 명문당 2009
23 "鹽鐵論"
24 "馬王堆帛書"
25 "韓非子"
26 "郭店竹簡"
27 "論語集注"
28 "論語注疏"
29 "論語"
30 "藝文類聚"
31 "莊子"
32 "睡虎地秦墓竹簡"
33 劉翔, "直以成人—《論語》中“直” 的三重意蘊" 5 : 2016
34 "白虎通"
35 "漢書"
36 "淮南子"
37 "文子"
38 "孟子"
39 "唐律疏義"
40 "史記"
41 "列女傳"
42 郭齊勇, "儒家倫理爭鳴集: 以“親親互隱” 為中心" 湖北教育出版社 2004
43 鄧曉芒, "儒家倫理新批判" 重慶大學出版社 2010
44 "上海博物館藏楚竹書"
45 김시천, "『논어(論語)』의 ‘직(直)’ -‘직궁(直躬)’ 이야기와 정의(justice)의 딜레마?-" 한국유교학회 (77) : 141-166, 2019
46 梁濤, "《論語》“親親相隱”章新釋" 3 : 2015
47 趙俊, "《論語》“父子相為隱”之“隱”考" 1 : 2008
48 黎紅雷, "“直躬” 的故事—《論語·子路》“葉公語孔子” 章人物辨析" 4 : 2013
49 於淮仁, "“父為子隱, 子為父隱” 是非辨—《論語》正讀有感" 6 : 2000
50 Knapp, Keith N., "The Ru reinterpretation of Xiao" 20 : 1995
51 Huang, Yong, "Confucius: A Guide for the Perplexed" Bloomsbury 2013
52 Lewis, Mark Edward, "China’s Cosmopolitan Empire-The Tang Dynast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