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심리학 연구에서 개인구성심리학 연구법의 적용: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을 중심으로 = An Application of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Research Methodology in Psychology Research: Repertory Grid Techniq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09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George Kelly's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PCP), a subset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and the Repertory Grid Technique(Repgrid). Then, we intended to discuss the applications and availability, limitations of Repgrid. In terms of PCP, humans construe the meaning of life by forming, testing, and revising their own personal construct system of their world. Each individual creates constructs of how the world is construed, and applies it to reality. This theory provides a useful picture of a person because it helps us to understand the person's personality, the inner world, and the meaning of the individual. Repgrid technique is a structured interview technique, assessment tool, psychotherapeutic technique, and research methodology that is developed to explore the personal construct system. This technique provides idiosyncratic information in the content of construct system, and quantifiable measures of construct system in the cognitive structure. Repgrid technique is performed in four steps: Design phase - Administration Phase - Mathematical Analysis - Interpretation Phase. To assist in practical understanding, we described the definitions and examples of elements, constructs and rating,and used a case studied by Leach et al (2001). For analysis of the grid data, we conducted OpenRepGrid. Then, we represented and described the measurements and indices produced in OpenRepGrid with tables and figures. Finally, we discussed the availability and limitations of Repgrid techniqu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George Kelly's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PCP), a subset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and the Repertory Grid Technique(Repgrid). Then, we intended to discuss the applications and availability, limitation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George Kelly's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PCP), a subset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and the Repertory Grid Technique(Repgrid). Then, we intended to discuss the applications and availability, limitations of Repgrid. In terms of PCP, humans construe the meaning of life by forming, testing, and revising their own personal construct system of their world. Each individual creates constructs of how the world is construed, and applies it to reality. This theory provides a useful picture of a person because it helps us to understand the person's personality, the inner world, and the meaning of the individual. Repgrid technique is a structured interview technique, assessment tool, psychotherapeutic technique, and research methodology that is developed to explore the personal construct system. This technique provides idiosyncratic information in the content of construct system, and quantifiable measures of construct system in the cognitive structure. Repgrid technique is performed in four steps: Design phase - Administration Phase - Mathematical Analysis - Interpretation Phase. To assist in practical understanding, we described the definitions and examples of elements, constructs and rating,and used a case studied by Leach et al (2001). For analysis of the grid data, we conducted OpenRepGrid. Then, we represented and described the measurements and indices produced in OpenRepGrid with tables and figures. Finally, we discussed the availability and limitations of Repgrid techniqu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구성주의심리학의 한 지류인 George Kelly(1905~1966)의 개인구성심리학을 소개하고, 개인구성심리학의 대표적 연구방법인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렙그리드)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렙그리드 기법의 적용방법과 유용성, 한계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개인구성심리학에서 인간은 자신이 경험하는 세상에 대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자신만의 의미 체계를 만들고, 검증하고, 고치면서 삶에 대한 의미를 구성해간다고 본다. 이에 각 개인은 자신의 세계에 대한 구성개념을 생성하고, 그것을 현실에 적용시킨다. 이 이론을 통해 한 개인의 성격과 내적 세계, 개인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렙그리드 기법은 구조화된 인터뷰기법으로, 개인구성체계를 탐색하기 위해 고안된 연구방법론의 하나이며 구성개념 평가도구, 심리치료 기법으로도 사용된다. 이 기법은 구성개념의 내용에 있어서는 개별기술적인 정보를, 구조에 있어서는 양화할 수 있는 구조 측정치들을 제공해주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설계단계-실시단계-채점단계-해석단계로 실시되는데, 이해를 돕기 위해 요소, 구성개념, 평정의 의미를 설명하였으며 Leach 등(2001) 연구의 그리드 사례를 활용하였다. 그리드 자료의 채점을 위해서 OpenRepGrid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OpenRepGrid에서 산출되는 측정치와 지표를 표, 그림과 함께 제시하고 설명하였다. 끝으로, 렙그리드 기법의 활용분야, 렙그리드 기법의 유용성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구성주의심리학의 한 지류인 George Kelly(1905~1966)의 개인구성심리학을 소개하고, 개인구성심리학의 대표적 연구방법인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렙그리드)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심리학의 한 지류인 George Kelly(1905~1966)의 개인구성심리학을 소개하고, 개인구성심리학의 대표적 연구방법인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렙그리드)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렙그리드 기법의 적용방법과 유용성, 한계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개인구성심리학에서 인간은 자신이 경험하는 세상에 대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자신만의 의미 체계를 만들고, 검증하고, 고치면서 삶에 대한 의미를 구성해간다고 본다. 이에 각 개인은 자신의 세계에 대한 구성개념을 생성하고, 그것을 현실에 적용시킨다. 이 이론을 통해 한 개인의 성격과 내적 세계, 개인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렙그리드 기법은 구조화된 인터뷰기법으로, 개인구성체계를 탐색하기 위해 고안된 연구방법론의 하나이며 구성개념 평가도구, 심리치료 기법으로도 사용된다. 이 기법은 구성개념의 내용에 있어서는 개별기술적인 정보를, 구조에 있어서는 양화할 수 있는 구조 측정치들을 제공해주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설계단계-실시단계-채점단계-해석단계로 실시되는데, 이해를 돕기 위해 요소, 구성개념, 평정의 의미를 설명하였으며 Leach 등(2001) 연구의 그리드 사례를 활용하였다. 그리드 자료의 채점을 위해서 OpenRepGrid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OpenRepGrid에서 산출되는 측정치와 지표를 표, 그림과 함께 제시하고 설명하였다. 끝으로, 렙그리드 기법의 활용분야, 렙그리드 기법의 유용성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함승모, "프로젝트 특성에 따른 요구사항도출 기법 선택 모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2 Herman, J., "트라우마-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플래닛 2007

