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국내 영성연구의 동향: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와 프로그램의 분석 = Trends of spiritual research in Korea: Analyses of variables and programs us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09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variety of people-oriented disciplines such as psychology, social welfare, nursing, education, a number of research were carried out to show positive influences of spirituality on various aspects of people's lives. As research on the topic of spirituality were vitalized lately, several articles analysing trends of spiritual research in Korea were published. They all, however, focused on identifying research methodology, participants of research, measuring instruments, method of analysis, etc. of advanced research on spirituality and on diagnosing and prescribing future directions of spiritual research in terms of those aspects. Different from these previous articles of trend analysis, the present article analysed variables and programs used in research on spirituality, and attempted to figure out (1) the positive (or negative) human attributes which proved to be facilitated (or suppressed) via spirituality or spiritual enhancement programs, and (2) the variables or programs which proved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enhancing spirituality. In this article 582 pieces of spiritual research performed from the 1970s to 2016 were selected and analy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e topics to be addressed in future research on spirituality were discussed, including customizing spiritual enhancement programs suited to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groups of people.
      번역하기

      In a variety of people-oriented disciplines such as psychology, social welfare, nursing, education, a number of research were carried out to show positive influences of spirituality on various aspects of people's lives. As research on the topic of spi...

      In a variety of people-oriented disciplines such as psychology, social welfare, nursing, education, a number of research were carried out to show positive influences of spirituality on various aspects of people's lives. As research on the topic of spirituality were vitalized lately, several articles analysing trends of spiritual research in Korea were published. They all, however, focused on identifying research methodology, participants of research, measuring instruments, method of analysis, etc. of advanced research on spirituality and on diagnosing and prescribing future directions of spiritual research in terms of those aspects. Different from these previous articles of trend analysis, the present article analysed variables and programs used in research on spirituality, and attempted to figure out (1) the positive (or negative) human attributes which proved to be facilitated (or suppressed) via spirituality or spiritual enhancement programs, and (2) the variables or programs which proved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enhancing spirituality. In this article 582 pieces of spiritual research performed from the 1970s to 2016 were selected and analy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e topics to be addressed in future research on spirituality were discussed, including customizing spiritual enhancement programs suited to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groups of peo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심리학을 비롯하여 사회복지학, 간호학, 종교학, 교육학 등 휴먼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영성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이 영성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최근 들어 크게 활성화됨에 따라 영성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전망하는 논문들도 여럿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모두 영성을 주제로 하는 국내 연구들이 현재까지 어떤 사람들을 대상으로 어떤 측정도구와 분석방법을 사용해서 어떤 유형의 연구를 했는지 등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연구의 유형과 대상은 어떠해야 하며 어떤 측정도구와 분석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지 진단․처방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동향분석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영성을 주제로 하는 연구들에서 영성과 관련하여 사용한 변수와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연구에서 (1) 영성 또는 영성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인간의 어떤 긍정적 특성을 강화하고 어떤 부정적 특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는지, 또 (2) 어떤 변수 또는 프로그램이 영성수준에 차이를 가져오거나 영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1970년대에서 2016년까지 영성을 주제로 하여 국내에서 수행된 논문 582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 집단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집단별 맞춤형 영성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을 포함하여 향후 영성연구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주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심리학을 비롯하여 사회복지학, 간호학, 종교학, 교육학 등 휴먼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영성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었다. 이...

      심리학을 비롯하여 사회복지학, 간호학, 종교학, 교육학 등 휴먼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영성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이 영성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최근 들어 크게 활성화됨에 따라 영성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전망하는 논문들도 여럿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모두 영성을 주제로 하는 국내 연구들이 현재까지 어떤 사람들을 대상으로 어떤 측정도구와 분석방법을 사용해서 어떤 유형의 연구를 했는지 등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연구의 유형과 대상은 어떠해야 하며 어떤 측정도구와 분석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지 진단․처방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동향분석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영성을 주제로 하는 연구들에서 영성과 관련하여 사용한 변수와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연구에서 (1) 영성 또는 영성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인간의 어떤 긍정적 특성을 강화하고 어떤 부정적 특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는지, 또 (2) 어떤 변수 또는 프로그램이 영성수준에 차이를 가져오거나 영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1970년대에서 2016년까지 영성을 주제로 하여 국내에서 수행된 논문 582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 집단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집단별 맞춤형 영성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을 포함하여 향후 영성연구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주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환, "한국에서의 영성관련 연구동향 분석 및 학문적 함의" 한국상담학회 10 (10): 813-829, 2009

      2 이원규, "종교사회학의 이해" 사회비평사 2015

      3 이혜숙, "임상사회복지에서의 Spirituality 개념화를 위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6

      4 정명숙, "우리나라 영성연구의 동향과 향후과제" 인간학연구소 (34) : 93-126, 2017

      5 유승연, "영적 간호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25 (25): 332-343, 2013

      6 김유심,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빈곤층 여성한부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영적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8) : 187-218, 2010

      7 박정해, "상담자의 자기위로능력, 영적안녕 및 상담자발달수준과 심리적소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6

      8 이시형, "삶의 의미를 찾아서" 청아출판사 2005

      9 백미숙,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자아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영적 안녕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복지연구소 42 : 27-49, 2014

      10 김유심, "빈곤층 여성한부모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대처자원 연구 : 영적안녕감, 가족자원의 조절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1 김용환, "한국에서의 영성관련 연구동향 분석 및 학문적 함의" 한국상담학회 10 (10): 813-829, 2009

      2 이원규, "종교사회학의 이해" 사회비평사 2015

      3 이혜숙, "임상사회복지에서의 Spirituality 개념화를 위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6

      4 정명숙, "우리나라 영성연구의 동향과 향후과제" 인간학연구소 (34) : 93-126, 2017

      5 유승연, "영적 간호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25 (25): 332-343, 2013

      6 김유심,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빈곤층 여성한부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영적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8) : 187-218, 2010

      7 박정해, "상담자의 자기위로능력, 영적안녕 및 상담자발달수준과 심리적소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6

      8 이시형, "삶의 의미를 찾아서" 청아출판사 2005

      9 백미숙,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자아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영적 안녕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복지연구소 42 : 27-49, 2014

      10 김유심, "빈곤층 여성한부모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대처자원 연구 : 영적안녕감, 가족자원의 조절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11 이상우, "근대통합교육에 대한 영성교육 논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4 (4): 69-91, 2010

      12 심은주, "교육학 분야 영성연구의 동향과 과제 -2000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37-158, 2012

      13 한규성, "공감과 영성이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14 양영은, "간호사의 영적안녕, 영적요구 및 소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15 Seligman, M., "Positive education : Positive psychology and classroom interventions" 35 (35): 293-311, 2009

      16 Seligman, M., "Positive Psychology : An Introduction" 55 : 5-14, 2000

      17 Paloutzian, R. F.,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John Wiley & Sons 224-236,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