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용환, "한국에서의 영성관련 연구동향 분석 및 학문적 함의" 한국상담학회 10 (10): 813-829, 2009
2 이원규, "종교사회학의 이해" 사회비평사 2015
3 이혜숙, "임상사회복지에서의 Spirituality 개념화를 위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6
4 정명숙, "우리나라 영성연구의 동향과 향후과제" 인간학연구소 (34) : 93-126, 2017
5 유승연, "영적 간호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25 (25): 332-343, 2013
6 김유심,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빈곤층 여성한부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영적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8) : 187-218, 2010
7 박정해, "상담자의 자기위로능력, 영적안녕 및 상담자발달수준과 심리적소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6
8 이시형, "삶의 의미를 찾아서" 청아출판사 2005
9 백미숙,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자아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영적 안녕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복지연구소 42 : 27-49, 2014
10 김유심, "빈곤층 여성한부모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대처자원 연구 : 영적안녕감, 가족자원의 조절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1 김용환, "한국에서의 영성관련 연구동향 분석 및 학문적 함의" 한국상담학회 10 (10): 813-829, 2009
2 이원규, "종교사회학의 이해" 사회비평사 2015
3 이혜숙, "임상사회복지에서의 Spirituality 개념화를 위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6
4 정명숙, "우리나라 영성연구의 동향과 향후과제" 인간학연구소 (34) : 93-126, 2017
5 유승연, "영적 간호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25 (25): 332-343, 2013
6 김유심,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빈곤층 여성한부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영적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8) : 187-218, 2010
7 박정해, "상담자의 자기위로능력, 영적안녕 및 상담자발달수준과 심리적소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6
8 이시형, "삶의 의미를 찾아서" 청아출판사 2005
9 백미숙,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자아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영적 안녕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복지연구소 42 : 27-49, 2014
10 김유심, "빈곤층 여성한부모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대처자원 연구 : 영적안녕감, 가족자원의 조절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11 이상우, "근대통합교육에 대한 영성교육 논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4 (4): 69-91, 2010
12 심은주, "교육학 분야 영성연구의 동향과 과제 -2000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37-158, 2012
13 한규성, "공감과 영성이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14 양영은, "간호사의 영적안녕, 영적요구 및 소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15 Seligman, M., "Positive education : Positive psychology and classroom interventions" 35 (35): 293-311, 2009
16 Seligman, M., "Positive Psychology : An Introduction" 55 : 5-14, 2000
17 Paloutzian, R. F.,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John Wiley & Sons 224-236,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