      3 조용환,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2 (2): 91-121, 1999

      4 조용환,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3-24, 1998

      5 손정락, "정신분열증 형태 사고장애 환자의 이완 구성개념화" 8 (8): 97-115, 1989

      6 황선정, "자기애성 성격의 인지구성 : 구성주의 레퍼토리 그리드의 적용"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7 이세미, "자기불일치와 암묵적 딜레마가 우울과 우울 지속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8 정미라, "자기불일치가 수치심에 미치는영향"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9 양근원, "인지 및 정서 복잡성과 공감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10 Fransella, F., "인지 구성주의의 선구자: 조지 켈리" 학지사 2008

      1 함승모, "프로젝트 특성에 따른 요구사항도출 기법 선택 모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2 Herman, J., "트라우마-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플래닛 2007

      3 조용환,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2 (2): 91-121, 1999

      4 조용환,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3-24, 1998

      5 손정락, "정신분열증 형태 사고장애 환자의 이완 구성개념화" 8 (8): 97-115, 1989

      6 황선정, "자기애성 성격의 인지구성 : 구성주의 레퍼토리 그리드의 적용"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7 이세미, "자기불일치와 암묵적 딜레마가 우울과 우울 지속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8 정미라, "자기불일치가 수치심에 미치는영향"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9 양근원, "인지 및 정서 복잡성과 공감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10 Fransella, F., "인지 구성주의의 선구자: 조지 켈리" 학지사 2008

      11 황선정, "인간 이해와 심리치료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인간학연구소 (21) : 141-184, 2011

      12 방은진, "암묵적 딜레마와 인지복잡성이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13 Maturana, H. R., "앎의 나무" 갈무리 2007

      14 McNamee, S., "심리치료와 사회구성주의" 학지사 2004

      15 민경환, "성격심리학" 법문사 2002

      16 박성희, "상담학 연구방법론의 패러다임과 분석방법" 8 (8): 201-235, 1996

      17 허영주, "상담자의 경력, 인지적 복잡성 및 정서적 복잡성이 타당화 개입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5 (35): 93-105, 2014

      18 박성희, "상담의 새로운 패러다임" 학지사 2001

      19 이장호, "상담 연구 방법론의 확장" 193-229, 1998

      20 김봉환, "상담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분석(2002년~2011년)"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729-752, 2012

      21 황선정, "병리적 자기애의 하위유형에 관한 연구: 구성주의 자기 조직화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613-640, 2015

      22 황선정, "병리적 자기애의 하위유형별 인지 위계: 구성주의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의 적용"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659-694, 2016

      23 손정락, "만성 통증에 대한 구성개념화: 만성 통증 환자들의 구성개념적 대안주의?"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5-30, 2006

      24 연문희, "교육과 상담에서의 질적 연구" 14 (14): 243-263, 2001

      25 Polanyi, M., "개인적 지식" 아카넷 2001

      26 Viney, L. L., "Which Data-Collection Methods are Appropriate for A Constructive Psychology?" 1 (1): 191-203, 1988

      27 O'Loughlin, S., "Use of repertory grids to assess understanding between partners in marital therapy" 2 : 143-147, 1989

