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상파 PCM 광고 노출효과 및 가치 분석 = An Empirical Analysis of Network TV PCM Advertising Exposure & Valua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82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현재 지상파 TV에서 기존의 60∼70분 편성 프로그램을 1부와 2부로 나누어 중간에 광고를 집행하는 이른바 PCM(premium CM)의 노출효과와 상대적인 가치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목적은 ...

      본 논문은 현재 지상파 TV에서 기존의 60∼70분 편성 프로그램을 1부와 2부로 나누어 중간에 광고를 집행하는 이른바 PCM(premium CM)의 노출효과와 상대적인 가치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목적은 새로운 광고 형태로 등장한 PCM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기존의 프로그램 전/후에 집행되는 광고들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노출효과를 가지며, 또한 그 상대적인 가치는 어느 정도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PCM이 전/후 CM 시청률 대비 평균 각각 2.1배와 1.5배 더 높은 노출효과를 보였으며, 프로그램 장르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PCM 노출효과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연령별 분석에서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10대와 30대의 경우 PCM 시청률이 전 CM 시청률보다 3.2∼3.3배 높았으며, 10대의 경우 전/후 광고에 대한 노출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데 비해, PCM 시청률은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나 젊은 타깃에서 더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의 전/후 CM 광고 판매 방식과 비교하여 동일 프로그램의 PCM에 어느 정도의 가치를 산정할 수 있을 것인지, 어느 정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상호 간의 예측을 가능케 해 줄 수 있다. 아울러 이후 등장하게 될 지상파 중간광고 효과 검증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osure effects and relative value of PCM (premium CM). PCM is a new advertising format distributing the ads. in the middle of the divided programs, such as part one and two, in Korean network TV. As 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osure effects and relative value of PCM (premium CM). PCM is a new advertising format distributing the ads. in the middle of the divided programs, such as part one and two, in Korean network TV.
      As a result, PCM showed 2.1 times and 1.5 times higher exposure effects than the pre and post program CM, respectively, broadcasted before and after TV programs. No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program gen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CM exposure effects according to gender, either. Interesting result was found in age-based analysi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eenagers and 30s, the PCM ratings were 3.2∼3.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entire CM. In the case of teenagers, the exposure effects to pre or post program commercials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enable us to predict how much value can be calculated for the PCM of the same program compared with the existing pre & post program CM.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true middle of the program advertising in network TV that may appear in the near future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록,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간광고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학회 16 (16): 265-277, 2005

      2 김희진, "텔레비전 시청중복률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32 : 326-355, 1996

      3 박현수, "텔레비전 광고에서 혼잡도(clutter)와 스플릿(Split) 및 반복 광고 유형이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6 (16): 311-327, 2005

      4 조정식, "텔레비전 광고 시청률과 프로그램 시청률의 차이 분석" (34) : 9-29, 1997

      5 김영, "케이블TV 중간광고의 광고순서에 따른 개별 광고시청률 차이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7 (7): 373-404, 2005

      6 박현수, "지상파TV 중간광고의 단계적 도입 방안에 대한 연구: 일반 시청자와 전문가들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한국광고학회 27 (27): 101-122, 2016

      7 이희욱, "중간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4 (4): 69-80, 1998

      8 김태용, "블록과 위치에 따른TV 광고 시청률 비교: 15초 단위로 측정된 광고시청률을 근거로" (51) : 29-47, 2001

      9 이규완, "방송프로그램 전/후CM 의 광고노출효과 비교연구" 10 (10): 7-34, 1999

      10 연합뉴스, "꼼수 중간광고 VS. 당연한 추세...지상파 PCM 갑론을박"

      1 이재록,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간광고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학회 16 (16): 265-277, 2005

      2 김희진, "텔레비전 시청중복률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32 : 326-355, 1996

      3 박현수, "텔레비전 광고에서 혼잡도(clutter)와 스플릿(Split) 및 반복 광고 유형이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6 (16): 311-327, 2005

      4 조정식, "텔레비전 광고 시청률과 프로그램 시청률의 차이 분석" (34) : 9-29, 1997

      5 김영, "케이블TV 중간광고의 광고순서에 따른 개별 광고시청률 차이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7 (7): 373-404, 2005

      6 박현수, "지상파TV 중간광고의 단계적 도입 방안에 대한 연구: 일반 시청자와 전문가들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한국광고학회 27 (27): 101-122, 2016

      7 이희욱, "중간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4 (4): 69-80, 1998

      8 김태용, "블록과 위치에 따른TV 광고 시청률 비교: 15초 단위로 측정된 광고시청률을 근거로" (51) : 29-47, 2001

      9 이규완, "방송프로그램 전/후CM 의 광고노출효과 비교연구" 10 (10): 7-34, 1999

      10 연합뉴스, "꼼수 중간광고 VS. 당연한 추세...지상파 PCM 갑론을박"

      11 제일기획, "광고연감" 제일기획 2017

      12 김재휘, "광고기억 및 광고태도와 관련된 중간광고의 효과" 10 (10): 59-84, 1999

      13 홍종필, "TV 프로그램 전후/중간광고 포맷과 프로그램 관여도에 따른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1 (11): 553-577, 2010

      14 홍재욱, "TV 광고의 길이와 혼잡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7 (7): 155-183, 1996

      15 Barclay, W. D., "Recall of TV commercials by time and program slot" 5 (5): 41-47, 1965

      16 Brown, T. J., "Reassessing the impact of television advertising clutter" 20 (20): 138-146, 1993

      17 Battig, W. F., "Levels of processing and human memor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3-44, 1979

      18 Klatzky, R. L., "Human memory: Structure and processes" W. H. Freeman 1980

      19 Webb, P. H., "Effects of TV clutter" 19 (19): 7-12, 1979

      20 박현수, "CATV 광고노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7 (7): 154-181, 2005

      21 Jacoby, J., "Brand choice behavior as a function of information load" 11 (11): 63-69, 1974

      22 Ha, L., "Advertising clutter in consumer magazines: Dimensions and effects" 36 (36): 76-85, 1996

      23 Ray, M. L., "3 prescriptions for clutter" 26 (26): 69-76, 1986

      24 문화체육관광부, "2016 광고산업통계" 문화체육관광부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2-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방송연구 -> 방송통신연구 KCI등재
      2009-02-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방송연구 -> 방송통신연구 KCI등재
      2009-02-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Broadcasting Studies ->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4 1.45 2.225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