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일 디아스포라 한국어 시문학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79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을 총련계 작가와 총련을 탈퇴한 작가, 민단계 작가와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은 작가들의 시적 특성을 고찰하여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을 총련계 작가와 총련을 탈퇴한 작가, 민단계 작가와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은 작가들의 시적 특성을 고찰하여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총련계 시문학의 주제의식을 민족교육의 중요성과 ‘조국’ 예찬과 통일 지향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민단계와 그 외 시인들의 시세계를 고찰하면서 ‘재일’의 현실과 정체성의 혼란과 근원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당시 재일 동포들에게 빼앗긴 언어와 문화, 역사를 되찾아 민족성을 회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으며, 모국어를 모르는 자녀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재일 동포가 빼앗긴 문화와 민족적 자긍심을 회복하고 ‘조국’과의 연계의식을 보존하기 위해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은 정체성을 획득하는 중요한 일이었기에, 총련계 시인은 민족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민족교육과 함께 ‘조국’에 대한 예찬이 중요한 주제로 나타났다. 총련계 시문학이 북한을 지향하는 것은 당시 북한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민단계 시인과 그 외 시인들의 작품은 이방인으로서의 자의식과 ‘재일’의 현실과 근원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출하고 있으며, 총련계 시인들에 비해 고단하고 힘겨운 재일동포들의 현실을 보다 핍진하게 묘사하고 있다. 따돌림을 당하는 아이들의 안타까운 현실과 고물을 팔고 사며 어렵게 살아가는 ‘재일’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총련계 시인들과 마찬가지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주된 주제로 나타나고 있지만, 남과 북 어느 쪽으로도 편향되지 않은 근원적 고향을 향한 그리움을 그리고 있다.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재일 한민족 문학 연구에 있어 배제되어 왔던 시문학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일은 향후 연구의 종합적인 토대를 마련하여 재일 한민족 문학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데 일조하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diaspora poetry in Japan from a different angle by examining the poetic characteristics of Chong-ryeon(Korean who live in Japan and support North Korea) poetry writers, and writers who left it, and Min-...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diaspora poetry in Japan from a different angle by examining the poetic characteristics of Chong-ryeon(Korean who live in Japan and support North Korea) poetry writers, and writers who left it, and Min-dan(South Korean living in Japan), and writers who do not belong anywhere, The topic of Chong-ryeon poetry and literature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national education, the admiration of the fatherland, and the unification orientation. Research on Min-dan and the rest poets’ tendencies were mainly focused on the confusion of reality and identity of “Korean-Japanese” and the longing for hometown. It was very important to restore nationality by regaining the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that had been taken away at that time, and it was natural to teach Korean to children who do not know their first language. The use of the mother tongue was important to restore the culture and national pride that had been taken away and preserve the sense of connection with the 'country'. Chong-ryeon poe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ng ethnicity, and the praise of 'the motherland' appeared as an important theme. The general poetry's pursuit of North Korea can be attributed to active support from North Korea. The works of the Min-dan poets and other poets express the self-consciousness as outsiders, the reality of ‘Korean-Japanese’, the longing for hometown, and portray the harsh reality of Korean-Japanese more realistically than Chong-ryeon poets. It shows the sad reality of bullied children and people who sell antiques in detail, and the longing for hometown is the main theme as Chong-ryeon artists, but it is not biased toward both North and South, but rather portraits a craving for hometown. A comprehensive look at the development of Korea-Japanese diaspora poetry and an overall view of poetry that has been excluded from the study of Korea-Japanese literature will have a meaning to help deepen understanding of Korea-Japanese literature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민조교육 강조와 민족으식 고취
      • III. '조국' 예찬과 통일 지향
      • IV. '재일'의 현실과 정체성의 혼란
      • 국문초록
      • I. 서론
      • II. 민조교육 강조와 민족으식 고취
      • III. '조국' 예찬과 통일 지향
      • IV. '재일'의 현실과 정체성의 혼란
      • V. 근원적 '고향'에 대한 그리움
      • VI.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