      28 Neimeyer, R. A., "Trauma, healing, and the narrative employment of loss" 77 (77): 360-375, 1996

      29 Moradi, B., "Threat and guilt aspects of internalized antilesbian and gay prejudice : An application of personal construct theory" 56 (56): 119-, 2009

      30 Gallifa, J., "The structural quadrants method : A new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construct system complexity via the repertory grid" 13 (13): 1-26, 2000

      31 Catania, G.,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as a method for eliciting tacit knowledge" 104-, 2015

      32 Kelly, G. A., "The psychology of personal constructs" Routledge 1999

      33 Makhlouf-Norris, F., "The obsessive compulsive syndrome as a neurotic device for the reduction of self-uncertainty" 122 (122): 277-288, 1973

      34 Feixas, G., "The multi-center dilemma project : An investigation on the role of cognitive conflicts in health" 7 (7): 69-78, 2004

      35 Parker, A., "The meaning of attempted suicide to young parasuicides : a repertory grid study" 139 : 306-312, 1981

      36 Hoy, R. M., "The meaning of alcoholism for alcoholics: a repertory grid study" 12 (12): 98-99, 1973

      37 Bannister, D., "The genesis of schizophrenic thought disorder : re-test of the serial invalidation hypothesis" 111 : 377-382, 1965

      38 Metcalfe, C.,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 construct psychotherapy in clinical practic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7 (17): 431-442, 2007

      39 Jankowicz, D., "The easy guide to repertory grids" John wiley & sons 2003

      40 Neimeyer, R. A, "The development of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85

      41 Neimeyer, R. A., "The current status of personal construct theory : Some scientometric data" 1 : 3-22, 1990

      42 Childs, D., "The analysis of interpersonal perceptions as a repertory grid" 53 : 127-136, 1980

      43 Bailey, P. E., "The Repertory grid as a measure of change and predictor of outcome in the treatment of alcoholism" 64 (64): 285-293, 1991

      44 Feixas, G., "The Person in Society-Challenges to a Constructivist Theory" Psychosozial-Verlag 391-399, 2000

      45 Hopper, T., "The Grid: Reflecting from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Being Taught" 70 (70): 53-59, 1999

      46 Salla, M., "The Couple's Grid : A tool for assessing interpersonal constructions in couples" 28 (28): 53-66, 2015

      47 Hinkle, D. N., "The Change of Personal Constructs from the Viewpoint of a Theory of Construct Implications" Ohio State University 1965

      48 Adams-Webber, J., "Some Reflections on the"meaning"of repertory grid responses" 2 : 77-92, 1989

      49 Neimeyer, R. A, "Snakes versus ladders : a validation of laddering technique as a measure of hierarchical structure" 14 : 85-105, 2001

      50 Viney, L. L., "Should we use personal construct therapy? A paradigm for outcomes evaluation" 35 (35): 366-, 1998

      51 Fransella, F., "Self-concept and the stutterer" 1968

      52 Carapeto, M. J., "Self-Knowledge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 Adolescence: A Study Using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1-17, 2018

      53 Björklund, L., "Researching Technology Eduation: Methods and Techniques" Sense Publishers 46-69, 2008

      54 Winter, D. A., "Repertory grid technique as a psychotherapy research measure" 13 (13): 25-42, 2003

      55 Bell, R. C., "Repertory Grids as mental tests : Implications of test theories for grids" 3 : 91-103, 1990

      56 Ryle, A., "Repertory Grid Technique and Personal Constructs: Applications in Clinical and Educational Settings" Croom Helm 1985

      57 von Glaserfeld, E., "Radical Constructivism : A way of knowing and learning" The Falmer Press 1995

      58 Harter, S. L., "Quantitative measures of construing in child abuse survivors" 13 : 103-116, 2000

      59 Bell, R. C., "Psychological Constructivism and the Social World" FrancoAngeli 297-305, 2003

      60 Crockett, W., "Progress in experimental personality research.(vol. 3)" Academic Press 1965

      61 Landfield, A. W., "Personal construct systems in psychotherapy" Rand McNally 1971

      62 Efran, J. S.,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radical constructivism, and social constructionism : A dialogue" 27 (27): 1-13, 2014

      63 Winter, D. A.,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in clinical practice: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Routledge 1992

      64 Clinton, M., "Perceptions of stressors and reported coping strategies in nurses caring for residents with Alzhemier's disease in a dementia unit" 4 : 5-13, 1995

      65 Heckmann, M., "OpenRepGrid: An R package for the analysis of repertory grids. R package version 0.1.10"

      66 Fransella, F., "Obsessional Disorder" Methuen 1977

      67 Hardison, H. G., "Numbers and narratives :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vergence across constructivist assessments" 20 (20): 285-308, 2007

      68 McDaniel, B. L., "Measuring self-discrepancies on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with the repertory grid" 2 : 18-31, 2005

      69 Gerrish, N. J., "Meaning reconstruction in bereaved mothers : A pilot study using the biographical grid method" 23 (23): 118-142, 2010

      70 Brown, R. W., "Is a boulder sweet or sour" 3 (3): 113-115, 1958

      71 Dorough, S., "Implicative dilemmas and general psychological well-being" 4 : 83-101, 2007

      72 Miles, S., "Identifying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ideal medical doctor: the laddering technique" 32 (32): 136-140, 2010

      73 Guba, E. G.,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191-215, 2005

      74 Feixas, G., "GRIDCO"

      75 Gerrish, N. J., "Exploring maternal grief : A mixed-methods investigation of mothers’responses to the death of a child from cancer" 27 (27): 151-173, 2014

      76 Haltenhof, H., "Empirical Constructivism in Europe: the Personal Construct Approach" Psycholosozial-Verlag 1996

      77 Button, E. J., "Eating Disorders: Personal Construct Therapy and Change" John Wiley & Sons 1993

      78 Sexton, T. L., "Constructivist thinking in counseling practice, research, and training" Teachers College Press 3-18, 1997

      79 Raskin, J. D., "Constructivism in psychology: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radical constructivism, and social constructionism" 5 (5): 2002

      80 Feixas, G., "Construction of self and others in unipolar depressive disorders: a study using repertory grid technique" 32 (32): 386-400, 2008

      81 Winter, D. A., "Construct relationships, psychological disorder and therapeutic change" 55 (55): 257-270, 1982

      82 Bannister, D., "Conceptual structure in thought-disordered schizophrenics" 106 : 1230-1249, 1960

      83 Bieri, J., "Cognitive complexity-simplicity and predictive behavior" 51 (51): 263-, 1955

      84 Bieri, J., "Clinical and social judgement" Wiley 1966

      85 Soldevilla, J. M., "Chracteristics of the construct systems of women victim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27 (27): 105-119, 2014

      86 Grice, J. W., "Bridging the Idiographic-Nomothetic Divide in Ratings of Self and Others on the Big Five" 72 : 203-241, 2004

      87 Saúl, L. A., "Bibliometric review of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 1998-2007" 25 (25): 112-131, 2012

      88 Neimeyer, G. J., "Back to the future with the psychology of personal constructs" 37 (37): 994-997, 1992

      89 Marsh, M., "Assessment of self and others during treatment for anorexia nervosa" 8 : 97-116, 1995

      90 Lauterbach, W., "Assessing psycholgogical conflict" 14 (14): 43-47, 1975

      91 Neimeyer, R. A., "Anticipating Personal Construct Theor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85

      92 Leach, C., "Analysis of repertory grids in clinical practice" 40 (40): 225-248, 2001

      93 Fransella, F., "An investigation of conceptual process and pattern change in a psychotherapy group" 119 : 199-206, 1971

      94 Yorke, L.,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repertory grid exploration of anger in young offenders" 28 (28): 126-138, 2015

      95 Adams-Webber, J., "An analysis of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several repertory grid indices" 61 (61): 83-90, 1970

      96 Neimeyer, R. A., "Advances in Cognitive-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vol. 4)" Academic Press 1985

      97 Watson, J. P., "A repertory Grid Method of studying groups" 117 : 309-318, 1970

      98 Dalton, P., "A psychology for living: personal construct theory for professionals and clients" Wiley-Blackwell 1999

      99 Sheehan, M. J., "A personal construct study of depression" 58 : 119-128, 1985

      100 Fransella, F., "A manual for repertory grid technique" John Wiley & Sons 2004

      101 Adams-Webber, J., "A Review of : "Repertory Grid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19 (19): 351-353, 2006

      102 Bell, R. C., "A New Approach to Measuring Inconsistency or Conflict in Grids" 1 : 53-59, 2004

      103 Edwards, B., "A & E nurses' constructs on the nature of nursing expertise : a repertory grid technique" 6 : 18-23,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